• Title/Summary/Keyword: 대학이러닝

Search Result 40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tructural Analyses on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o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Learning Environments with e-Learning Contents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 Kang, Min-Seok;Lim, K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1014-1023
    • /
    • 2013
  • Rapid developmen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have made people learn with online contents allowing learning at onilne universities. The environments of offering educational contents at online universities differ from those at offline-based ones, so that alternative variables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effectiveness in online setting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SRL) and motivation o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n online university were addressed. As a result, SRL and motivation not only directly affected both interactions and achievements,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achievements via interactions. Also,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were directly effective on learning achievemen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ncluded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eaching- and learning-related variables on learning.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Study on Soil Moisture Predictabilit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토양수분 예측 가능성 연구)

  • Jo, Bongjun;Choi, Wanmin;Kim, Youngdae;kim, Kisung;Kim, J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8-248
    • /
    • 2020
  • 토양수분은 증발산, 유출, 침투 등 물수지 요소들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주요한 변수 중에 하나이다. 토양수분의 정도는 토양의 특성, 토지이용 형태, 기상 상태 등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이하며, 특히 기상 상태에 따라 시간적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기존 토양수분 측정은 토양시료 채취를 통한 실내 실험 측정과 측정 장비를 통한 현장 조사 방법이 있으나 시간적, 경제적 한계점이 있으며, 원격탐사 기법은 공간적으로 넓은 범위를 포함하지만 시간 해상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모델링을 통한 토양수분 예측 기술은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며, 복잡한 입력자료의 구축이 요구된다. 최근 머신러닝 기법은 수많은 자료 학습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값을 도출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과 연관된 다양한 기상 인자들(강수량, 풍속, 습도 등)을 활용하여 머신러닝기법의 반복학습을 통한 토양수분의 예측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공간적으로 토양수분 실측 자료가 잘 구축되어 있는 청미천과 설마천 유역을 대상으로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두 대상지에서 2008년~2012년 수문자료를 확보하였으며, 기상자료는 기상자료개방포털과 WAMIS를 통해 자료를 확보하였다. 토양수분 자료와 기상자료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하고 2012년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토양수분을 예측하였다. 사용되는 머신러닝 기법은 의사결정 나무(Decision Tree), 신경망(Multi Layer Perceptron, MLP),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s, KNN),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그래디언트 부스팅 (Gradient Boosting)이다. 토양수분과 기상인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히트맵(Heat Map)을 이용하였다. 히트맵 분석 결과 토양수분의 시간적 변동은 다양한 기상 자료 중 강수량과 상대습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다양한 기상 인자 기반 머신러닝 기법 적용 결과에서는 두 지역 모두 신경망(MLP) 기법을 제외한 모든 기법이 전반적으로 실측값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비교 그래프에서도 실측값과 예측 값이 유사한 추세를 나타냈다. 따라서 상관관계있는 과거 기상자료를 통해 머신러닝 기법 기반 토양수분의 시간적 변동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Keyword Network Analysis on Instructor's role of Flipped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공과대학 플립러닝에서 교수자 역할 탐색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Ji Sim Kim;Kyong Ah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50
    • /
    • 2023
  • 플립러닝의 핵심 성공요인은 변화된 교수자의 조력자 역할을 통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공과대학 수업에서는 교수자의 지식전달자 역할과도 균형을 이루어 학습자의 학습내용 이해를 촉진해야 한다.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위해 교수자 관점의 질적 분석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인식에 기반하여 교수자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A전문대학에서 비대면 환경에서 운영된 공과대학의 플립러닝 기반 수업에서 교수자의 지원 및 역할을 조사한 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질의응답'과 '설명' 키워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변화하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이 주효한 동시에 학습내용의 이해도를 향상시키는 전달자로서의 역할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언하였다.

A Usability Evaluation Stud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Learning Contents User Interface in a Cyber University (사이버대학에서 이러닝콘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질 개선을 위한 사용성 평가연구)

  • Sim, Hwa-Young;Song, Hae-D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1
    • /
    • pp.13-23
    • /
    • 2014
  •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 e-learning course at Cyber University, one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e-learning contents is the User Interface(UI) of the e-Learning content platform. The User Interface is important because the well-designed UI can help students to perform effectively and easily learning activitie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usability, few attempts have been carried out to design the e-learning contents UI from the usability perspectiv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ability design elements for the e-learning contents UI. For this purpose, a usability evaluation study on the e-learning contents UI of a cyber university at Seoul was conducte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e-Learning contents UI was presented.

