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무부서이동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6초

간호사의 근무부서 이동이 직무동기,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department rotation.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 유문숙;김용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5-235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a basic material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nurses by studying correlations among inter-department rotation,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study 159 nurses in a medical college hospital were surveyed. Organization Assessment Instrument(Van de Ven. 1980)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Mowday, 1979) were used.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Nurses who had been rotated to other departments showed higher motivation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2. Nurses who had been rotated also indicated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3.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nurse's age,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4.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nurse's experience,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5. Inter-department rotation times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motivation. 6. "The sense of achievement perceived form performing one's duty" wa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that nurses consider in measuring their job motivation. As to the criteria for inter-department rotation, some respondents stated that it is needed when "current assignments are not suited for particular individuals" and such rotations would job motivation and elevate the morale of nurses involved." Many opposed using the rotations as a "means of reprimanding individuals." In conclusion, inter-department rotation has a positve effect on the nurse's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regular inter-department rotation have to be recommended to nurses who want rotation.

  • PDF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 이산나;김선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22-235
    • /
    • 2022
  • 본 연구는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중소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으로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특성, 근무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변수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차이는 평균비교분석, 관련성은 상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은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단변수분석 결과 연령, 응급실 경력, 직위, 근무형태, 타 부서 이동의향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중간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48), 감정노동은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하지만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19). 회귀분석결과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무스트레스, 응급실 근무 선택 여부였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7%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응급실 근무가 타의 선택일 경우 환자안전관리활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향상을 위해 직무스트레스 관리와 개인의 요구에 따른 부서 배치가 필요하다.

지상(紙上)블로그 - 2007~2010년간 대학도서관 사서 모집현황 분석 및 전망

  • 김지홍
    • 도서관문화
    • /
    • 제52권3호
    • /
    • pp.26-32
    • /
    • 2011
  • 문헌정보학 전공자에게 있어 취업의 꽃은 대학도서관 사서로의 진출이 아닐까 싶다. 왜냐하면 대학 도서관은 다른 관종의 도서관에 비해 외형적으로 규모가 크고, 업무는 다양할 뿐만 아니라 영역별로 전문화되어 있어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근무시간이나 급여, 복지 등과 같은 근무조건 및 환경 역시 타 관종에 비하여 비교적 우위에 있다고 하겠다. 때문에 전공자들 사이에는 기회가 된다면 누구나 대학도서관 사서로의 꿈을 꾸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대학을 둘러싼 내외적인 상황이 그리 만만하지가 않다. 대학 외적으로는 대학 간 무한경쟁 체제의 확산 및 심화, 입학자원의 절대적 감소, 정부 및 각종 기관의 지원시 엄격한 평가 적용 등의 영향과 내적으로는 대학내 도서관 위상의 점진적 약화, 사서적인 수의 감소, 사서직에 대한 전통적 인식 약화로 인한 입지 위협 등으로 인하여 대하교직원 채용에 있어 도서관 사서는 대개 후순위이거나 고려대상에서 점점 더 멀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긍적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상존하는 사서직원의 본부부서 이동 역시 늘어나고 있다고 하겠다. 한편 1987년 사서자격증 발급자가 2,000여명을 돌파한 이래 최근에는 매년 2,400여명 내외의 자격증 소지자를 배출하고 있는데, 본 글은 이 정도의 공급에 미루어 볼 때 전체 관종 대비 대학도서관 사서의 모집현황은 어느 정도인지? <사서e마을> 정규직, 비정규직 코너에 2007~2010년간 게재된 모집 공고 중심으로 월별, 지역별, 대학 설립주체별 현황 분석 및 전망을 해보고자 한다.

