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Mediation of Acceptance

정서인식 명확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용의 매개효과

  • 최문정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 이수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Received : 2018.10.08
  • Accepted : 2018.11.12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To this purpose,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with 208 unmarried subjects ranging in age from 19-35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SPSS 21.0 and AMOS 21.0 was used to analysis procedure.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primary factors, emotional cla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ceptance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accept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Secon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verified that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Third, this study verified a partial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also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way. These results verify that emotional clarity has not only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but also an indirect effect through acceptance. Lastly, this study discusse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세에서 35세의 서울 경기 소재 미혼 성인 208명을 연구대상으로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 수용 척도를 실시하고, SPSS 21.0 및 AMOS 21.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정서인식 명확성, 수용, 이성관계 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정서인식 명확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수용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경로의 유의성 또한 검증되었다. 이 결과 정서인식 명확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 뿐만 아니라 수용을 통한 간접적 영향 또한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60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1_60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연구모형(좌)과 경쟁모형(우)

CCTHCV_2019_v19n1_608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최종모형의 경로계수

표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량

CCTHCV_2019_v19n1_608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1_608_t0002.png 이미지

표 3. 측정모형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1_608_t0003.png 이미지

표 4.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1_608_t0004.png 이미지

표 5. 매개효과 검증결과

CCTHCV_2019_v19n1_608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E. H. Erikson, "The Nature of Clinical Evidence," On Evidence and Inference, Vol.87, No.4, pp.65-87, 1958.
  2. C. Hazan and P.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No.3, p.511,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3.511
  3. 조유리,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와 성격강점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 Vol.2 .Attachment, New York: BasicBooks, 1973.
  5. 방진영, 미혼 남.여의 자아분화 수준과 성역할정체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6. V. Satir, The new Peoplemaking,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Inc. 나경범 역, 아름다운 가족, 경기 : 창조문화, 1988.
  7. 이건화, 대학생의 성인 애착 불안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 : 정서인식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8. S. A. Lloyd and R. M. Cate, "Attribution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Turning Points in Premarital Relationship Development and Dissolu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2, No.4, pp.419-436, 1985.
  9.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70322010008175, 2018.3.5
  10. C. R. Rogers, On becoming a person, Boston : Houghton Mifflin, 1961.
  11. 김정규, 게슈탈트 심리치료, 서울 : 학지사, 1995.
  12. 정민, 이성교제 시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갈등 대처방식과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3. S. Wilson-Shockley,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 depression: The contribution of negative affec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95.
  14. J. D. Mayer, M. DiPaolo, and P. Salovey, "Perceiving Affective Content in Ambiguous Visual Stimuli: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4, No.3-4, pp.772-781, 1990.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403&4_29
  15. A. Swinkels and T. A. Giuliano,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1, No.9, pp.934-949, 1995. https://doi.org/10.1177/0146167295219008
  16. 박상화, 기혼자의 자아존중감과 결혼만족과의 관계 :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7. 정지은,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이성관계 만족도 사이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조절의 매개역할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8. 김희경,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서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9. 염신애,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0. 전성규, 대상관계수준과 파트너 행동수용이 이성관계 집착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1. 김은정, 남녀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 : 조망수용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2. 김영자, 정남운,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1권, 제2호, pp.395-409, 2016. https://doi.org/10.17315/KJHP.2016.21.2.006
  23. 임전옥,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4. 이서진, 김은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심리적 수용에 따른 군집 비교: 긍정 정서, 부정 정서, 불안 및 우울," 상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65-87, 2016.
  25. L. Roemer and S. M. Orsillo, "Expanding our conceptualization of and treatment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tegrating mindfulness / acceptance-based approaches with existing cognitive-behavioral model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Vol.9, pp.54-68, 2002. https://doi.org/10.1093/clipsy.9.1.54
  26. G. Matthews, M. Zeidner, and R. D. Roberts,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Emotional Intelligence : Science and Myth], (문용린, 곽윤정, 강민수, 최경아 공역), 서울 : 학지사, 2010.
  27. 권성일, 정현희,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사회불안 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우울, 부적응적 인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인지행동치료, Vol.14, No.2, pp.145-164, 2014.
  28. 김경희, "수용전념치료(ACT)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5호, pp.145-153,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5.145
