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상자 옹호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간호대상자옹호이론의 발전전망과 아동간호에의 적용방안 (Review on the Theory of Nursing Client Advocacy and Its Applications in Child Healthcare)

  • 조갑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49-158
    • /
    • 2013
  • 서론 의료현장의 대형화, 관료화로 인한 인간기본권 침해로 인해 간호사의 옹호역할이 필수적인 간호활동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옹호 개념이 간호문헌에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약 40년 전의 일로, 그동안 꾸준히 진화되고 발전되어 왔으나 여전히 대상자옹호 개념은 명료하지 않고 임상실무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 이에 개념을 명확히 하고 아동간호실무적용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론 2000년 이후에 발표된 실증적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대상자옹호이론의 발전과 옹호연구의 동향, 아동간호영역에서의 적용에 대해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옹호 개념은 이론적 개념에서 실천적 간호활동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해졌으며, 대상자옹호 개념은 체계적인 중범위 이론(mid-range theory)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옹호 개념에 대한 연구는 개념의 조작화나 방법론이 다양하게 확대되어, 간호대상자옹호가 간호중재로서 실무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아픈 아동이건 건강한 아동이건 아동은 성인에 비해 자신을 위한 권리주장이나 선택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우선적인 옹호간호의 대상이다. 넷째, 임상아동간호실무, 건강한 아동을 위한 건강증진실무에 대상자옹호이론을 적용할 수 있다. 개인옹호, 단체옹호, 자기옹호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아동간호영역에서 대상자옹호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다. 여섯 번째,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옹호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간호사의 준비가 필요하다. 결론 옹호 개념은 총합적이고 구체적인 이론적 구조로 서술되어 체계적인 중범위 이론(mid-range theory)으로 발전하였다. 이론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증가되어 개념의 조작화가 이루어졌으며, 간호중재로서 실무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동은 전형적인 취약인구층이므로 임상아동간호, 아동건강증진 실무영역, 아동간호연구 등의 분야에서 대상자옹호이론의 적용가능성이 높다.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옹호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에 대한 아동간호사의 훈련과 준비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대상자 취약성 및 옹호, 아동권리인식, 아동학대 신고의도 간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arget Vulnerability and Target Advocacy, Child Rights Awareness, and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 송지아;오재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3호
    • /
    • pp.155-163
    • /
    • 2024
  • 예비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은 아동학대 신고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아동대상자의 옹호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대상자 취약성 및 대상자 옹호, 아동권리인식, 아동학대 신고 의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제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대상자 취약성, 대상자 옹호 및 아동권리 인식이 아동학대 신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로서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7월 3일부터 7월 31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신고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 아동학대 교육, 대상자 옹호의 하위 변수인 사회정의 옹호, 대상자 취약성으로 이들의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35.8%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과 교육 확대를 위해서는 실제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한 활동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대상자 옹호, 직업 가치 및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arget advocacy, work value, and person-centered care)

  • 송지아;오재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287-295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상자 옹호, 직업 가치 및 인간중심돌봄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간호대학생을 위한 근본이념 향상을 교육자료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7월 1일부터 7월31일까지이었다. D시와 S시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중이며 본 연구에 참여 동의한 간호대학생 172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대상자 옹호 및 직업 가치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23.5%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돌봄 실천 간호역량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로서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정도를 확인하고 긍정적인 직업 가치관 형성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개발 및 간호의 근본이념인 대상자 옹호 인식 향샹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복지 가치를 매개로 한 사회복지 교육과 옹호 태도 및 전략의 인과관계 분석 (A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Work Education and Advocac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ork Values)

