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색 건축물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4초

녹색건축 인증제도 업무용 건축물 개정 전·후 인증결과 비교분석 (An Comparative Analysis of Certification Results for Pre-Certified Office Buildings according to G-SEED Revisions)

  • 윤요선;채창우;김유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8호
    • /
    • pp.51-58
    • /
    • 2018
  • G-SEED has been introduced with the aim of reducing energy use and resources since 2002, as the system of certificating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buildings to create comfortable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certification standard of G-SEED since the revision in 2016, comparing certification results of office buildings by grade, category and certification items between G-SEED 2013-2 version and revised version of 2016.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average point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 of certification items including both deleted items and newly added items and extracted items needed to be reviewed in the future revision. In the revision, G-SEED has been extended its certification system to involve existing buildings and Innovative Design categories newly introduced with revising the certification items and difficulties. In revised version of G-SEED, the certification grade appeared to change its acquisition ratio decreasing Green2 and increasing Green4, during Green1 and Green3 were similar in proportion. The average scores by categories appeared decrease in Energ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tegory and Materials and Resources category, on the other hand, Maintenance category appeared the highest increase in the average score. Otherwise, Land Use and Transportation, Water Circulation, Ecology, Indoor Environment categories appeared similar average scores both version of G-SEED. In addition, the Innovative Design which was newly introduced category, seems to expect gradual gaining high scores according to technology development in future, although its possession has shown lower scores in revised version.

공공사옥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향상을 위한 개선기법 및 사례 (A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t Ratings for Public Buildings)

  • 정한상;변일환;김우용;정경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97-2098
    • /
    • 2011
  • 한국수자원공사 전북지역본부는 2009년 1월 전북 전주시 여의동에 본부신축공사를 착공하였다. 같은 해 12월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신축 공공청사 건축물에너지효율 1등급 취득 의무화 제도를 시행하여 2010년 1월부터 신축되는 모든 공공청사는 건물에너지효율 1등급 취득이 의무화 되었다. 전북지역본부와 같이 진행중인 건축물에 대해서는 강제성은 없고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제반 조치 마련토록 권고하였다. 그러나 전북지역본부는 정부정책과 공사 이미지 제고를 위해 진행중인 공사에 대해 건축물 에너지효율인증등급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수립하고 설계변경을 통해 결국 1등급 인증을 획득하였다.

  • PDF

업무용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등급별 평가항목 득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ore of Issues by Certification Grade in the G-SEED for Office Buildings)

  • 황선영;태춘섭;신우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9-18
    • /
    • 2016
  •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is the certification system to evaluat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environmental burden generated from the entire process of buildings, which is classified into 4 grades according to the evaluated scor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rule regulate to get over green 2nd grade for the public office buildings of $3000m^2$ or more. However, detailed measures on the applied level of each issue to obtain targeted certification grade have not been prepared yet. For each issue, the score distribution and the ratio of score in proportion to credit were analyzed by certification grade for office buildings which get the G-SEED certification. And applied level of issues were presented for each certification grade.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A Survey to Improv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ocu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Housing)

  • 권혁삼;김지현;김정곤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435-447
    • /
    • 2013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13년 3월 시행된 녹색건축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및 실제 인증현황 분석을 통해 현행 인증기준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영국 BREEAM, 미국 LEED, 독일 DGNB, 일본 CASBEE 등 선진국의 녹색인증기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로 건축물 중심에서 도시 지구 차원으로 확대하여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인증기준은 건축물 중심의 평가체계로 실내환경 및 에너지 부문의 배점비율이 높고, 외부환경에 해당되는 토지이용 및 교통 부문과 생태환경 부문은 배점비율이 낮다. 실제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79개 단지에 대한 평가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내환경 및 에너지 등 배점이 높은 평가항목에 따라 인증등급이 결정되어 배점이 낮은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항목은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건축인증기준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수단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체계를 보완하고, 나아가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도시 지구 차원의 평가체계 도입을 통해 국제적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녹색건축물인증(LEED) 사례연구를 통한 커미셔닝 관리 프레임워크 도출 (Building Commissioning Management Framework from the Case Study of Green Building)

  • 정진학;박소연;송동훈;안용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8호
    • /
    • pp.23-30
    • /
    • 2018
  • A necessity of increa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uildings is rising due to global warming and high energy demands prices. Commissioning is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uilding and reduce maintenance costs. In this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ommissioning process of green building and propose management factors that can be used in domestic commissioning projects. The case was a university renovation project that received a LEED Glod certification and conducted the enhanced commissioning. The commissioning is divided into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post-construction phases. In the planning stage, commissioning company selection, commissioning goal setting, tasks and responsibilities for each subject are set. In the design phase, preparations are made for inspection and construction steps to prevent design errors. In the construction phase, problems are solved through periodic on-site inspections. In the post-construction phase, a final report with all the details of the commissioning will be created and future maintenance strategies will be propo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ill be a basis for the management factors that can be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domestic commissioning projects.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건축물의 단열재 성능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 Performance Evaluation of Internal Insulation of Buildings Over 20 Years Old)

