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문화가족 아동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방사기저함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우울증상 경험 예측 모델링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 Modeling of Depression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93-298
    • /
    • 2017
  • 이 연구는 방사기저함수(RBF)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우울증상 경험 예측 모델링을 구축하였다. 전국조사에 참여한 만 9세 이상 12세 이하 다문화 자녀 초등학생 23,291명(남 12,016명, 여 11,275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변수는 이분형의 우울증상 경험으로 정의하였고, 설명변수는 성, 거주지역, 사회적 차별 경험, 지난 1년간 학교폭력 경험, 한국어 교육 경험,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이용경험, 한국어 읽기, 한국어 말하기, 한국어 쓰기, 한국어 듣기, 한국 사회 적응 교육 경험을 포함하였다. RBF 인공신경망 모델링 결과, 한국어 교육 경험, 학교 폭력 피해 경험, 한국 사회 차별 경험, 한국어 읽기 수준은 다문화 초등학생의 우울증상을 분류하는 주요 예측 요인이었다. 다문화 아동의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한국어 읽기 수준이 저하된 집단에 대한 우선적인 관심과 상담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23-633
    • /
    • 2019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의사소통능력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 다문화센터를 이용하는 고등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총 11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검증 단계를 거쳤으며 Sobel test를 통해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의 빈도와 의사소통능력은 학교적응과 서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지지의 중요성에 대한 지각은 의사소통능력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 학교적응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사회적지지(빈도)와 의사소통능력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의사소통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부모참여형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arent Participation education Program - for Multi-cultural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

  • 김은정;정세미;정지영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7호
    • /
    • pp.217-253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 저학년 자녀를 둔 다문화 부모가 부모교육의 개발과 진행과정에 참여함에따른 부모교육의 개발 및 운영과정을 살펴보고, 프로그램의 성과 및 성과요인을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심층면접, 문서자료 검토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다문화 부모교육은 프로그램 기획, 진행, 종결의 3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진행단계마다 부모들의 참여를 통해 의견을 반영하는 과정으로 운영되었다.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로는 '부모로서의 성장', '새로운 다문화 형성', '지지체계 형성' 이라는 3개의 상위범주와 8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 도출요인으로 '당사자 주도형 프로그램 개발', '부모 참여형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 '유연한 집단운영구조의 활용', '당사자 및 연구진, 운영진 간 긴밀한 상호교류와 소통'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실천현장에서 효과적인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의 소수언어 구사수준: 이중문화 수용태도, 부모의 교육적 지원, 부모-자녀 간 소수언어 사용도의 영향 (Minority Language Proficienc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nd the Use of the Minority Language at Home)

  • 캉리;최나야;강소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4호
    • /
    • pp.543-556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ulticultural adolescents' proficiency in their mother's native language, or their immigrant mother's native language.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from the survey answered by 1,028 multicultural adolescents aged 15 years old and whose mothers were from foreign countries for the 6th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in 2016.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adolescents' minority language proficiency was generally low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ir gender, parents'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and mother's native country. More specifically, a higher proficiency in minority language was found for girls than boys, adolescents with a higher parental educational level, adolescents with a higher income, and adolescents whose mothers were from Japan or China,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Philippines, Thailand, or Vietnam. Seco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minority language proficiency and 1) foreign culture acceptance, 2)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nd 3) the use of the minority language at home. Third, foreign culture acceptanc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nd the use of the minority language at home were predicto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inority language proficiency.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multicultural adolescents' minority language proficiency, elucidating their bilingual development, whereas previous studies have only focused on their proficiency in Korean, which is the majority language.

장애아동어머니의 자녀 취학준비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 박천희;양성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13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e study focused on how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prepared for their children's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nd how they experienced their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Twenty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or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mother had experienced an inclusive education program at an elementary school for more than a year. Twelve mothers hav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ight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collect qualitative data.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ollowe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Giorgi.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ere actively involved with inclusive day care centers and therapy programs to prepare for children elementary school. Most wished to send their children to a general elementary school with an inclusive program, although decision making was not easy. When their children entered elementary school, some mothers observed their children's struggle with school and their peer relationships. They sought support from teachers and other mothers. These mothers showed a desire for their children's social independence.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to develop support programs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과 부모-자녀 응집성이 자아존중감 및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Proficiency and Parent-child Cohesion on Self-esteem and Acculturati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김미예;임지영;그레이스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79-888
    • /
    • 2012
  • Purpose: There is evidence that parent-child cohesion is a potentially influential factor in children's self-esteem and acculturation. However, no research to date has examined cohesion with parents as a potential pathway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self-esteem or acculturati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was done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by examining whether and to what extent cohesion with parents mediated the effect of Korean proficiency on self-esteem and acculturati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138 mothers and their children living in Seoul, Daegu, Kyungi province, and Kyungpook provi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interest. Mediation effects of cohesion with parents were tested by following the procedure recommended by Baron and Kenny (1986). Results: Cohesion with parent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self-esteem. For children's acculturation, the effect of Korean proficiency was partially mediated through father-child cohesion. Mother-child cohes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accultura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self-esteem or acculturation, it might be useful to develop programs that are aimed at strengthen cohesion with parents.

