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음자료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2초

녹음자료의 목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aloging of Sound Recording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5-15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ness and problem areas in cataloging rules of sound recording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and kinds of sound recordings and the cataloging rules related to sound recordings in non-book cataloging rules are examined first as the backgrounds. Then the sources of information,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physical description, choice of headings, and uniform titles in ISBD(NBM)·AACR2R·AECT4 and KORMARC(NBM) are analyzed. And the special issues and some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cataloging of sound recordings are presented.

  • PDF

음악자료목록의 기계화에 관한 일본의 동향

  • 송하균;윤동진
    • 도서관문화
    • /
    • 제31권4호통권263호
    • /
    • pp.26-34
    • /
    • 1990
  • 이 원고는 음악자료(악보, 녹음자료)의 목록 기계화에 관한 일본의 경향을 개관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한다. 또한 금후 과제를 국립국회도서관의 요망사항으로서 기술한다.

  • PDF

산림성 조류의 번식기 음성녹음을 이용한 조류군집 평가 (Evaluation of the Forest Bird Community in the Breeding Season by using the Sound Recording System)

  • 유승화;한현진;김동원;주우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9-46
    • /
    • 2018
  • 번식기 조류 조사(Breeding Bird surveys)는 생태계 내 군집 구조와 기능 그리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최근 기후변화 등에 따른 생물다양성이 급변함에 따라 산림성 조류조사 데이터의 정확성 및 공간적인 확대와 시계열적 모니터링을 위해 음향 센서 등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류 음성을 녹음한 데이터와 현장 조류조사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번식시기 산림성 조류의 군집 다양성 평가에 음향 녹음 센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2013년 5월 2일부터 16일까지 현장조사 및 녹음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지는 점봉산지역의 곰배령과 조침령, 그리고 소백산지역의 죽령과 고치령 구간으로 총 4개 권역 48개 지역, 186개 지점이었다. 녹음결과를 이용하여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군집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녹음에 의한 조류 종의 수와 개체수, 울음소리 횟수는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의 종의 수, 개체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녹음에 의한 조류 종의 수와 음성의 횟수는 현장조사(관측과 청음 병행)에서의 종다양도, 종풍부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종균등도와는 약한 상관관계 혹은 관계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장에서의 음성녹음 자료를 분석할 경우 조류군집의 종조성과 함께 종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번식기의 음성녹음에 비하여 번식기의 음성녹음은 녹음결과와 종다양성과의 상관관계에서 보다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활용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전통음악 녹음자료의 통일표제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ulation of Uniform Title for Sound Recording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25-454
    • /
    • 2007
  • 이 연구는 한국 전통음악 녹음자료의 통일표제 기술원칙에 관한 모형안을 제시한 것이다. 주요부분을 중심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비악곡형식의 경우에는 구국악의 아악은 속명을, 민속악은 일반화된 표제를, 신국악은 작곡자가 최초로 표현한 원표제를 통일표제로 하여 각 괄호 속에 기입하되 식별적 요소를 제외하고는 연주수단 등을 생략한다. 그러나 기악곡의 악곡형식의 경우에는 악곡형식, 연주수단 축차번호, 작품번호, 조, 기타 한정어구나 설명구의 순으로 통일표제를 구성하여 각 괄호 속에 기술한다. 그리고 구국악의 성악곡 중 합창곡의 연주수단은 남성, 여성, 혼성합창으로만, 독창곡은 남성, 여성독창으로만 기술하고, 신국악은 양악의 형식을 따른다. 이 밖에 상이한 작품이 동일한 통일표 제를 가질 경우는 연주수단, 축차번호 조 한정어구나 설명구, 발행사명, 발행년 등을 부가하여 구별하도록 한다.