  • 김현진;최세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9-547
    • /
    • 2019
  • 최근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고 건축물의 냉방 및 난방 에너지로 공급하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자 신축 또는 기존건물에 대한 녹색건축인증(G-SEED) 및 에너지효율등급,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등을 일정조건 이상인 건축물에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건물에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을 줄이고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건축자재로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신축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을 만족하는 건물외피 구성 재료 중 총 열 저항성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건축물에 시공된 단열재의 경시변화에 대한 명확한 자료가 부족하여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판단기준인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소요량 산정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되었다, 이에 2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현장에서 단열재(압출법,비드법)를 직접 채취하여 단열재성능을 비교·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압출법(XPS)은 생산초기 품질기준인 KS M 3808보다 열전도율은 48%, 압축강도는 36%가 저하되어 본래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고, 비드법(EPS)의 경우 단열재 두께가 50mm인 경우 열전도율과 압축강도, 굴곡파괴하중 등이 생산초기 품질기준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드법의 경우 단열재 두께를 고려하여 현재의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 요량을 기존대로 산정하고, 압출법의 경우는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요량 산정시 보정계수를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의 신축 건축물 예측을 통한 통일 후 한반도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의 시장 분석 -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 (Market Analysis 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of the United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New Building Prediction in North Korea - Focused on Building Energy Conservation Plan, Building Energy Rating Certification, and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 -)

  • 곽영훈;신성은;박진영;도화용;김혜정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75-85
    • /
    • 2016
  • This research aims to predict and analyz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market of Korean Peninsula after unification. First, it analyzes prospected unification time period, then it forecasts number of new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buildings to be constructed based on estimated number of residences in short at the time in North Korea. There exists a good chance that North Korea's new building market forms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 as unification would thoroughly proceed which would result levels of economic culture social politics in quasi-equal state. Thus, assuming the ratio of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building against population is similar in both Korea's, the number against North Korea's house supplied population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expected numbers in North Korea, number of proceeded Building Energy Conservation Plan, Building Energy Rating Certification, and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 are predicted. The research shows certification market related to green building in united Korean Peninsula to be \660 billion over 10 years. Not only certifications to newly built buildings but also including existing buildings, this market is to grow to a considerable extent. As this would largely influence eco-constructive materials, energy plant/equipment, and other relevant markets as well, it would require to make thorough preparations. In sum, to stabilize green building market even before the unification, the research proposes the necessities of appropriate systems in consideration of North Korea, through in-depth discussions and establishment of technology and policy directions in green building sector, such as building energy management and emission reduction technology.

미국의 LEED와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비교 연구 -학교시설 사례분석을 통한-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LEED by School Cases)

  • 이승민;이상민;맹준호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2호
    • /
    • pp.30-4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items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spread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KGBCC) by comparing items and school cases of KGBCC with those of LEED 2.1. LEED 2.1 is concentrating on 'Energy' and 'Indoor Air Quality' and KGBCC is relatively showing even distribution. And LEED 2.1 is not evaluate 'Ecology' that is important to us. And school cases of KGBCC and LEED 2.1 obtained similar scores by field or those of KGBCC obtained more scores. Domestic buildings need to ontain certification by KGBCC considering domestic situation. Also we need to lead activating of KGBCC through incentive programs.

건축물의 유형별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평가방안과 기초자료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valuation methodology and basic data building to apply for the new renewable energy technology on the type of building)

  • 최준호;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08-116
    • /
    • 2013
  • 온실가스로 인한 환경의 파괴와 화석에너지의 고갈로 인한 대체에너지의 필요성 인식으로 신재생에너지원의 활용에 대한 관심은 전 세계적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2011년부터 공공기관 건축물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적용을 시작으로, 국토해양부의'녹색도시, 건축물 활성화 방안'을 통해 2025년까지 모든 신규건축물에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의무화를 추진하는 정책을 펼치며 건축물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이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음을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 활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원을 대상으로, 기술선정을 위한 연구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이에 대한 다각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물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선정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현재 대상기술들의 수준과 특성을 검증하여 성공적 기술적용을 위한 기반구축 자료로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연구원 탐방(6): 지속 가능한 미래 친환경 건축 기술을 연구하는 코오롱건설 기술연구소 건축연구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45호
    • /
    • pp.60-65
    • /
    • 2010
  • 격심한 세계적 사회환경의 변화는 모든 산업분야에서 기존의 패턴을 탈피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는 이를 어느 정도 충실히 반영해 혁신을 이룰 수 있는가가 국가의 흥망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체가 되었다. 건설 기술의 R&D 분야는 최근의 화두인 친환경녹색성장에 관한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혁신적인 연구 성과물을 내놓고 있다. 본지는 이번호에 지속 가능한 미래 친환경 건축기술을 연구하는 코오롱건설 기술연구소 건축연구팀의 연구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