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늑도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8초

경남 사천 늑도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특성 고찰 (Archeological Chemical analysis and Characteristic Investigation on Glass Beads Excavated in Sacheon Neukdo Island, Gyeongsangnam-do)

  • 권윤미;김규호;신용민
    • 보존과학회지
    • /
    • 제20권
    • /
    • pp.105-117
    • /
    • 2007
  • 사적 제450호 사천 늑도 유적에서 출토된 구슬의 분석을 통하여 이 유적의 고대유리 문화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경상도 지역 출토 고대유리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시료는 광학현미경과 SEM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비중측정을 통해 물성을 확인하였다. SEM-EDS를 이용하여 유리의 구성 요소인 융제, 안정제, 착색제의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XRD를 이용하여 기타 구슬시료의 재질을 조사하였다. 조개구슬로 분류한 백색 불투명 구슬은 비정질의 규산염계 물질로 확인되었으며, 청색 계열의 유리구슬은 포타쉬유리군($SiO_2-K_2O$ group). LCA(Low-CaO, $Al_2O_3$) 계통으로 색상별로 벽색과 청록색은 LCA-A(LCA-CaO<$Al_2O_3$) 계통, 감색은 LCA-B(LCA-CaO>$Al_2O_3$) 계통으로 확인된다. 이를 경상도지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와 비교하면 AD $2{\sim}3$세기 이전의 포타쉬유리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 PDF

한국 남해 및 서해 연안 해산 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Sponges from the South Sea and the Yellow Sea of Korea)

  • 심정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권1_2호
    • /
    • pp.21-30
    • /
    • 1985
  • 본인은 1984년 6월부터1985년 5월까지 서해연안(작약도, 대천, 안면도, 안흥)과 남해연안의 삼천포를 중심으로 한 부근섬(신수도, 늑도, 비진도, 충무) 및 거제도, 제주도 등지에서 채집된 재료 90여점과 그간 미해결로 보류되어있던 기존 표본들을 동정분류한 결과 26 종의 기록종과 3 종의 한국 미기록종(Spongia officienalis , S. zimmocca, Tedania Tublifera)이 밝혀졌다. 기록종 가운데 Esperiopsis uncigera 와 Hymeniacidon sinapium은 재검토되었다.

  • PDF

늑도에서 출토된 탄화곡 (Carbonized grains excavated at Nook-Do)

  • 허문회;서학수;이재현;안성희
    • 고문화
    • /
    • 57호
    • /
    • pp.25-39
    • /
    • 2001
  • 부산대학교박물관 팀이 서기2000년에 경남 사천시 늑도의 AD3세기 주거지를 제2차로 발굴하였는데 거기서 출토된 탄화곡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밀(소맥 Triticum aestivum) 180톨, 보리(대맥 Horudeum vulgare) 4톨, 쌀(미 Oryza sativa) 6톨이 물체질로 수습되었다. 밀은 훼손된 것이 많고 현재의 재배종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고 둥글다. 보리는 현재의 재배종과 거의 비슷하였다. 쌀은 지금의 재배종보다 소형이었는데 유전적으로 소형이었는지 도정과 정이나 또는 땅속에서 미생물의 침식으로 소형으로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쌀의 외형은 세장한 indica는 아닌 것 같이 보였다. DNA 분석 결과는 밀, 보리, 쌀 모두 공시된 시료(입)간에도 변이가 있고 각각의 재배종과도 차이가 있어서 이들 재배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이 짐작된다. 쌀의 유전적 구성 검토결과는 시료와 primer의 제한으로 japonica인지 indica인지 확정할 수 없었다.

  • PDF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출토인골의 개인 동정-사천 늑도 출토 인골과 민통선 민묘 출토 인골을 중심으로 (Personal identification of the excavated ancient human bone through molecular-biological methods)

  • 서민석;이규식;정용재;이명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2호
    • /
    • pp.27-40
    • /
    • 2001
  • DNA typing is often used to determine identity from human remains. Recently, the molecular biological analysis of ancient deposits has become possible since methods for the recovery of DNA conserved in bones or teeth from archaeological remains have been developed. In the field of archaeology, one of the most promising approaches is to identify the individuals present in a mass burial site. We performed nuclear DNA typing and mitochondrial DNA sequencing analysis based on PCR from a Korea ancient human remain excavated from Sa-chon Nuk-island and civilian access controlline(CACL). A femur bone were collected and successfully subjected to DNA extraction, quantification, PCR amplification, and subsequently typed for several shot tandem repeat(STR)loci. 4 types of STR systems used in this study were CTT multiplex(CSF1PO, TPOX, TH01), FFv multiplex(F13A01, FESFPS, vWA), Silver STRⅢ multiplex(D16S539, D7S820, D13S317), and amelogenin for sex determination. This studies are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extraction, amplification, and DNA typing of ancient human bone DNA samples. Also, it is suggestive of importance about closely relationship between both fields of archaeology and molecular biology.

