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긍정적응답

검색결과 695건 처리시간 0.029초

직장인 정서인식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및 부하가 지각한 상사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emotion recognition on negative feedback acceptance of employees: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s emotion regulation)

  • 정지현;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1호
    • /
    • pp.1-3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정서인식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와 부하가 지각한 상사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비관리자 직장인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7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2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을 매개로 하여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상사의 정서조절은 정서인식과 부정적 피드백 수용의 관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정서조절이 낮을 때 정서인식과 부정적 피드백 수용 관계가 더 강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이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인식 수준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그리고 부정적 피드백을 받아들이는 심리적 과정을 확인하고, 부정적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데 있어 상사의 정서조절이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코칭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의무기록정보관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교수법 적용 및 효과 (Trials and Effects of A Learner-centered Creative Training Technique on Undergraduate Education of Medical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 전진호;유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277-288
    • /
    • 2014
  • 의무기록정보관리학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하고 학생들의 학습동기 고취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대구광역시 일개 대학의 의무기록정보관리학 과목을 수강하는 보건행정과 1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총 12주간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써 학습자들이 인지한 창의적 교수법의 효과는 참여 증대(4.03)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집중력 향상(4.00), 이해력 증대(3.97) 등의 순이었다. 창의적 교수법에서 사용한 도구의 효과는 2인 1조 팀 구성 방식(4.08)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입체교구 활용(4.03), 퀴즈카드(3.95) 등의 순이었다. 창의적 교수법 운영에서는 강의 시작할 때와 마칠 때 학습 내용을 반복해서 알려주는 방식(4.00)이 가장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었다. 결론적으로, 의무기록정보관리학 수업에서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교수법 활용은 수업 참여도와 집중도, 이해력 향상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이 연구의 창의적 교수법과 같은 교수와 학생 모두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지원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권장한다.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Leisure Flow by the Baby Boomers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은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78-490
    • /
    • 2022
  • 본 연구는 베이붐세대를 대상으로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베이붐세대(55년-63년생)이면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신노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7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붐세대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베이붐세대가 노년문화를 주도하기 시작하는 현 시점에서 변화하는 노년문화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여 베이붐세대의 개인적인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Change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Baby Boomer)

  • 송시영;전혜정;주수산나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347-362
    • /
    • 2019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지지(배우자 관계 만족도, 자녀 관계 만족도, 사회적 관계 접촉 빈도, 참여모임 수)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성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5차(2014년)와 6차(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베이비부머(1955년생부터 1963년생)로 5차와 6차 자료 모두에서 배우자와 자녀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다(N=1,210).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배우자 관계 만족도, 자녀 관계 만족도, 사회적 관계 접촉 빈도, 참여모임 수로 측정되었으며, 종속변수는 우울감 변화이다. 시차효과모델을 적용한 회귀식을 통해 우울감 변화를 통계적으로 모형화하였으며, 통제변수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성별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단계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사회적 지지와 성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성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배우자 관계 만족도와 자녀 관계 만족도는 우울감 변화에 대한 주효과가 발견되었지만 사회적 관계 접촉 빈도와 참여모임 수는 우울감 변화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우자와 자녀로부터의 지지는 베이비부머의 우울감을 낮추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남성과 여성 베이비부머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들 중 특히 부부관계와 자녀와의 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베이비부머의 우울감 감소를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학습자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활용 만족요인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Research on Factors Effecting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of Educational Applications)

