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김주연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아동가족상담학과)
  • Received : 2018.09.03
  • Accepted : 2018.12.13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South Korea. The high school students from one to three degree in the school, who are joined the center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yeonggi-do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Total 110 we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23.0, and used 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to estim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ocial support, communication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were significant associated each other, and ha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ly, communication skilsl of multicultural families'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의사소통능력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 다문화센터를 이용하는 고등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총 11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검증 단계를 거쳤으며 Sobel test를 통해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의 빈도와 의사소통능력은 학교적응과 서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지지의 중요성에 대한 지각은 의사소통능력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 학교적응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사회적지지(빈도)와 의사소통능력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의사소통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표 1. 주 변인들의 기술통계

CCTHCV_2019_v19n1_623_t0001.png 이미지

표 2. 주 변인들과 하위요인들의 상관분석

CCTHCV_2019_v19n1_623_t0002.png 이미지

표 3.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CCTHCV_2019_v19n1_623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4&nttId=60528
  2.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43&boardSeq=57128&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0209&opType=N
  3. http://www.fnnews.com/news/201806290928081660
  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6/22/0200000000AKR20180622062200371.HTML?input=1179m
  5. 윤경희, 장일식,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위험성 예측을 위한 탐색적 연구," 경찰학논총, 제10권, 제1호, pp.147-178, 2015.
  6. 최윤미, 임성택,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제5권, 제2호, pp.15-26, 2012.
  7. 박성훈, 전영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특성에 관한 연구:일반적인 비행요인과 다문화 특성요인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제11권, 제3호, pp.55-75, 2017.
  8. 이상호, 김대군, 박균열,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적응력 함양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제36권, pp.239-258, 2015.
  9. 전경숙, 송민경, "다문화가정 자녀의 출신국적 배경에 따른 한국생활 적응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11호, pp.305-330, 2011.
  10. R. E. Ployhart and P. D. Bliese, Individual adaptability Theory: Conceptualizing the Antecedents, Conseuences and Measure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Adaptability, A prerequisite for Effective Performance within Complex Environments, L.G. Pierce and E. Salas, Eds. Elsevier, 2006.
  11. R. D. Felner, M. Aber, J. Primavera, and A. Cauce,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in High-Risk Adolescents: An Examination of Environmental Mediator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3, No.4, pp.365-379, 1985. https://doi.org/10.1007/BF00911214
  12.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13. R. W. Lent, "Toward a Unify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on Well-be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1, No.4, pp.482-509, 2004. https://doi.org/10.1037/0022-0167.51.4.482
  14. 고유미, 이정윤,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된 요인," 청소년상담연구, 제17권, 제1호, pp.49-63, 2009.
  15. 신혜정, 서영석, "청소년의 학교 급별(초,중,고)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및 적응 간의 구조모형 분석," 상담학연구, 제7권, 제1호, pp.117-130, 2006.
  16. 정승현, 심미영, "청소년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75-28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275
  17. 이희정, "도시 청소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개인,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 관련 예측변인," 교육문화연구, 제21권, 제2호, pp.27-56, 2015.
  18.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19.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20. 모상현,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제53권, pp.67-93, 2018.
  21. 장성진, 김진숙,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8호, pp.77-102, 2012.
  22. 한혜성, 다문화가정 자녀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2.
  23. 조슈아박, 김평화, 김근희, "토론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Speech & Communication, 제15권, 제1호, pp.170-198, 2016.
  24. 간호옥, 박완재, "학교 부적응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2권, 제3호, pp.5-23, 2005.
  25. 홍정은,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표현능력, 학교생할 적응과의 관계-남녀공학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6.
  26. 두진영,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정서행동문제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정신보건, 제14권, pp.1-29, 2008.
  27. 심미라,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과 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석사논문, 2008.
  28. 김지성, 김화수, "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한부모가정학, 제5권, 제1호, pp.24-35, 2015.
  29. 좌현숙, "청소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6호, pp.1-28, 2012.
  30. 김수진, 홍창의, "다문화가정 자녀의 차별경험과 언어문제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과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1호, pp.195-211, 2017.
  31. 우룡, "도시와 농어촌지역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분석," 청소년보호지도연구, 제11권, pp.25-54, 2007.
  32. 백지숙, 김진, 정효경, "인구배경학적 요인,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제12권, 제1호, pp.127-141, 2014.
  33. 이청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의사소통 삶의 질비교:학교급별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석사논문, 2015.
  34. 이종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자아정체성 및 학교적응의 상관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과 대학원, 석사논문, 2011.
  35. C. K. Malecki and M. K. Demaray, "Measuring Perceived Social Support:Development of the Child and Adolescent Social Support(CASSS),"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39, No.1, pp.1-18, 2002. https://doi.org/10.1002/pits.10004
  36. 김지혜, 김정남, 남정현, 천성문, "고등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논단, 제7권, 제1호, pp.39-56, 2008.
  37.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제27권, 제6호, pp.380-408, 2003.
  38.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9.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Inc. 1995.
  40. 김승경,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1: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청손녀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pp.1-203, 2013.
  41. 이지영,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모의 스트레스가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7, No.2, pp.105-12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