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hort study on blood zinc protoporphyrin concentration of workers in storage battery factory

축전지 공장 근로자들의 혈중 Zinc Protoporphyrin에 대한 코호트 연구

  • Jeon, Man-Jo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oong-Je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aKong, 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ang-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Jung-M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 Chung, Jong-H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전만중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중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사공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정만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종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8.03.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in working environment and personal hygiene for the occupational exposure to the lead, the blood zinc protoporphyrin (ZPP) concentrations of 131 workers (100 exposed subjects and 31 controls) of a newly established battery factory were analyzed. They were measured in every 3 months up to 18 months. Ai. lead concentration (Pb-A) of the workplaces was also checked for 3 times in 6 months interval from August 1987. Environmental intervention included the local exhaust ventilation and vacuum cleaning of the floor. Intervention of the personal hygiene included the daily change of clothes, compulsory shower after work and hand washing before meal, prohibition of cigarette smoking and food consumption at the work site and wearing mask. Mean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controls was $16.45{\pm}4.83{\mu}g/d\ell$ at the preemployment examination and slightly increased to $17.77{\pm}5.59{\mu}g/d\ell$ after 6 months. Mean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exposed subjects who were employed before the factory was in operation (Group A) was $17.36{\pm}5.20{\mu}g/d\ell$ on employment and it was increased to $23.00{\pm}13.06{\mu}g/d\ell$ after 3 months. The blood ZPP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27.25{\pm}6.40{\mu}g/d\ell$ on 6 months (p<0.01) after the employment which was 1 month after the initiation of intervention program. It did not increase thereafter and ranged between $25.48{\mu}g/d\ell$ and $26.61{\mu}g/d\ell$ in the subsequent 4 results. Mean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exposed subjects who were employed after the factory had been in operation but before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initiated (Group B) was $14.34{\pm}6.10{\mu}g/d\ell$ on employment and it was increased to $28.97{\pm}7.14{\mu}g/d\ell$ (p<0.01) in 3 months later(1 month after the intervention). The values of subsequent 4 tests were maintained between $26.96{\mu}g/d\ell$and $27.96{\mu}g/d\ell$. Mean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exposed subjects who were employed after intervention program had been started (Group C) was$21.34{\pm}5.25{\mu}g/d\ell$ on employment and it was gradually increased to $23.37{\pm}3.86{\mu}g/d\ell$ (p<0.01) after 3 months, $23.93{\pm}3.64{\mu}g/d\ell$ after 6 months, $25.50{\pm}3.01{\mu}g/d\ell$ after 9 months, and $25.50{\pm}3.10{\mu}g/d\ell$ after 12 months. Workplaces were classified into 4 parts according to Pb-A. The Pb-A of part I, the highest areas, were $0.365mg/m^3$,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levels were decreased to $0.216mg/m^3$ and$0.208mg/m^3$ in follow-up test. The Pb-A of part II which was resulted in lowe. value than part I was decreased from $0.232mg/m^3$ to $0.148mg/m^3$, and $0.120mg/m^3$ after the intervention. The Pb-A of part III was tested after the intervention and resulted in $0.124mg/m^3$ in January 1988 and $0.181mg/m^3$ in August 1988. The Pb-A of part IV was also tested after the intervention and resulted in $0.110mg/m^3$ in August 1988. There was no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Pb-A and blood ZPP concentration. The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group A and B workers in the part of the highest Pb-A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workers in the parts of lower Pb-A. The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workers in the part of the lowest Pb-A increased more rapidly. The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group C workers was the highest in part III.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ervention in personal hygiene is more effective than environmental intervention, and it should be carried out from the first day of employment and to both the exposed subjects, blue color workers and the controls, white color workers.

