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ing Response Plan for the Direct Buying System for SME's Construction Materials based on the Analysis of Material Procurement Management Load: Focused on the Owner Providing Public Apartment Housing

지급자재 조달관리부담 평가에 기초한 중소기업 공사용자재 직접구매제도 대응방안: 공공아파트를 공급하는 발주자를 중심으로

  • 송상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방종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손정락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3.09.13
  • Accepted : 2013.10.29
  • Published : 2013.10.30

Abstract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pecified 123 construction materials mandatory to purchase directly and forced the public owners to provide the contractors with materials as required by related law. This study extensively reviewed various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factors of the owner-providing materials consumed in the public apartment housing under Direct Buying System(DBS) from the public owner's perspective. Subsequently, the major managed materials were identified, and the proper response plan was developed along the material procurement process. The Procurement Management Load Indices (PMLI) of 43 material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rating criteria with procurement path, project-specified level, user requirement level, supplier's responsibility, on-site work requirement, additional parts, and inspection standards. The tile and aluminum windows were classified in the group needing high-level procurement efforts to reduce the errors and ensure the efficiency. The accurate quantity estimation method, definite purchase details, management activity definition before and after production, additional quantity for rework, interference coordination were defined as the essential activities for effectively responding to DBS.

중소기업청은 일정규모 이상의 공공건설사업에 대해 일반공사와 의무적으로 분리하여 직접 구매해야 하는 123개 공사용자재 제품군을 지정하고, 법에서 정한 바에 따라 발주기관이 자재를 직접 구매하여 수급인에게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사용자재 직접구매제도 하에서 공공아파트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지급자재가 지니는 다양한 특성과 관리요인을 발주자 입장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요관리대상 자재를 파악하고, 자재 조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이들에 대한 적정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조달경로, 현장특화정도, 입주자 요구수준, 업체 책임범위, 납품분할정도, 현장작업 요구도, 부속자재 필요도, 검수조건 등 지급자재가 가지는 주요 관리요인을 적용하여 공공아파트 건설사업에 적용되는 43개 직접 구매 대상품목의 조달관리부담을 평가한 결과, 상대적으로 높은 조달관리노력이 요구되는 주요관리대상그룹에는 목재창호, 알루미늄창호, 승강기, 목재마루재, 레미콘, 타일, 합성수지창호가 포함되었고, 그 중 알루미늄창호와 타일은 집중관리대상으로 분류되었다. 나아가 직접구매제도의 영향에 따른 집중관리대상 자재에 대한 대응방안은 발주자 입장에서 실태, 문제점, 관리측면의 주요 고려사항을 반영하여 작성하였으며, 실질적 수량 산출, 명확한 발주세부조건 정비, 생산 전후 활동 활성화, 하자보수 물량 확보, 공종별 간섭 사전 협의 및 해소 등이 필수적인 관리활동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식(2011), "공공공사용 자재 직접구매제도 발전방안", 지방자치법연구, 11(1): 99-119.
  2. 이규재(1999), "제8장 조달관리", 건설경영공학, 기문당.
  3. 이상범(2004), "건설자재의 적정 리드타임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4(1): 105-110. https://doi.org/10.5345/JKIC.2004.4.1.105
  4. 이창민(2009), 공사용자재 직접구매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원.
  5. 이현수, 송상훈, 김우영(2002), "정보 분석을 통한 자재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1): 125-132.
  6. 전재열(1999), "제4장 건설생산체계", 건설경영공학, 기문당.
  7. 조달청 시설사업국(2010), 공사용자재 직접구매 제도, 조달청.
  8. 중소기업청(2011), 중소기업관련통계, 중소기업청.
  9. 하영서, 유정호, 김창덕(2009), "자재물류관리를 위한 자재 속성별 자재관리 프로세스 모델: ETO 범주 자재를 중심으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0(1): 1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