  29. 강은아, 아동.청소년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0. W. Furman and L. Shaffer, "The Role of Romantic Relationships in Adolescent Development: Wyndol Furman and Laura Shaffer," In Adolescent romantic relations and sexual behavior. Psychology Press, pp.17-36, 2003.
  31. E. H. Erikson, "Identity and the life cycle: Selected papers," Psychological Issues, Vol.1, pp.1-171, 1959.
  32. H. J. Markman, "Prediction of marital distress: A 5-year follow-up,"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9, No.5, pp.760-762, 1981. https://doi.org/10.1037/0022-006X.49.5.760
  33. 이지연, 서수균, "비합리적 신념과 이성관계 만족도 사이에서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0권, 제3호, pp.775-791, 2011.
  34. 설기문, "우리나라 대학상담의 이론적 모형-청소년 상담이론 모형의 모색,"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23권, pp.30-38, 1993.
  35. H. H. Harold, E. Berscheid, A. Christensen, J. H. Harvey, T. H. Huston, G. Levinger, E. Mcclintock, L. A. Peplau, and D. R. Peterson, Analyzing close relationships,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pp.20-67, 1983.
  36. 이루진,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성인애착과 이성관계 민족도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7. 박남숙,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이 이성교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1호, pp.197-215, 2005.
  38. 김경심,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9. 최경숙, 성인애착과 자기효능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0. 노현숙, 관성과 스트레스지각이 갈등해결양식 및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1. 이설아, 박기환, "유기 도식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3권, 제1호, pp.1-17, 2013.
  42. J. W. Pennebaker, Emotion, disclosure, & health,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5.
  43. P. Salovey and D. Grewal, "The Sci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제14권, 제6호, pp.281-285, 2005. https://doi.org/10.1111/j.0963-7214.2005.00381.x
  44. 권진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5. 박경옥, 정서강도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6. 이한우, 염동문, 이미희, "대학생의 정서인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Vol.30, No.2, pp.415-433, 2014.
  47. 우다빈,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정서조절과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8. 박상화, 하창순, "기혼자의 자아존중감,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과의 관계: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7권, 제6호, pp.499-522, 2016.
  49. 성혜옥, 정서중심부부치료(EFT)의 한국적 모델에 관한 연구: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50. 강진희, 남녀 대학생의 교제유형, 정서경험특성, 갈등해결전략 및 이성관계만족도 간의 관계,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1. J. V. Cordova and R. J. Kohlenberg, "Acceptance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pp.125-140, 1994.
  52.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서울: 학지사, 2012.
  53. 문현미,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수용-전념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54. L. Greenberg, "Acceptance in experiential therapy,"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pp.53-67, 1994.
  55. 윤호균, "심리 상담의 치료적 기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7, No.1, pp.1-13, 2005.
  56. 서순림, 조인희,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와 수용이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829-83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829
  57. 정교영, 신희천, "부부치료의 주요 이론적 접근과 최근 연구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1호, pp.1-30, 2007. https://doi.org/10.18205/KPA.2014.19.1.001
  58. 홍순건, 채규만, "한국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인간이해, 제31권, 제2호, pp.299-316, 2010.
  59. 신선화, 정구철, "자기수용과 가족용서가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277-28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277
  60. J. D. Mayer and A. A. Stevens, "An Emerging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 (Meta-) Experience of M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28, No.3, pp.351-373, 1994. https://doi.org/10.1006/jrpe.1994.1025
  61. A. M. Kring and K. H. Werner,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pathology," The Regulation of Emotion, pp.359-385, 2004.
  62. 김영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의 수용과 정서적 지지, 그리고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제25권, pp.37-58, 2007.
  63. 김은지, 부모애착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4. 송은주, 부모화, 성인애착과 이성관계 만족 관련변인의 구조모형 검증,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65. P. Salovey, J. D. Mayer, S. L. Goldman, C. Turvey, and T. P. Palfai,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Emotion, disclosure, & health, pp.125-154, 1995.
  66. 이수정, 이훈구, "Trait Meta-Mood Scale 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1권, 제1호, pp.95-116, 1997.
  67. S. C. Hayes, K. Strosahl, K. G. Wilson, Richard T. Bissett, J. Pistorello, D. Toarmino, M. A. Polusny, T. A. Dykstra, S. V. Batten, J. Bergan, S. H. Stewart, M. J. Zvolensky, G. H. Eifert, F. W. Bond, J. P. Forsyth, M. Karekla, and S. M. McCurry,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A preliminary test of a working model," The Psychological Record, Vol.54, No.4, pp.553-578, 2004. https://doi.org/10.1007/BF03395492
  68.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제1호, pp.35-51, 1998.
  69. D. K. Snyder,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41, No.4, pp.813-823, 1979. https://doi.org/10.2307/351481
  70. 유소영, 사랑요소의 지각된 불일치와 책임귀인 양식에 따른 이성관계만족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71. 이유진, 대학생의 부모애착, 부모간 상호작용과 이성관계 만족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72. S. Hong, M. L. Malik, and M. K. Lee,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3, No.4, pp.636-654, 2003. https://doi.org/10.1177/0013164403251332
  73.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74. K. G. Joreskog and D. Sorbom,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Spss, 1989.
  75. 송현, 최보람, 이영숙,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과 외상 후 성장 및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 인문학논총, 제30권, pp.415-438, 2012.
  76. 김길현, 하규수,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12권, 제5호, pp.256-27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