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록 서식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8초

기록물용 KORMARC 데이터필드 개발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etadata Elements to Develop KORMARC Datafield for Archives)

  • 박진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1-378
    • /
    • 2005
  • 본 연구는 기존의 도서관정보시스템에서 기록물을 검색 이용할 수 있도록 기록물용 KORMARC 데이터필드 개발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ISAD(G)2에서 제시하고 있는 7개 영역 외에 보존영역(conservation area)과 물리적 기술영역(physical description area)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ISAD(G)2는 26가지 요소만을 제시하고 있어 상세수준의 기술요소를 필요로 하는 기관에서는 불충분하다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분석결과를 토대로 영역별 하위요소를 종합하여 선정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기록물의 특수성을 기술요소에 반영하기 위해 사무관리규정시행규칙과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행정업무 등의 전자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하고 있는 종이 공문서 및 전자문서 서식의 분석을 통해 선정한 기록물 기술요소를 추가하였다. 또한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개여부 및 등급, 공개일자, 공개범위, 보존기간, 보존등급, 보존가치, 기록물의 상태기술 요소를 추가하였다. 셋째, 기록물 관리를 위해 512 생산일자 관련주기(creation dates note)와 555 검색보조도구주기(finding aids note), 583 작업현황 주기(action note), 584 추가주기(accumulation note) 데이터필드를 새롭게 설정하였다. 또한 245 표제저자 사항(title statement), 300 물리적 기술(physical description), 306 재생/연주시간(playing time), 506 접근제한주기(restriction on access note), 534 원본주기(origin version note), 535 원본/사본의 소장처주기(location of originals/duplicates note) 540 이용과 복제제한에 관한 주기(terms governing use and reproduction notes), 541 직접적 출처주기(immediate source of acquisition note), 545 행정연혁/개인이력주기(biographical or historical note), 581 출판주기(publication note), 850 소장처(holding institution) 데이터필드의 식별기호를 재구성, 추가하였다.

눈측백(Thuja koraiensis Nakai)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es Isolated from Thuja koraiensis Nakai in the Korean Peninsula)

  • 어주경;이봉형;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3-117
    • /
    • 2016
  • 화악산, 설악산, 함백산에 서식하는 눈측백의 잎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여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숙주식물로부터 총202개의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 균주들의 IT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32개의 분류군으로 동정되었으며, Diaporthe nobilis, Mycosphaerella handelii, Pestalotiopsis cocculi 3종이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균주 중 61.5%는 Dothideomycetes였으며, 27.0%는 Sordariomyetes, 11.5%는 Leotiomycetes에 속하였다. 눈측백에 서식하는 내생균에서 우점종은 Dothideomycetes에 속하는 Phyllosticta spinarum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종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태평양산 Tauredophidium속 어류 1 미기록종 T. hextii (First Record of the Deep-sea Ophidiid Fish, Tauredophidium hextii (Pisces : Ophidiiformes) from the Pacific Ocean)

  • 정전길언;이충렬;태전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4-177
    • /
    • 1997
  • Ophidiidae과에 속하는 어류 중 지금까지 인도양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Tauredophidium hextii가 태평양에서 9개체가 최초 확인되었다. 본 표본은 인도양산과 비교하여 미추골의 수, 뒷지느러미가 시작되는 추골위치, 상악의 길이 등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나나 두부의 형태, 퇴화된 눈, 전새개골과 새개골의 가시수 빛 형태, 배지느라미의 위치 등에서 T. hextii와 일치하였다. 본 종은 인묘양과 태평양의 수심 약 1500-2400m의 심해에서 서식한다.

  • PDF

강원도 함백산에 서식하는 목본식물의 잎에서 분리한 4종의 내생균 (Four Specie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Woody Plants in Mt. Hambaek)

  • 어주경;이봉형;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9-2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함백산에 서식하는 잣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 산겨릅나무 등 4종의 목본식물의 잎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여 균의 형태적 특징과 ITS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자계통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 미기록종인 Talaromyces radicus, Myceliophthora verrucosa, Cryptosporiopsis diversispora, Sphaerulina berberidis로 동정되었으며, 각 균주의 형태학적, 분자계통학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한국 미기록 양치식물: 솔잎고사리(꼬리고사리과) (A new record of fern species from Korean flora: Asplenium septentrionale (L.) Hoffm. (Aspleniaceae))

  • 손성원;이한권;양형호;이강협;김성식;권혜진;조용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0-93
    • /
    • 2013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에서 우리나라 꼬리고사리과의 미기록 분류군인 솔잎고사리(Asplenium septentrionale (L.) Hoffm.)가 발견되었다. 이 분류군은 유럽과 북아메리카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에서는 대만에서 분포가 기록되었다. 솔잎고사리는 꼬리고사리과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단엽이고 끝에서 1-2(-3) 차상분지하며, 선형으로 비교적 긴(5-20 mm) 포자낭군을 갖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엽신의 형태가 소나무 잎과 유사하여 '솔잎고사리'으로 신칭하였다.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와, 기재, 서식지 식물사진을 제시하였다.