  • PDF

병원조직문화, 조직침묵과 직무 배태성이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복합 연구 (The Effect of Hospital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ilence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 우정희;이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85-39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병원조직문화, 조직침묵과 직무 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종합병원 근무 간호사 152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19일부터 4월 30일까지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체념적, 방어적 침묵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합의지향적 조직문화, 직무배태성의 희생, 적합성, 연계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으로는 현 근무지 경력, 방어적 침묵, 희생이 있었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이들의 설명력은 47%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 적절한 부서이동의 기회 및 간호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패턴 변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타 기관과 차별화된 복지 제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개발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Movement of Directors in Public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1-286
    • /
    • 2009
  • 경력개발이나 경력이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사서직계에서만은 경력개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의 한 분야로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이동 및 개발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현직 공공도서관 관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개발부분에서는 입직시 연령, 경력출발유형, 최초로 관장이 된 시기, 경력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직장이동경로 및 경력단계별 근무년수, 관장이 되기까지 바꾼 부서의 횟수, 교육훈련의 기회 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응답자가 도서관 관장이 되기까지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설문에 응한 현직 관장은 도서관 관장이 되기 위해 45.1%가 지식과 능력개발을 위하여 노력하였다고 응답하였고, 23.6%가 정직과 성실성 향상 등 인성관련 노력을 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도서관에 대한 적성과 자기관리 노력을 하였다는 응답자도 12.8%나 되었다.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개발과정 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 관장이 되기 위한 경력개발과정을 발견하고 이상적인 경력개발 경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축전지 공장 근로자들의 혈중 Zinc Protoporphyrin에 대한 코호트 연구 (A cohort study on blood zinc protoporphyrin concentration of workers in storage battery factory)

  • 전만중;이중정;사공준;김창윤;김정만;정종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1호
    • /
    • pp.112-126
    • /
    • 1998
  • 혈중 ZPP 농도를 생물학적 모니터링 표지자로 사용하여 새로 설립되는 축전지 제조 공장에서 작업환경과 개인위생에 대한 개선조치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연취급 근로자 100명을 대상으로 입사한 시기를 기준으로 3개의 군으로 구분한 후 채용시 측정된 혈중 ZPP 농도와 약 3개월 간격으로 12-18개월간 측정되어 보관된 기록 중 혈중 ZPP 농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군은 개선조치 시행전인 1987년 8월의 작업장의 기중 연 농도를 기준으로 $0.30mg/m^3$ 이상인 단위 부서들을 제 I 부서로, $0.30mg/m^3$ 미만인 단위 부서들을 제 II 부서로, 비교적 기중 연 농도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어 1988년 1월부터 새로 기중 연 농도가 측정된 단위 부서들을 제 III부서로, 그리고 작업장소가 일정하지 않고 이동하면서 근무하는 단위 부서들을 제IV부서로 대분하였고, 1987년 8월부터 약 6개월 간격으로 측정된 작업장의 기중 연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조군 31명중 6개월째까지 관찰되었던 22명도 채용시와 6개월 후에 측정된 혈중 ZPP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작업환경 및 개인 위생에 관한 개선조치를 1987년 8월 중순부터 시행하였으며, 주 1회 보건관리자를 통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이 실시되었다. 부서별 기중 연 농도는 1987년 8월부터 약 6개월 간격으로 3회 측정된 결과, 제 I 부서는 처음에는 $0.365mg/m^3$였으나 작업환경개선조치 후 $0.216mg/m^3$, 1년후에는 $0.208mg/m^3$로 감소되었고, 제 II 부서는 처음에 $0.232mg/m^3$였는데 개선조치 후 $0.148mg/m^3,\;0.120mg/m^3$가 되었으며, 제 III 부서는 1988년 1월의 측정치가 $0.124mg/m^3$였고, 8월에는 $0.081mg/m^3$였다. 제 IV 부서는 1988년 8월에 $0.110mg/m^3$였다. 대조군에서의 혈중 ZPP 농도는 31명중 6개월째까지 관찰되었던 22명에서 채용시와 6개월 후가 각각 $16.45{\pm}4.83{\mu}g/d\ell$$17.77{\pm}5.59{\mu}g/d\el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장이 가동되기 전에 입사한 A군에 있어서는 채용시 혈중 ZPP농도가 $17.36{\pm}5.20{\mu}g/d\ell$였고, 3개월째에는 $23.00{\pm}13.06{\mu}g/d\ell$였으며, 개선 조치가 시행된 직후인 6개월째에는 $27.25{\pm}6.40{\mu}g/d\el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0.01),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9개월째에 측정된 농도는 $25.48{\pm}5.17{\mu}g/d\ell$로 6개월째의 검사 농도보다 유의하게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12개월째부터 3회의 측정치는 유의한 증가나 감소가 없이 대체로 비슷한 농도의 양상을 보였다. 공장이 가동된 후 개선조치가 시행되기 전에 입사한 B군의 경우에 있어서는 채용시에 혈중 ZPP농도가 $14.34{\pm}6.10{\mu}g/d\ell$였고, 개선조치가 시행된 직후인 3개월째에는 $28.97{\pm}7.14{\mu}g/d\ell$로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6개월째부터 4회의 측정치는 유의한 증가나 감소가 없이 비슷한 농도의 양상을 보였다. 개선조치가 시행된 후 입사한 C군에서는 채용시 혈중 ZPP 농도가 $21.34{\pm}5.25{\mu}g/d\ell$였고, 입사한 후 3개월째에는 $23.37{\pm}3.86{\mu}g/d\el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1), 6개월째에는 $23.93{\pm}3.64{\mu}g/d\ell$의 농도를 보였고, 9개월째에는 $25.50{\pm}3.01{\mu}g/d\ell$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 계속하여 3개월 뒤 측정된 12개월째에는 그 농도를 계속 유지하였으며,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서별 비교에서 근로자들의 혈중 ZPP 농도는 기중연 농도와는 비례하지 않았고, 기중 연 농도가 제일 높은 제 I 부서에서 오히려 더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며, 기중 연 농도가 제일 낮은 제III부서에서 다른 부서보다 더 급격히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기중 연 농도와 혈중 연 농도 및 혈중 ZPP농도에 대한 모든 정보를 근로자들에게 알려줌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기중 연 농도를 나타내는 부서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보호구 착용과 개인위생에 대한 개선조치에 더욱 철저히 참가하게 되었다고 생각되며, 개인위생 및 보건교육, 상담 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초기부터 집중적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작업환경 개선에 대한 효과도 중요하나, 개인 위생 관리, 개인보호구착용 교육 및 보건 관리의 효과도 상당히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지식경영 성공요인 및 장애요인 분석 (Survey for Success and Failure Factors in Knowledge Management)

