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낙상효능감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4초

인공지능 가상현실 게임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ai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Virtual Reality Program on Balance and Fall Efficacy For Stroke patients)

  • 이민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5-286
    • /
    • 2016
  • 본 연구는 가상현실시스템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20명으로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씩 각각 배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일반적인 주 5회의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추가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8주간 1일 20분 주 3회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은 균형수행 능력검사, 낙상효능감 척도검사를 사용하였다. 두 군 간 훈련 후 측정 사이에 균형수행 능력검사와, 낙상효능감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각 군 간 훈련 후 측정 사이에 균형수행 능력검사와, 낙상효능감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가상현실 프로그램 병행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낙상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적적인 도움을 주어 유용한 뇌졸중 환자의 치료 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 PDF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낙상효능감이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ll Efficacy of the Elderly on the Needs of Health Care Programs)

  • 김희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35
    • /
    • 2020
  • 목적 : 노년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낙상효능감과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일반적 특성과 낙상효능감이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노인 11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낙상효능감과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 비교는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낙상효능감이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낙상효능감은 성별(p=.00), 연령(p=.00), 학력(p=.00), 배우자의 유무(p=.00)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수입(p=.17)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에서는 성별(p=.00), 연령(p=.00), 학력(p=.00), 수입(p=.00)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배우자의 유무(p=.46)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운동프로그램 요구에서는 성별은 여성, 연령은 높을수록, 수입은 높을수록 그리고 낙상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명력은 56%이었다. 셋째, 인지프로그램 요구에서는 연령은 높을수록, 수입은 높을수록, 낙상효능감은 높을수록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설명력은 48%였다. 결론 : 본 연구의 자료는 낙상의 위험도가 다른 연령대보다 월등히 높아지는 노인에게서 낙상효능감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었고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관리프로그램과 인지관리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의 낙상두려움,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r of Fall and Fall Efficacy in the Elderly)

  • 현일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7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을 조사하여, 낙상두려움 요인을 규명하고, 낙상두려움,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140명이었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동거인, 주관적 건강상태, 통증, 불안전한 걸음걸이에서 낙상두려움의 차이가 있었다. 낙상두려움과 낙상태도(r=-.396, p<.001), 낙상두려움과 낙상효능감(r=-.184, p=.030)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낙상태도와 낙상효능감(r=.411, <,001)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낙상두려움,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낙상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재가 허약노인의 낙상효능감, 낙상위험지각 및 낙상예방행위와의 관계 (Relations among Fall Efficacy, Perception of Fall Risk and Fall Prevention Behavior in the Frail Elderly at Home)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383-338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의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낙상효능감, 낙상위험지각 및 낙상예방행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재가 허약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낙상효능감은 $65.4{\pm}23.62$점이었으며, 낙상위험지각은 $34.3{\pm}11.5$점이었고, 낙상예방행위는 $17.7{\pm}2.75$점이었다. 2)낙상효능감(t=2.905, p<.05), 낙상위험지각(t=2.704, p<.05), 낙상예방행위(t=2.706, p<.05) 모두 낙상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낙상효능감과 낙상위험지각정도와는 역상관관계(r=-.440, p<.001), 낙상효능감과 낙상예방행위(r=.326, p<.001) 및 낙상위험지각과 낙상예방행위(r=.436, p<.001)와는 순상관관계에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볼 때 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은 노인의 낙상효능감 증진 및 지각을 증진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보행보조차 손잡이 높이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생활의 변화 : 상태불안과 심박수, 낙상효능감을 중심으로 (Changes in the Health Life of the Elderly Through the Handle Height of Walking Assistant Vehicle Article : Emphasizing on State Anxiety, Heart Rate and Fall Efficacy)

  • 손성민;곽성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19-52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보조차 손잡이 높이에 따른 노인들의 상태불안과 심박수, 낙상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정상노인 32명이다. 보행보조차는 유모차 형태로 손잡이 높이를 대상자들의 신장의 48%를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손잡이 높이를 5%씩 감소시켜, 48, 43, 38 %로 구성하였다. 상태불안 평가는 한국판 상태불안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심박수 평가는 Fitbit Charge 2 손목형 심박수 측정기를 활용하였다. 낙삭효능감 평가는 한국판 낙상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보행보조차 손잡이 높이에 따라 상태불안과 심박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낙상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에서도 상태불안과 낙상효능감의 분석결과 각각의 보행보조차 손잡이 높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심박수의 분석결과 48, 43%의 손잡이 높이와 38%의 손잡이 높이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들의 보행보조차 사용시 상태불안과 심박수를 감소시키고 낙상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행손잡이 높이를 적절하게 위치하여야 할 것이며, 보행보조차 사용자 전체 신장의 48%의 위치로 조정하여야 할 것이다.