혈중 ZPP 농도를 생물학적 모니터링 표지자로 사용하여 새로 설립되는 축전지 제조 공장에서 작업환경과 개인위생에 대한 개선조치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연취급 근로자 100명을 대상으로 입사한 시기를 기준으로 3개의 군으로 구분한 후 채용시 측정된 혈중 ZPP 농도와 약 3개월 간격으로 12-18개월간 측정되어 보관된 기록 중 혈중 ZPP 농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군은 개선조치 시행전인 1987년 8월의 작업장의 기중 연 농도를 기준으로 $0.30mg/m^3$ 이상인 단위 부서들을 제 I 부서로, $0.30mg/m^3$ 미만인 단위 부서들을 제 II 부서로, 비교적 기중 연 농도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어 1988년 1월부터 새로 기중 연 농도가 측정된 단위 부서들을 제 III부서로, 그리고 작업장소가 일정하지 않고 이동하면서 근무하는 단위 부서들을 제IV부서로 대분하였고, 1987년 8월부터 약 6개월 간격으로 측정된 작업장의 기중 연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조군 31명중 6개월째까지 관찰되었던 22명도 채용시와 6개월 후에 측정된 혈중 ZPP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작업환경 및 개인 위생에 관한 개선조치를 1987년 8월 중순부터 시행하였으며, 주 1회 보건관리자를 통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이 실시되었다. 부서별 기중 연 농도는 1987년 8월부터 약 6개월 간격으로 3회 측정된 결과, 제 I 부서는 처음에는 $0.365mg/m^3$였으나 작업환경개선조치 후 $0.216mg/m^3$, 1년후에는 $0.208mg/m^3$로 감소되었고, 제 II 부서는 처음에 $0.232mg/m^3$였는데 개선조치 후 $0.148mg/m^3,\;0.120mg/m^3$가 되었으며, 제 III 부서는 1988년 1월의 측정치가 $0.124mg/m^3$였고, 8월에는 $0.081mg/m^3$였다. 제 IV 부서는 1988년 8월에 $0.110mg/m^3$였다. 대조군에서의 혈중 ZPP 농도는 31명중 6개월째까지 관찰되었던 22명에서 채용시와 6개월 후가 각각 $16.45{\pm}4.83{\mu}g/d\ell$$17.77{\pm}5.59{\mu}g/d\el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장이 가동되기 전에 입사한 A군에 있어서는 채용시 혈중 ZPP농도가 $17.36{\pm}5.20{\mu}g/d\ell$였고, 3개월째에는 $23.00{\pm}13.06{\mu}g/d\ell$였으며, 개선 조치가 시행된 직후인 6개월째에는 $27.25{\pm}6.40{\mu}g/d\el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0.01),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9개월째에 측정된 농도는 $25.48{\pm}5.17{\mu}g/d\ell$로 6개월째의 검사 농도보다 유의하게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12개월째부터 3회의 측정치는 유의한 증가나 감소가 없이 대체로 비슷한 농도의 양상을 보였다. 공장이 가동된 후 개선조치가 시행되기 전에 입사한 B군의 경우에 있어서는 채용시에 혈중 ZPP농도가 $14.34{\pm}6.10{\mu}g/d\ell$였고, 개선조치가 시행된 직후인 3개월째에는 $28.97{\pm}7.14{\mu}g/d\ell$로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6개월째부터 4회의 측정치는 유의한 증가나 감소가 없이 비슷한 농도의 양상을 보였다. 개선조치가 시행된 후 입사한 C군에서는 채용시 혈중 ZPP 농도가 $21.34{\pm}5.25{\mu}g/d\ell$였고, 입사한 후 3개월째에는 $23.37{\pm}3.86{\mu}g/d\el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1), 6개월째에는 $23.93{\pm}3.64{\mu}g/d\ell$의 농도를 보였고, 9개월째에는 $25.50{\pm}3.01{\mu}g/d\ell$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 계속하여 3개월 뒤 측정된 12개월째에는 그 농도를 계속 유지하였으며,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서별 비교에서 근로자들의 혈중 ZPP 농도는 기중연 농도와는 비례하지 않았고, 기중 연 농도가 제일 높은 제 I 부서에서 오히려 더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며, 기중 연 농도가 제일 낮은 제III부서에서 다른 부서보다 더 급격히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기중 연 농도와 혈중 연 농도 및 혈중 ZPP농도에 대한 모든 정보를 근로자들에게 알려줌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기중 연 농도를 나타내는 부서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보호구 착용과 개인위생에 대한 개선조치에 더욱 철저히 참가하게 되었다고 생각되며, 개인위생 및 보건교육, 상담 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초기부터 집중적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작업환경 개선에 대한 효과도 중요하나, 개인 위생 관리, 개인보호구착용 교육 및 보건 관리의 효과도 상당히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