  • 이동욱;이태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261-264
    • /
    • 2002
  • 지적자본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서 지식경영을 위한 지식관리시스템의 도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식경영의 도입방법은 IT(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 측면의 접근과 Non-IT 측면의 접근방법이 있다. IT 측면의 접근방법은 지식관리시스템(KMS)에 집중하는 것이며, Non-IT측면의 접근방법은 사람(people), 업무 프로세스(business process), 조직문화, 제도 등에 집중하는 것을 말한다. 지식경영 관련 부서 담당자 및 전문가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효과적인 지식경영을 위해서는 IT 측면의 접근과 Non-IT측면의 접근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하며, 성공적인 지식 경영을 위해서는 Non-IT 측면의 접근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영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에 대해서 전문가(지식경영 컨설팅업체, 시스템 구축업체(SI업체), 지식경영 추진 부서 근무자)와 지식경영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cdot}$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간호사의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A Study on the Attitude on the Transfer of Duty Pos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 장경화;이은미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12-2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attitude on the transfer of duty pos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2 nurses who have engages in the K-university hospital. The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attitude on the transfer of duty post,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processed using SPSS/PC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ge the subjects was from 21 to 56 and average 32, blow 3 years experience in current duty post occupied most by 37.1%. The experience of the transfer of duty post showed 50.2%. 51.4% of the nurses wanted $3{\sim}5$ years as the suitable periods for the transfer of duty post showing the highest degree of frequency. 2. The positive degree of the attitude on the transfer of duty post of the nurses appeared average (3.36) to maximum evaluation point 5, and when asked about 4 factors the nurses wanted individual development most by (3.72) while administration management was lowest by (2.65).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ir job appeared to be average (3.06) to the maximum point 5, and when asked about 7 factors, interaction appeared to be the highest by (3.63), here we saw that interaction was the most important elevating factor of the job satisfaction degree. 3. In the relation of the attitude on the transfer of duty po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it is necessary for the current duty post and periodical duty post to be transferred. In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degree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position of nurse, hospital clinical nursing experiences, satisfaction degree with current post and the hope of the transfer of duty post from current post. 4.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on the transfer of duty post and job satisfaction degree was positive relation(r=0.137, p=.002),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positive attitude on the transfer of duty post the higher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 PDF

선박 부품 제조업의 기술혁신, 기술흡수역량과 경영성과 상호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Technology Absorption Capacity, and Business Performance in Ship Parts Manufacturing)

  • 이동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17-629
    • /
    • 2022
  • 본 연구는 선박 부품제조 기업의 기술혁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기술흡수역량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기술개발과 관련된 경영전략 수립의 개선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의 조선, 선박 부품업체의 연구개발, 마케팅, 생산·제조, 자금/회계 부서에 근무하는 총 36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선박 부품제조 기업의 기술혁신, 기술흡수역량이 경영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간으로 한 결론은 기술흡수역량을 구성하는 잠재흡수역량과 실현흡수역량이 지속적인 기술 역량 축적 등 기술혁신과 경영성과 상호 간에 주요한 핵심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실무적인 관점에서는 선박 부품제조 산업은 스마트 부품공정 기술흡수 역량에 집중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치료방사선사의 직무에 의한 신체손상(근골격계 증상)에 관한 연구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Radiological Tehnologist.)