  • 장은지;박용석;임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471-483
    • /
    • 2012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 및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만족요인과 구매의도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보편화 시대를 대비한 개발 및 활용에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학습의 특성 및 어플리케이션의 만족과 구매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적절성, 상호작용성, 유희성, 편재성을 독립 변인으로 설정하고, 만족 및 구매의도를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여 연구 모형 및 가설을 수립하였다. 총 201명의 설문응답을 기반으로 한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적절성, 유희성, 편재성은 학습자의 만족과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성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현황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모바일 학습의 성장 및 교육 콘텐츠의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장애인의 특별교통수단 만족도가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 of Special Transportation System of Disabled Person o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 고관우;황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63-1970
    • /
    • 2014
  • 본 연구는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만족도와 장애인들의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의 차량을 이용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총81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이유로 휠체어 리프트 차량이라는 응답이 제일 많았으며, 특별교통수단 만족도의 수준에서도 휠체어와 관련된 안전성이 가장 높았다. 반면 이용절차와 관련된 편리성은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특별교통수단 만족도 중 안전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만족감과 의식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장애인의 특별교통수단 만족도를 높이고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권 확보를 위한 휠체어 리프트 차량 추가 지원과 안전 운행 및 이용절차의 개선이 필요하다.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와 학습에 대한 신념 및 변화 양상 (Korea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elief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its Evolution)

  • 김영민;이현주;김재권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40-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과학 교수와 학습 및 교실 환경에 대해 어떠한 신념과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그러한 신념과 인식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의 두 대학에서 과학 교사 양성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교수와 학습에 대한 신념을 묻는 32문항으로 구성된 BARSTL에 응답하였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1년 뒤 4학년이 되었을 때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신념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수업 및 학생들의 과학 학습, 그리고 교실 환경과 교육과정에 대해 긍정적이긴 하지만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며 그 수준은 졸업하는 시점인 4학년 말이 되어서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 PDF

의료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 척도의 타당성 평가 (Evaluation on validity of health literacy measurement scale)

  • 최경호;이정옥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2호
    • /
    • pp.257-265
    • /
    • 2013
  • 의료정보이해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이를 위한 다양한 측정도구들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적절한 한국어판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5점 척도로 구성된 한국어판 REALM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측정도구를 제안하고 타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5점 척도로 구성된 한국어판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매우 높으며, 인자분석 결과 단일차원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2점 척도에 비하여 긍정적인 응답이 적게 나타났으며, NVS (the newest vital sign)와의 상관계수를 구해본 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5점 척도를 이용한 한국어판 REALM은 타당한 측도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료정보이해능력에 대하여 일반학생과 간호학과 학생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차 산업혁명 최신기술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merging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이하원;신원애;조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07-315
    • /
    • 2020
  • 이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최신기술 도입을 앞두고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기존 교육방법의 효과, 최신기술의 관심, 최신기술의 활용 및 최신 기술의 전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보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 및 교사 총 181명으로 2020년 4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현재 교육 방법 효과에 대해 보통 정도의 만족을 하고 있었다. 둘째, 최신기술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았다. 셋째, 최신기술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보통이상 정도의 관심을 두고 있었으나 거부감도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현장에서 최신기술에 대한 전망은 긍정적이며 특히, 최신기술의 도입이 보편화 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보육현장의 최신기술 활용에 바른 방향성 및 관련 교사연수 준비에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음성인식에 기초한 치매환자 노인을 위한 대화시스템 (Dialog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Kim, Sung-Il;Kim, Byoung-Chul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923-930
    • /
    • 2002
  • 본 연구는 치매노인환자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화시스템의 개발에 목표를 둔다. 제안된 시스템은 주로 세 가지 모듈, 즉, 음성인식, 시간테이블에 의해 구분된 대화 데이터베이스의 자동검색, 그리고 간호사의 녹음음성으로 이루어진 맞장구 등의 긍정적인 대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로서, 치매환자가 간호시설에서 자주 발화하는 대화의 내용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환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들의 발화 음성을 자동인식 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시스템의 응답은 전문 간호사의 녹음음성으로 설계되었다.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서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와 되지 않았을 때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고, 치료 전문가(occupational therapist)들이 비디오 촬영을 통해서 남성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평가 견과는 치매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대화 시스템이 전문간호사들보다 더욱 답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다가 제안된 시스템은 상호 대화에 있어서 간호사들보다 환자가 더 많이 말하도록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