백록고사리(미늘창고사리과): 한국 미기록종 (Tectaria fuscipes (Wall. ex Bedd.) C. Chr. (Tectariaceae), a newly recorded taxon from Korea)

  • 신혜우;김명준;오충근;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6-321
    • /
    • 2017
  • 한국에 백록고사리[Tectaria fuscipes (Wall. ex Bedd.) C. Chr.]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은 한국에서 보고된 바 없는 미늘창고사리과(Tectariaceae Panigrahi)의 미늘창고사리속(Tectaria Cav.)에 속한다. 백록고사리는 거의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올라가는 지하경, 이형엽 또는 반이형협, 유리맥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종은 제주도 서귀포시 한라산 남서부 사면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의 남부지역과 대만에서도 자생한다. 일본에는 미늘창고사리속 식물 8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백록고사리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제주도는 지금까지 알려진 백록고사리의 분포 지역 중 가장 최북동 지역이며, 그 서식처는 작은 수직동굴 내부로 한정되어 있다.

한국산 베도라치아목과 등가시치아목(농어목)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orders Blennioidei and Zoarcoidei (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 김수익;강언종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00-525
    • /
    • 1991
  •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집된 베도라치아목 Blennioidei과 등가시치아목 Zoareoidei의 어류 표본을 대상으로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다. 베도라치아목 어류는 먹베도라치과 Tripterygiidae의 가막베도라치 Enneoptewgius etheostomus(Jordan et Snyder) , 비늘 베도라친과 Labrisomidae의 비늘베도라치 감eoclinus bwope(4ordan et Snyder) , 그리고 청 베도라치과 B1enniidae의 청베도라치 Pictiblennius yotobei(Jordan et Snyder), 저울베도라치Entomacrodus stellifer lighti(Herre), 대강베도라치 Istibfennius enosimae(Jordan et Snyder),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rgons(Steindachner), 골베도라치 O. punctatus (Valenciennes) 및 두줄베도라치 Petroscines breuiceps(Valenciennes)의 7속 8종으로 분류되었다. 이 가운데 N. bwope의 표본은 우리나라에서는 본 조사기간 중 제주도 연안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어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한편 등가시치아목의 어류는 등가시치란 Zoarcidae의 벌레문치 Lycodes tanakoi Jordan et Thompson, 먹갈치 Lycodes nakamurai Tanaka, 등가시치 Zoarces gilrii Jordan et Starts, 실베도라치 Zoarchias aculeatus( Basilewsky), 우베도라치 Zoarchias uchidai Matsubara, 민베도라치 Zoarchias glaber Tanaka, 얼룩가시치 Neozoarces pulcher Steindachner, 칠성갈치 Petroschmidtia toyamensis Katayama, 자갈치 Gvmnelopsis brashnikoui Soldatov, 문자갈치 Dauidijordania poecilimon(Jordan et Fowler) 및 청자갈치 Allolepis hollandi Jordan et Hubbs, 장갱이란 Stichaeidae의 세줄베도라치 식nogrammus hewagrammus(Temminck et Schlegel), 장갱이 Stichaeus grigorjemi Her\ulcornerenstein, 왜도라치 Chri'olophis wui(Wang et Wang ) , 괴도라치 Chirolophis joponicus(Jordan et snyder) , 벼슬베도라치 각ectrias benjamini Jordan et Snyder, 가시베도라치 Lumpenella nigricons Matsubara, 육점날개 Ophistocentws zonope jordan et Snyder,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 Van der Hoeven 및 황점 베도라치Dictyosoma wbrimaculata Yatsu, Yasuda et Taki, 그리고 황줄베도라치란 Pholididae의 황줄베도라치 Phoris taczanowskii(Steindachner), 오색베도라치 Phoris omotus (Girad), 베도라치 Pholis nebuloso(Temminck et Schlegel), 횐베도라치 Pholisfangi(Wang et Wang) 및 점베도라치 Pholis crossispino(Temminck et Schlegel)의 17속 25종이 분류되었다. 이중에서 Zoarchias glaber, Chirofophis oui, Alectrias benjamini, Dictyosoma mbrimaculamia 및 Pholis crassispina의 5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아울러 이들 미기록종을 포함한 한국산 베도라치아목과 등가시치아목 어류의 속 .종 검색선 와 종별 사진을 제시하고, 이들 표본을 근거로 하여 형태적 특징, 계수계측치, 채집지 및 서식처를 기록하였으며,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리나라에 출현하는 베도라치아권의 어류는 거의 대부분이 제주도 연안과 서남해 연안에 제한분포하는데, 등가시치아목의 어류는 주로 동해연안에서 많은 종이 출현하고 있어서 동물지리학적으로 주목된 다.