중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 새터민에 대한 고정관념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tereotypical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Saeteomins (North Korean Refugees) to Knowledge of North Korea)

  • 윤옥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20-833
    • /
    • 2009
  • 다문화 교육의 실천은 세계 여러 나라마다 다문화 사회 형성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대해 여러 분야에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터민에 대한 고정관념과 사회적 친밀감의 정도가 북한에 대한 지식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새터민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이주해 온 이주자들처럼 한국사회에 적응해야하는 상황이면서, 언어적, 민족적 동질성을 가진 특수성을 가진다. 같은 민족이면서 다른 문화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새터민과 남한 사람사이에는 문화적 이질감이 존재하고 있는데 새터민의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은 다문화적 감수성을 함양의 한 축이라고 할 수 있다. 새터민의 탈북양상이 최근 가족단위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학령기 아동의 한국사회 적응은 관련 당사자 모두의 과제인 가운데,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중학생들이 새터민 학생들을 바라보는 시각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북한에 대한 지식을 범주화하여 교과지식, 북한상식, 시사이슈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설명력 분석 결과, 북한에 대한 지식은 새터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라 북한에 대한 교육 내용이 변화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지리교육 내용을 구성에 시사점을 가지며, 다문화교육 실천에 교과의 내용지식의 활용 가능성을 밝혔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PDF

다문화 청소년의 지각된 차별감이 민족정체성 혼란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역량을 통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Ethnic Identity Conflict: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through Bicultural Competence)

  • 김지원;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151-164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garding feelings of conflict over their ethnic identity b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role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and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mediated by bicultural competence. A total of 234 middle school students (grades 7-8; 139 girls and 95 boy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which the father is Korean and the mother is not,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via SPSS 26.0 and Process (Version 4.1) MACRO.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cultural competence mediated th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feelings of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Enhanced bicultural competence resulting from a lower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contributed to a reduction in feelings of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Seco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f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was not. Thus, the mediation relationship (lower perceived discrimination increased bicultural competence and, thus, reduced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grew stronger as the level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increa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cover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ethnic identity develop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particularly highlighting the important role of Korean fathers within multicultural households.

한국 이주배경 청소년의 이주경험과 정신건강 (Understanding of migration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immigrant youth)

  • 유비;최정태;손예진;김기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231-262
    • /
    • 2017
  •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총체적 이주경험은 그간 실천적 학문적으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해 왔다. 국외 실증연구들의 결과와 이론적 논의에 의하면 이주와 연관되어 출생지에서 경험하는 유수기간 및 유수기간 내 동거인의 차이와 이주 이후의 거주기간, 가족과 또래의 지지 등 정주지 사회에서의 경험은 이주경험이라는 큰 틀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탐색적 시론적인 연구로서,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이주이전 경험과 이주이후 경험 그리고 우울, 불안, 자살생각 등의 부정적 정신건강문제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이주이전의 유수기간과 유수기간 내 주 양육자 이외 친척, 형제, 친구와의 동거여부는 이주이후 또래와 가족의 지지 및 한국문화적응 수준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부정적 정신건강문제들과 연관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 함의 등을 논의하였다.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Home-Visit Instructors)

  • 채진영;김헤라;황혜신;권기남;강복정;서주현
    • 아동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3-94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education levels, majors, and teaching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y home-visit instructors an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job involvement. Methods: 668 home-visit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from 140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6 metropolitan cities, 9 provinces, and other cities and counti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s, one-way ANOVA, $Scheff{\acute{e}}$ post-hoc test,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using SPSS 21.0.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structors who were high school gradua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leadership than the other group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ward of self-leadership based on their maj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education level and major. The greater their home-visit teaching experiences, the higher their scores i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Seco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self-expectation, self-goal setting, constructive thinking, and rehearsal of self-leadership explained 49% of the total variance in job involvement. Conclusion: Even though the high school gradua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expectation, rehearsal, and constructive thinking of self-leadership than the other groups, over-generalization should be avoided because the sample size was relatively small. Based on the finding that greater home-visit teaching experienc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to prevent instructors from changing jobs. These findings stres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home-visit instructors to develop leadership, thus improving job invol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