가상현실 체험형 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에 따른 뇌졸중환자의 낙상관련 신체·심리적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all-Related Physicopsychological according to Virtual Exercise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 the Patient with Stroke)

  • 정대인;서태화;고대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74-282
    • /
    • 2012
  •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예방을 위하여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 운동(Nintendo-Wii Sport-NWS)과 요부안정화 운동을 실시하고 낙상관련 신체 심리 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뇌졸중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은 정적, 동적균형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기능은 낙상효능감을 측정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 각 운동군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정적균형은 BBS, FRT, 동적균형은 TUG, 10m 보행검사, 낙상효능감은 낙상 효능감 지수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두군 모두 신체 심리적기능에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BS, FRT, 10m보행에서 요부안정화 운동군이 더 통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상효능감은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 운동 군에서 더욱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운동은 뇌졸중환자의 신체 심리적 기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tic Balance Control and Fall Efficacy of Elderly People)

  • 김은자;황병용;김미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07-1116
    • /
    • 2010
  • 신체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자세조절에 관여하는 고유수용성 감각, 시각, 전정기능이 감소하고 근력이 약해지고 갑작스런 움직임의 변화에 대처하는 반사능력이 감소하여 균형조절에 영향을 주고 낙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균형조절의 어려움은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주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에 많은 장애를 일으킨다. 본 연구는 요양원에 입소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65세 이상 노인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가상현실군(n=7)과 대조군(n=7)으로 매회 30분씩, 총8회 실시하였다. 가상현실군은 일반적 운동치료법근법과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 운동치료접근법을 실시하여 치료 전·후를 평가 비교하였다. 대상자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은 Bio-Rescue와 낙상효능감척도로 평가를 하였다. 결과에 따른 자료 분석은 Wilcoxon signed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가상현실군이 정적균형 조절 평가에서 눈을 뜬상태에서의 정적균형 조절이 향상되었으며, 안정성 한계 변화에서 움직임의 범위가 증가하였다. 낙상효능감의 변화에서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노인에게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효과가 있으며, 노인에게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치료 방법과 치료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지역사회 노인의 요실금과 수면의 질이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Urinary Incontinence and Quality of Sleep on Fall Efficacy of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 윤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42-2149
    • /
    • 2014
  • 지역사회 노인의 요실금과 수면의 질이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12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낙상에 관한 정보, 요실금 증상, 수면의 질과 낙상 효능감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연구기간은 2013년 1월 3일부터 1월 30일까지였다. 지난 1년동안 낙상 발생률은 40.2%였고, 2회 이상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낙상 경험자의 26.7%로 나타났다. 주로 겨울(53.3%)과 오후(53.3%)에 거리(44.4%)에서 많이 넘어졌으며, 낙상의 원인은 미끄러진 경우가 37. 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변수의 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5.71, p<.01), 모형의 설명력은 9. 6%이고 낙상 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의 질(${\beta}$=.24, p<.05)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에게서 낙상은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각종 안전사고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 효능감을 사정하는 것은 낙상을 예방하는데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Fall 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Stroke)

  • 이종민;김동희;송승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35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총 4주 동안 가상현실 프로그램 중재를 받는 실험군 10명과 작업치료 중재를 받는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 후 낙상 효능감을 비교하기 위하여 낙상 효능감 척도(Fall Efficacy Scale: FES)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능적 독립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의 치료 중재 전 후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p<.05). 결론 : 작업치료와 더불어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위한 치료방법으로 작업치료와 더불어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속적인 리듬운동에 참여하는 농촌과 도시 거주 노인 여성들의 체력 및 낙상효능감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Fitness and Fall Efficacy of Rural and Urban Female Elderly Participants in Continuous Rhythmic Exercise)

  • 윤소미;황은진
    • 산업과 과학
    • /
    • 제1권2호
    • /
    • pp.17-23
    • /
    • 2022
  • 본 연구는 농촌과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 여성들의 체력과 낙상효능감에 대해 분석하여 지역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주 2회 이상 지역 마을회관에서 건강체조와 치어리딩를 하는 농촌 및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 여성 98명(REG; n=46, 77.53±6.37 yrs, 151.81±5.26 cm, 60.00±9.42 kg, UEG; n=53, 73.57±2.70 yrs, 154.07±3.52 cm, 57.37±2.06 kg)으로 진행되었다. 체력은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을 측정하였으며, 낙상효능감은 Tinetti 등이 개발한 10개 항목의 Fall Efficacy Scale을 사용하였다. 도시 노인들이 유연성과 낙상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p<.05). 근지구력과 심페지구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추후 지역의 노인들의 건강요인의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