  • PDF

읽기유창성이 멀티미디어자료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ding fluency on Cognitive skills of educational multimedia material)

  • 정용훈;김영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09-212
    • /
    • 2010
  • 오늘날 학교 현장에서 교실에 비치된 TV를 통한 멀티미디어 자료 제시를 빼놓고는 수업을 진행할 수 없을 정도로 멀티미디어 자료는 큰 역할을 하게 되었고, 그런 관계로 멀티미디어 자료와 아동의 학성성취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제시 유형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있다. 여러 가지 논문에서 애니메이션 학습자료는 텍스트보다 녹음자료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하지만 정확하게 읽고 텍스트를 해독하는 능력이 뛰어난 아동들, 즉 읽기 유창성이 뛰어난 아동들에게서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분석된 결과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읽기 유창성이 우수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과의 비교 결과를 통해 과거의 분석된 결과가 그대로 유의미한지를 검증할 것이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좀 더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의 쓰임을 제시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시각장애인의 대체자료 이용 만족도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lternative Material Satisfa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o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 박연주;하경희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75-9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권으로서의 대체자료 이용만족도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등록시각장애인으로서, 시각장애인연합회 회원 중 임의표집하였으며, 전화조사를 통해 수집한 최종 120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대체자료를 이용현황은 녹음자료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여가활용 및 정보검색의 목적이 가장 많으며, 장소는 점자도서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시각장애인의 대체자료 이용만족도는 사회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정보접근권의 보장으로서 대체자료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체자료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법과학적 활용을 위한 삼성 스마트폰 음성 녹음 파일의 메타데이터 구조 및 속성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adata structures and attributes of Samsung smartphone voice recording files for forensic use)

  • 안서영;유세희;김경화;홍기형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103-112
    • /
    • 2022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하여 근래 범죄의 증거자료로 제출되는 녹취 파일은 대부분 스마트폰을 통하여 생산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녹음 파일의 무결성(위변조) 여부가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가장 높은 국내 시장 점유율을 가진 삼성 스마트폰은 통화 및 음성 녹음, 그리고 편집이 가능한 자체 음성녹음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자체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편집은 외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편집과 다르게 원본 파일과의 유사성이 높기에, 무결성을 입증하기 위해 더 정밀한 분석 기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삼성 스마트폰 34개 기종에서 생성된 원본 녹음 파일과 자체 제공 음성녹음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편집 파일의 메타데이터 구조와 속성을 분석하여, 원본과 편집본 사이의 음성 파일 메타데이터 구조 및 속성 값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한 근위축성측삭경화증 여성 화자의 모음 포먼트, 음성강도, 기본주파수의 변화 (Characteristics of Vowel Formants, Voice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 of Femal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using Spectrograms)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93-198
    • /
    • 2019
  • 본 연구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으로 진단된 여성을 대상으로 음향음성학적 스펙트로그램 분석을 이용하여 11개월 동안 모음과 이중모음의 포먼트 변화(vowel formant variation)를 분석하였다. 검사어는 단모음 /a, i, u/와 이중모음 /h + ja + da/, /h + wi + da/, /h +ɰi+ da/를 이용하였다. 발화자료는 'Alv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니터에 제시된 단어읽기과제를 통해 수집되었고, 녹음환경은 nyquist frequency는 5,500Hz, sampling rate는 11,000Hz으로 설정하였다. 녹음자료는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하여 강도, 음도와 이중모음의 포먼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LS의 진행과정에서 기본주파수와 강도가 저하되었고, 단모음에서의 포먼트 변화보다는 이중모음의 포먼트 기울기의 감소가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병의 진행에 따른 ALS의 모음왜곡이 혀와 턱의 협응력 감소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KCR4 GMD 및 SMD 기술의 새로운 방안 모색 (A Study on New Method for Description of GMD and SMD of KCR4)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37-255
    • /
    • 2011
  • 본 연구는 이용자의 온라인목록 검색 향상과 FRBR 저작 및 표현형을 구현하기 위해 내용과 용기로 자원유형을 기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KCR4, 통합KORMARC의 자원유형 리스트의 내용과 용기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GMD 및 SMD 자원유형 기술 시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RDA와 ISBD(2010)의 자원유형리스트의 특징을 파악하고, KERIS 종합목록을 대상으로 비디오녹화자료, 녹음자료, 지도자료의 다양한 용어 사용과 기술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GMD, SMD 용어리스트에 일관성이 부족하였으며, 도서관에서는 내용유형과 용기 유형 용어를 자관에 맞게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새로운 방안으로 자원의 내용유형 기술의 필요성, 내용유형 및 용기유형 용어의 정립, 디스플레이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FRBR 개념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자원유형 기술에 새로운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