  • 이병철;조정희;신동봉;우중열;박재일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9-50
    • /
    • 2004
  •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아직까지 시행되지 않은 치료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방사선치료사의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부위와 유병율, 위험요인을 파악하는데 기초 자료로서 삼고자 함이다. 첫째, 치료 방사선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알아본다. 둘째, 치료 방사선사의 업무 특성에 따른 목, 어깨, 허리, 팔, 손/손목, 다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대한 호소 실태를 알아본다.(유병율) 섯째, 치료 방사선사의 직무상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요인을 파악한다. 넷째, 치료 방사선사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관리 대처방안을 도출한다. 대상 및 방법 : 조사연구대상자는 2003년 현재 대한방사선치료학회에 등록된 회원중 서울지역의 6개 병원에 근무하는 치료방사선사(약 100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다. 가. 설문지 측정도구로서 설문지를 이용하며, 설문지의 내용은 치료방사선사의 일반적인 특성인 "연령, 성별, 총 근무 연수, 작업부서, 1일 평균 근무시간, 1일 평균 휴식 시간, 1일 평균 환자 수, 운동여부 근골격계 자각증상인 "목, 어깨, 허리, 손목, 등, 손가락 등" NIOSH의 정의에따라 산업안전공단에서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된 설문지를 이용한다(산업안전공단, 2002). 나. 자료 수집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위치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방사선치료사로 2003년 9월 한달동안 자료를 수집한다. 우선 20명의 방사선치료사를 대상으로 2003년 8월 15일부터 8월 17일까지 예비조사를 시행하여 객관성과 타당도를 검증한 후 설문문항을 재구성한다. 설문지의 한다. 자료 수집 방법 우편발송을 통한 조사로 발송전 전화를 이용하여 조사목적과 작성방법을 설명한 후 발송한다. 결과 : 전체 대상자 72명중 50명($69.5\%$)이 근골격계증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근골격계증상이 없다고 한 대상자는 22명($30.5\%$)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증상율이며 증상완화와 예방대책의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52명의 근골격계 증상자중 목 부위를 호소하는 중상자는 22명($33.3\%$), 어깨 부위는 24명($33.3\%$), 팔 부위는 9명($12.5\%$), 손 부위는 10명($13.9\%$), 허리 부위는 25명($34.7\%$), 다리/발 부위는 23명($31.9\%$)로 호소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치료 방사선사는 목, 어깨, 허리, 다리/발 부위가 대체적으로 $30\%$가 넘는 근골격계증상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증상이 직무와 관련된다고 대답한 군은 목 부위는 24(18)명 $75\%$, 어깨 부위는 24(17)명 $70.8\%$, 손 부위는 9(7)명 $77.8\%$, 팔 부위는 10(9)명 $90\%$, 허리 부위는 25(23)명 $95\%$, 다리/발 23(20)명 $87\%$로 증상이 직무와 상당히 높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증상의 요인이 직무와 관련된 부분에서 치료방사선사들은 하루 평균이상 걷는 양 24명($33.3\%$), block 및 block mount 19명($27.5\%$), 환자 이동 및 부축 22명($31.9\%$), 환자 치료용 device 5명($7.3\%$), eletron cone 10명($14.5\%$), wedge 6명($8.7\%$), cassette사용 4명($5.8\%$), computer 사용 10명($14.5\%$)로 대답하였다. 결과로 보아 치료방사선사들은 하루 평균이상 걷는 양과 환자의 이동 및 부축이 근골격계 증상이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았다. 결론 : 가. 6개 병원 종합병원 72명으로 표본수 너무 적어 전체 치료방사선사를 대표 하기 어렵다고 생각이 됨, 추후 전체 치료방사선사를 대상으로 근골격계 증상의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됨. 나. 연구목적의 정확한 전달이 부족 하여 설문지 작성의 미흡성이 많이 발견되었다. 다. 이번 연구결과의 내용으로 치료 방사선사들의 직무상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위험도를 인지, 예방교육, 대처방안에 도움 되길 바랍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