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to Improv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ocu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Housing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 권혁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지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정곤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3.09.26
  • Accepted : 2013.10.29
  • Published : 2013.10.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basic data for improvements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that came into effect in March 2013, including the analysis of evaluation criteria and application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BREEAM(UK), LEED(USA), DGNB(Germany), and CASBEE(Japan), have been extended to the neighborhood unit or city levels, i.e.,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fo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in Korea, some criteria such as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have been given more emphasis than others such as external environment(land use, traffic, ecological environment). In addition,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cores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79 housing complexes show that the score on the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determines the evaluation grade, whereas the score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s less weighted and has less impact. Therefore, the new evaluation system fo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should be extended from building level to urban district levels.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13년 3월 시행된 녹색건축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및 실제 인증현황 분석을 통해 현행 인증기준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영국 BREEAM, 미국 LEED, 독일 DGNB, 일본 CASBEE 등 선진국의 녹색인증기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로 건축물 중심에서 도시 지구 차원으로 확대하여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인증기준은 건축물 중심의 평가체계로 실내환경 및 에너지 부문의 배점비율이 높고, 외부환경에 해당되는 토지이용 및 교통 부문과 생태환경 부문은 배점비율이 낮다. 실제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79개 단지에 대한 평가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내환경 및 에너지 등 배점이 높은 평가항목에 따라 인증등급이 결정되어 배점이 낮은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항목은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건축인증기준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수단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체계를 보완하고, 나아가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도시 지구 차원의 평가체계 도입을 통해 국제적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2010), 국토정책 Brief, 제259호.
  2. 김병식, 김보경(2009), "도시지역에서 설계에 의한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위기를 기회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2(2): 37-48.
  3. 김정곤, 권혁삼, 조영태, 김지현(2013), 기후.에너지 정책변화에 따른 녹색건축인증제도 개선방향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4. 심우배(2010),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적인 적응방안, 국토연구원.
  5. 임주호, 김정곤, 조영태(2011), 녹색도시 인증제도 도입방안 연구, 국가건축정책위원회.
  6. BREEAM(2008), BREEAM For Communities-Technical Guidance Manual.
  7. IBEC(2007), CASBEE For Urban Development Tool.
  8. ISDR(2008), Climate Resilient Cities: A Primer.
  9. USGBC(2009), LEED For Neighborhood Development.

Cited by

  1. Development of Credit Calculation Methodologies in G-SEED for Multi-Residential Buildings vol.30, pp.12, 2014, https://doi.org/10.5659/JAIK_PD.2014.30.12.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