  • PDF

Measuring learner satisfaction in e-learning using SERVQUAL (SERVQUAL을 이용한 이러닝 (e-learning) 학습자의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 Ku, Hee-Jin;Park, You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4a
    • /
    • pp.235-241
    • /
    • 2010
  • 인터넷을 기반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학습 가능한 이러닝의 보급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지만 이러닝 교육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평가와 개선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ERVQUAL모형을 이용하여 S대학에서 개설된 E과목에 대한 이러닝 교육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동일한 E과목을 100% 온라인으로 수강한 학부생 79명, 대학원생 71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에 따라 SERVQUAL 조사결과를 비교하였다. 성별에 따른 서비스 격차점수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지만, 연령별에 따라서는 서비스 격차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연력별 차이의 원인으로는 연령이 높은 대학원생들의 경우 대부분이 직장을 가지고 있는 시간제(part-time) 학생들이기 때문에 학습내용의 현업 적용성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

University-level Flipped Classroom Learner Competency Modeling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모델링)

  • Kim, Rang;Song, Hae-Deok
    • 교육공학연구
    • /
    • v.33 no.4
    • /
    • pp.1001-1024
    • /
    • 2017
  • Flipped classroom has used widely in university in that its unique structure can facilitate learners' higher-thinking skills and promote competencies. Learners are expected to extend knowledge through performing online and offline, but they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ir roles and specific behaviors to achieve the learning goals in the flipped learning. Therefore, a guidance for students has been required to support learners' mastery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uccessful learner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mpetency". For this, three-phased competency modeling was employed. In Phase I, Behavioral Even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learners of the flipped classroom. In Phase II for identifying competencies and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the data was coded, followed by testing reliability of the coding. Based on the meaning codes,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exes were developed. The final competencies consist of learning orientation, learning management, feedback seeking, peer interaction, and knowledge extension. In Phase III, valid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was conducted by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s last, competencies were aligned by the two-phase of the flipped classroom. The finding will be used as the guidance for the learners and instructors in the flipped classroom.

An evaluation of deep learning method for streamflow estimation in ungauged basins (미계측유역 유출량 산정을 위한 딥러닝 기반 방법의 적용 및 평가)

  • Jae-Yeong Heo;Hyun-Han Kwon;Deg-Hyo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0-360
    • /
    • 2023
  • 최근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국내 홍수 피해 규모 및 빈도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대한 대응과 수해 방지 대책 수립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홍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유출 모의에 따른 유역 홍수 방어 대책 수립이 이루어져야 하나, 하천 상류 등과 같은 미계측유역이 존재하며 정확한 유출량 산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통상, 미계측유역 유출량 산정은 비유량법, 지역회귀방법, 수문모형에 의한 모의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통계적 방법은 기왕 자료간 관계의 선형성만을 고려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물리적 방법은 다양한 자료 활용에 대한 유연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딥러닝 기반 방법은 자료 내 존재하는 비선형성과 입·출력간 인과관계를 반영하여 모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계측유역 유출량 산정을 위해 국내 유역을 대상으로 딥러닝 모형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알려진 미계측유역 유출량 산정 기법들과 물리적 요소를 고려한 개선된 딥러닝 구조를 활용한 기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미계측유역에 대한 첨두유출 모의 및 유출용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홍수 유출이벤트에 대한 도시적 평가를 통해 딥러닝 기반 미계측유역 유출 모의 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물리적 요소를 고려한 딥러닝 기반 방법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첨두 유출 모의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유역의 다양한 특성을 활용하는 유출 모의 기법 개발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Learning Motives and Intent of e-Learning Learners (이러닝 학습자들의 이러닝 이용동기 및 이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Shin, Ho-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7
    • /
    • pp.225-23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learning usage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no prior e-learning experience. To address this issue,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wo stages on university students at Y and K universities of Gyeongbuk province. After conducting the first survey, we constructed the measurement items and conducted the second surve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arner's intention to use as the basic theo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the interviews with the experts. The result shows, first, due to the autonomy, the biggest advantage for e-learning, students' self-control decreases which affects e-learning fault. Second, university students use e-learning because of its convenience, ease of use and usefulness. However, convenience of learning space found to be useful in using e-learning, but it does not affect their actual intention to use e-lear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e-learning within the university and enhancing the individuals' learning effectiveness.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Applying Flipped Learning in Engineering Courses (공학전공수업에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적용을 위한 설계모형 탐색)

  • Rim, Kyung-Hwa;Kim, Tae-Hyun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6 no.2
    • /
    • pp.77-84
    • /
    • 2014
  • As the interests in the flipped learning has recently been increased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number of engineering professors has tended to apply the flipped learning method to their classes. However there has been few research which guide to design engineering courses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the flipped learning according to the case of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to an engineering course, "Mechanical Vibration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for engineering professors to design their theory oriented courses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Developing a motion recognition learning game using Teachable Machine (Teachable Machine을 활용한 모션 인식 러닝 게임 개발)

  • Ju-Han Hwang;Sung Jin Kim;Young Hyun Yoon;Jai Soon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77-278
    • /
    • 2023
  • 본 논문은 머신러닝 학습 도구인 Teachable Machine을 활용하여 모션 인식 러닝 액션 게임인 Dino Run Game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JavaScript, HTML, CSS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게임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고, Google에서 개발한 Teachable Machine의 이미지 인식 모델을 활용하여 웹캠을 통해 사용자의 손 이미지를 인식한다. 이를 기반으로 게임 캐릭터를 제어함으로써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