  • PDF

광역자치단체의 정부간행물 납본과 보존 관리 개선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Deposit Copy and Preservation of Government Publications in Regional Local Government)

  • 김소량;이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9-147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광역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정부간행물의 납본과 보존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정부간행물의 납본과 보존 관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광역자치단체의 정부간행물 보유 목록을 파악하고, 기록물관리전문요원과 사서에게 인터뷰를 시행한다. 조사하는 동안, 정부간행물의 발행 목록 현황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자치단체의 보유 목록과 국가기록원에 납본된 납본 목록이 일치하는 정부 간행물이 적었다. 이에 개선안으로는 정부간행물의 소장목록의 서식을 만들고, 정부간행물의 비공개와 부분공개의 요소를 구성하고, 정부간행물의 등록과 통보를 의무화하고, 기록물관리전문요원과 처리과 담당자의 업무분장에 정부간행물 관리를 명시하며, 정부간행물의 관리 교육을 받도록 권장한다.

공문서의 기계가독형(Machine Readable) 전환 방법 제언 (Suggestions on how to convert official documents to Machine Readable)

  • 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67호
    • /
    • pp.99-138
    • /
    • 2021
  • 빅데이터 시대에 정형데이터 뿐만 아니라 비정형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기관이 생산하는 공문서도 텍스트 기반의 대형 비정형데이터로 빅데이터 분석의 대상이 된다. 기관 내부의 업무효율, 지식관리, 기록관리 등의 관점에서 공문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공공기관이 보유 중인 공문서의 상당수가 개방포맷이 아니어서 빅데이터 분석을 하려면 비트스트림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전처리 과정이 요구된다. 또한, 문서파일 내에 맥락 메타데이터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지 못하여 품질 높은 분석을 하려면 별도의 메타데이터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공문서는 기계가독(machine readable) 수준이 낮아 빅데이터 분석에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향후 공문서가 기계가독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문서의 개방포맷화, 기안문 서식의 표준태그화, 자기 기술(self-descriptive) 메타데이터 확보, 문서 텍스트 태깅 등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첫째, 문서가 스스로를 설명하기 위해 추가되어야 하는 메타데이터 항목들을 제시하고 이 메타데이터들이 기계가독형이 되도록 문서파일에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문서 내용 분석 시 자연어 처리에만 의존하지 않고 행정 맥락에 따라 중요한 키워드를 미리 국제표준 태그로 마킹하여 기계가독형이 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인천만의 검은머리갈매기(Larus saundersi) 번식개체군 변동 (Breeding Populations Trend of the Saunders' Gull (Larus saundersi Swinhoe) in Incheon Bay)

  • 박헌우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49-55
    • /
    • 2010
  • 검은머리갈매기는 서식지 축소와 개발압력으로 10,000개체 내외가 생존하고 있는 종이다. 국내에서의 첫 번식 기록은 1998년이며 이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1998년부터 2009년까지 11년간 번식 개체군의 변동 추세를 모니터링하고 경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1998년 시화호에서 300개체가 번식한 이후 2009년 1,300여 개체가 번식을 시도하여 해마다 증가되었다. 주번식지인 중국의 경우에도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전체 개체군은 증가추세에 있다. 국내의 번식지는 인간에 의한 훼방과 간섭, 개발, 포식 동물들로 인하여 위협받고 있으며, 인천만의 경우 송도 신도시 매립지, 영종도 매립지 등 갯벌의 매립지에서 번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은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번식 장소가 수시로 변동되고 서식지도 축소되고 있어 새로운 대체번식지와 서식지를 마련하지 않을 경우 번식개체군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