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order to evaluate taxonomic status of Latcuca hallaisanensis H. $L{\acute{e}}v$., an endemic species of the Jeju-do Island, we investigated fruit wall structure and chromosome morphology. The fruit wall structure had 10-11 obtuse costae in the transverse section. The costa was wholly occupied by libriform fiber cells, and the underlying fibersclereid tissue was only one to three cells layers thick. Also, the intercosta lacked fiber-sclereid layers. Somatic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 of Latcuca hallaisanensis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This diploid species (2n=10) with the same basic number of x=5 has the total chromosome length $23.3{\mu}m$ and the length of each chromosome falls in $1.9{\mu}m-2.9{\mu}m$. It possess the karyotype complement i.e., 3sm+2st and a characteristic chromosome pair (No. 1 and 2) with a secondary constriction at the distal portion of the short arms. The overall similarity in external morphology (involucre, achene etc), chromosome morphology as well as in fruit wall anatomy between Lactuca hallaisanensis and Crepidiastrum s. lat. clearly indicated that this species should be treated as Crepidiastrum, rather than Lactuca.
제주도의 고유종인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H. $L{\acute{e}}v$.)의 분류학적 위치를 밝히기 위하여 과피의 해부학적 형질 및 염색체 형질을 조사하였다. 한라고들빼기의 과피의 종단면의 해부학적 형질은 가장 중앙에는 배가 차지하고, 나선무늬로 비후된 종피로 둘러싸여 있었다. 과피는 늑부(costa)와 늑부간(intercosta)으로 구성되어졌고, 늑부의 수는 10-11개 정도이었다. 늑부는 인피상섬유(libriform fibre)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섬유상보강조직(fibre-sclereid)은 1-2열의 세포층을 이루었다. 본 연구결과 체세포 염색체수는 2n=10, 염색체 기본수가 X=5이었다. 염색체의 전체 길이는 $23.3{\mu}m$이었고, 각 염색체의 크기는 $1.9{\mu}m-2.9{\mu}m$이었으며, 기본 핵형은 3sm+2st이었고, 1번 염색체에 2차 응축을 가졌다. 과피의 해부학적 형질 및 핵형학적 형질을 비교하면 한라고들빼기는 상치속보다는 긴갯고들빼기속과 대부분의 형질을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한라고들빼기의 학명은 상치속(Lactuca)보다는 긴갯고들빼기속(Crepidiastrum)으로 전속하여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