  • 전선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35-65
    • /
    • 2005
  • 본 연구는 사회복지 교육이 사회복지 가치의 형성과 사회복지 옹호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복지 옹호실천에 대한 사회복지 교육의 직접효과뿐 아니라 사회복지 가치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사회복지 옹호 실천에 있어서의 사회복지 가치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조사대상자는 2004년에 서울과 경기지역의 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242명의 사회복지사이며, 조사도구로는 사회복지 옹호태도, 사회복지 옹호전략, 사회복지 교육성과, 사회복지 가치, 자존감, 통제소재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옹호실천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실천론, 정책론, 조사론 및 실습 등의 기본적 방법론을 충실히 하는 것과 사회적 차원의 사회복지가치의 함양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복지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재검토와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사회복지 가치의 체계를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PDF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Sensitivity of Human Rights and the Advocacy Activities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 김지만;홍기훈;이춘엽;김희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4
    • /
    • 2020
  • 목적 :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및 옹호활동을 조사하고 상관관계 및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국내 작업치료사 면허를 소지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 볼 수 있는 7가지 문항과 인권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는 6가지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36가지 문항 그리고 옹호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7가지 문항을 포함하여 총 50문항의 문항의 설문을 배포, 수집하여 총 116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평균은 69.00 ± 17.67점이었고, 인권감수성 3가지 하위영역별 평균은 상황지각(23.25 ± 5.62), 책임지각(23.00 ± 6.54), 결과지각(22.75 ± 6.5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미혼이 기혼보다 높았고 근무지역에 따라 서울이 경상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근무기관에 따라서는 대학/종합병원, 재활/요양병원이 기타 기관보다 높은 인권감수성을 보였으며, 근무분야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이 기타 대상에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단보다 더 높은 인권감수성을 보였다.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옹호활동의 차이는 근무지역, 근무기관, 임상경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근무지역에 따라 옹호활동은 서울, 경기도가 경상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근무기관에 따라서는 재활/요양병원이 기타 기관과, 대학/종합병원보다 더 높았다. 임상경력에 따른 차이는 3~5년차와 6~10년차가 11년차 이상보다 옹호활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의 3가지 하위영역과 옹호활동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이때 옹호활동 변수의 40.5%를 설명하였다(F=79.288). 인권감수성의 3가지 하위영역을 독립변인으로 동시에 투입하여 옹호활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옹호활동에 대하여 상황지각과 결과지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책임지각은 양(+)의 방향으로(p<.001)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책임지각이 1점 증가할 때마다 옹호활동은 .076점만큼 증가하였고, 이때 옹호활동 변수의 43.4%를 설명하였다(F=79.288). 결론 : 인권감수성과 옹호활동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권감수성 3가지 하위영역 중 책임지각 변수가 옹호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작업치료사의 옹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인권감수성의 개념이 포함된 인권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정치참여가 대상자 옹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Nurses on Patient Advocacy)

  • 김민지;이현경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2호
    • /
    • pp.140-14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patient advocacy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nurses on patient advocacy theory.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232 nurses from a tertiary hospital, three general hospitals, and a public health center in two districts of a metropolitan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WIN 21.0. Results: The mean score of patient advocacy was 4.64±0.55 out of 6, nursing professional value was 3.60±0.49 out of 5,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as 2.21±0.71 out of 5. Nursing professional value (r=.37, p<.001) and political participation (r=.23, p<.001)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tient advocacy. Factors influencing patient advocacy were identified as nursing professional value (β=.28, p<.001) and political participation (β=.15, p=.014).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at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re key factors of patient advocacy, educational strategies and endeavors as level of professional organization are recommended for enhancing patient advocacy.

임신 중 흡연에 의한 태아학대: 태아생존권 옹호를 위한 접근 (Critical Discussion on Smoking During Pregnancy as a Form of Fetal Abuse: An Approach to Advocate for Fetal Right to Life)

  • 김영미;조갑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17-325
    • /
    • 2016
  • Purpose: Smoking during pregnancy contributes to the risk of negative health outcomes in mothers and bab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harmful effects of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on fetal and child development, to discuss if maternal smoking should be criminalized as a form of child abuse, and to explore advocating for fetal rights. Methods: A variety of published literature and legal documents including the Korean constitution, criminal laws, and children's welfare laws were reviewed and critically analyzed. Results: Women who smoke during pregnanc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bortion related to placental dysfunction. Their unborn risk premature birth, fetal growth restriction, low birth weight, neurobehavioral disturbances, and/or other complications and newborn babies are also at risk for complications. The advocates for fetal rights can assert that maternal smoking should be regarded as a crime.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is a major risk factor for many adverse pregnancy outcomes. Effective strategies and health policies for smoking cessation during pregnancy are required to protect pregnant women and their babies.

임상간호사의 개인정보보호 실천 영향요인: 개인정보보호법 지식, 옹호간호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Nurses'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cusing on Knowledg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Nursing Patient Advocacy)

  • 김동은;박완주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3호
    • /
    • pp.261-27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knowledg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nursing patient advocacy on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nur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130 nurses who have worked for six months or more in the ward of the tertiary or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20 to March 3, 2023. Results: Factors influencing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ere acting as an advocate (β=.32, p=.004),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influences (β=.21, p=.040), knowledg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β=.19, p=.013) and clinical experience for five years or more but less than ten years (β=.17, p=.036). The regression model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34.0%. Conclusion: Acting as an advocate has the most effect on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o promote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nurs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related to privacy protection and encourage nursing patient advo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