  • PDF

경산 임당동 및 사천 늑도 출토 인골의 유전자 분석 (Genetic Analysis of Ancient Human Bones Excavated in Sacheon Nuk-do and Gyeongsan Yimdang-dong, Korea)

  • 서민석;이규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5호
    • /
    • pp.47-74
    • /
    • 2004
  • We investigated the nucleotide substitution and insertion polymorphism of the hypervariable region Ⅰ and Ⅱ in mt DNA by sequencing ancient DNA from 51 ancient bones and teeth excavated at Nuk-do and Yimdang-dong in Korea. It revealed 35 sequence types from the ancient Korean. Of these, different sequences were 34 sequences. There were 19 and 38 base substitutions in HVI and HVⅡ, respectively. Some substitutions were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populations as compared with data reported on Caucacianpopulations,16051, 16150, 16172, 16223 in region I and 73, 263 in region II were noted as polymorphic sites, respectively. These were distributed evenly along the control region, though the frequency of each site was variable. Nucleotide substitution rather than insertion and deletion was the prevalent pattern of variation. Insertion of cytosine between312 and 315 in region HVⅡ were detected up to 98% in 51 ancient bone samples. This sequence data represents a phylogenetic tree using NTI DNA Suite computer program. The phylogenetic tree showed that mt DNA sequences of Nuk-do bones were relative to west Siberian and Indonesian. The usefulness of mt DNA sequencing in ancient Korean population excavated atarchaeological sites is based on biological and historical evidence for origin and migration of ancient Korean.

  • PDF

한국 서해산 쇄방사늑조개, Potamocorbula ustulata ustulata (Reeve, 1844) 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Asian Clam Potamocorbula ustulata ustulata (Reeve, 1844) on the West Coast of Korea)

  • 류동기;김영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3
    • /
    • 2007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전라북도 고창군 주진천에 서식하는 쇄방사늑조개의 서식지 환경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서식지의 월별 수온은 $4.6-29.3^{\circ}C$로 나타났으며, 1월에 가 장 낮았고, 8월에 가장 높았다. 지온은 $2.6-29.4^{\circ}C$로 나타났으며 수온과 비슷하게 1월과 2월에 낮았고 8월에 가장 높았다. 월별 염분은 2.3-20.2 psu로 평균 $8.21\;{\pm}\;4.77\;psu$였다. 쇄방사늑조개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된 윤문 형성 시기는 10-12월임을 확연할 수 있었다. 초륜의 형성 기간은 약 5개월 (0.42년) 으로 나타났으며, 각장 (SL) 과 각고 (SH) 간의 관계는 SH = 0.4352 SL + 0.5642 ($R^2\;=\;0.978$) 이고, 각장과 각폭 (SW) 간의 관계는 SW = 0.4352 SL - 0.5675 ($R^2\;=\;0.957$) 이며, 각장과 전중량 (TW) 간의 관계는 $TW\;=\;6.999\;{\times}\;10^{-5}\;SL^{3.2542}\;(R^2\;=\;0.975)$ 로 나타났다. 연령 (t) 에 대한 각장 (SL) 의 Bertalanffy 성장식은 $SL_t\;=\;30.77\;[1-e^{-0.4572(t+0.7371)}]$였으며, 전중량 (TW) 의 Bertalanffy 성장식은 $TW_t\;=\;4.87\;[1-e^{-0.4572(t+0.7371)}]^{3.2542}$로 추정되었다.

  • PDF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H. Lév.)의 분류학적 재고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Lactuca hallaisanensis H. Lév.)

  • 박재홍;김영옥;최경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1-319
    • /
    • 2001
  • 제주도의 고유종인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H. $L{\acute{e}}v$.)의 분류학적 위치를 밝히기 위하여 과피의 해부학적 형질 및 염색체 형질을 조사하였다. 한라고들빼기의 과피의 종단면의 해부학적 형질은 가장 중앙에는 배가 차지하고, 나선무늬로 비후된 종피로 둘러싸여 있었다. 과피는 늑부(costa)와 늑부간(intercosta)으로 구성되어졌고, 늑부의 수는 10-11개 정도이었다. 늑부는 인피상섬유(libriform fibre)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섬유상보강조직(fibre-sclereid)은 1-2열의 세포층을 이루었다. 본 연구결과 체세포 염색체수는 2n=10, 염색체 기본수가 X=5이었다. 염색체의 전체 길이는 $23.3{\mu}m$이었고, 각 염색체의 크기는 $1.9{\mu}m-2.9{\mu}m$이었으며, 기본 핵형은 3sm+2st이었고, 1번 염색체에 2차 응축을 가졌다. 과피의 해부학적 형질 및 핵형학적 형질을 비교하면 한라고들빼기는 상치속보다는 긴갯고들빼기속과 대부분의 형질을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한라고들빼기의 학명은 상치속(Lactuca)보다는 긴갯고들빼기속(Crepidiastrum)으로 전속하여야만 한다.

  • PDF

한국의 제주에서 발견된 바다거북 잡종(Caretta caretta ${\times}$ Chelonia mydas)에 대한 첫 보고 (First Report of a Hybridization between Caretta caretta and Chelonia myda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 구교성;한상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77-381
    • /
    • 2014
  • 이 논문은 국내에서 발견된 잡종 바다거북 (Caretta caretta ${\times}$ Chelonia mydas)에 대한 첫 번째 보고이다. 2012년 5월 7일 바다거북류 한 개체(JST01)가 제주도 동쪽해안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국내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바다거북류 두 종(C. caretta and C. mydas)과 JST01의 외부형태를 비교한 결과, 채색, 등갑의 형태, 부리(upper beak)의 모양, 연갑판에 거치 그리고 앞발 발톱 개수 등의 외부형태는 C. caretta와 일치하였다. 반면, 연갑판, 서계갑판 그리고 늑갑판의 수, 용골이 없는 매끈한 등갑, 늑갑판과 정갑판이 접촉하지 않는 점 등은 C. mydas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C. caretta와 C. mydas의 외부형질들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JST01은 서로 다른 두 종간에 생겨난 교잡종이라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는 바다거북류에서 나타나는 잡종형성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