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거중심적디자인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뉴미디어 시대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 전략과 문제점 연구 - 커뮤니케이션 툴 학습기능을 중심으로 -

  • 명광주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3
    • /
    • pp.55-71
    • /
    • 1999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의 문제를 점검하고, 전문대학만의 차별화 된 디자인 교육을 위한 전략과 방향을 정보화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툴 학습기능을 중심으로 찾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 조사 방법을 사용 했다. 전문대학 디자인 관련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학습체제의 대안을 제시 했다.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첫째, 전문대학 디자인 교과과정은 중견 직업인 양성 목적 보다는 4년제 교과과정의 모방이며 둘째, 학과목의 연계성 부족과 과도한 학과목으로 전문성 양성과 거리가 있고 셋째, 정보화와 멀티미디어화 등에 대한 대응력에서 취약하며 넷째, 학교 시설과 교수 인력에 한계가 있다. 이에 인터넷등 네트워크 미디어를 통해 가상학교를 구축, 상호 시너지를 확보하는 전략 전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논문은 전문대학의 현실적 디자인 교육 진단을 근거로, 국가적인 교육 정보화 정책과 세계적인 사이버 교육의 트렌드를 접합하여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 PDF

Model for stage make-up design by personality types based on Physiognomy - Focused on eyebrows and eyes make-up design - (관상학에 근거한 성격유형별 무대 분장디자인 모형 연구 -눈썹과 눈 디자인을 중심으로-)

  • Jeon, In-Mi;Lee, Hye-Joo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1 s.69
    • /
    • pp.273-286
    • /
    • 2007
  • The performing art is a genre which is integrated of various fields of arts, and Stage Make-up as well. Stage Make-up functions as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which makes audienc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facts by transforming an actor/actress into the character in the play and also, visually enlarging characters. Due to the creativeness of Stage Make-up, the conceptual study on Stage Make-up design for visual expression coincide with the intended character is needed. However, in Korea, the systematical approach for Stage Make-up design by character types has not developed, or studied ye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ystem model through theoretical study of psychological personality types. and to apply for the expression of characters in the play based on physiognomy(face-reading), The case study of visualizing according to an actor/actress's shape of face. is Specially focused on eyes and eyebrows. In designing Stage Make-up, eyes and eye brows are important elements as a tool for strong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This model of Stage Make-up design by personal type constructed in this study, is for applying methodically as professional approach on actual Stage Make-up design and educational teaching methods as well.

  • PDF

Concept of Information Architecture on Digital TV based on User Thought (사고 유형에 기초한 디지털 TV 채널 정보구조의 구상)

  • Hyun, Hye-Jung;Ko, Il-Ju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9
    • /
    • pp.77-85
    • /
    • 2010
  • As various convergency product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 study on user interface has been conducted a lot, and for more specific direction, users' experience-oriented user interface from user-oriented studies is recently developed. Such a tendency aiming to focus on product development to express users' emotion, the next step in the user-oriented development had difficulties in an objective approach, so the data based on previous users' experiences were presented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user interface design process with grounds and design direction, and therefore it is available to show more specific and objective grounds. From this perspective, such psychological variables showing users' experiences like age and job are studied through surveys of users at the development of products, and products according to the variables are released.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s considering psychological difference distinguishing users' experiences as the cultural cap are not progressed yet. Despite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 its decisive grounds are hard to distinguish like age, and job. Therefore, the cognitive concept about how to design menu inform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ccident types that can be considered regarding user interface design among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cultural difference. As the category according to the range of things among accident types, it is divided into analytical type and relational type to conduct a test on similarity and relations about the representative digital TV's menu information of the convergency product. As the result, analytical type and relational type showed difference and this study aims to use menu information concept considering this difference as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users' experience-oriented development.

An Empirical Study on Emotion-based Homepage Design (감성 기반의 웹페이지 디자인을 위한 실증적 연구)

  • Choi, Dong-Seong;Lee, Joo-Eun;Kim, Jin-Wo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7 no.5
    • /
    • pp.475-488
    • /
    • 2001
  •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various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effective design of web page. However, the prior methodologies have focused only on the functional aspect of web page while ignoring the emotional aspects of web pages. This paper focuses on the emotional design of home pages and aims to provide a methodology to design a web page suitable for goal emo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main purpose, we have conducted three related studies. First, we have identified basic emotional dimensions representing various feeling users have from web pages as a pool of emotional adjectives. Second, we have identified key design elements related to the emotion by observing the design process of expert designers. Third, we examined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emotion and designed ele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some design elements are more effective to produce certain feeling than others. This paper ends with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 PDF

An Empirical Approach on Textile Designer's Mental Model focused on the Motif Development for designing CAD tool of Digital Textile Printing (텍스타일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에 대한 실증적 접근 - 디지털 나염 전용 캐드 설계를 위한 모티브 개발을 중심으로-)

  • 송승근;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0-16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오디오 프로토콜 분석 방식을 이용해서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 중 모티브 개발 단계에서 디지털 나염(DTP : Digital Textile Printing) 전용 캐드(CAD)와 같은 디자인 저작도구를 설계할 때 어떤 요소에 중점을 두고 개발 할 것인지에 대한 향상된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토콜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디자인 행동 범주의 틀을 하향식(top-down)방식으로 설정하고 실제 행동 프로토콜 (action protocol) 분석을 통해 상향식(bottom-up)방식으로 세부 디자인 행동을 도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선행연구의 건축디자인과는 다른 특징을 지니기 때문에 프로토콜 분석에서도 새로운 디자인 행동 범주(action category)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모델 휴먼 프로세서(Model Human Processor)이론을 근거로 디자인 행동을 모터 행동(motor action), 지각 행동(perceptual action), 인지 행동(cognitive action)의 세 가지 범주[4]로 나누었으며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합한 코딩 스킴(coding scheme)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코딩 스킴을 토대로 디자인 저작도구에 대한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Cognitive Model)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은 디지털 나염을 기반으로 하는 모티브 개발 단계에서 스케치와 렌더링에 대한 디자인 저작 도구의 향상된 설계지침 뿐만 아니라 방향도 시사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user-centered interface of consumer electronics based on log analysis (가전 제품의 사용 Log 분석을 통한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TV 사례를 중심으로 -)

  • Ha, Yoon;Choi, Go-Woon;Kim, Hyo-Sun;Ahn, Jeo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79-184
    • /
    • 2007
  •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의 사용 행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핵심적이다. 사용자 행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개별/집단 면접 등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들의 기억에 의존하는 간접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그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 조작 로그(Log)를 기록, 수집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가전 제품의 사용 행태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디지털TV실사용자 가구들을 조사 대상으로 선발한 후 해당 가정의 실제 사용 환경에서 약 1개월간 사용 로그를 기록하였다. 로그 수집과 함께 면접 설문도 실시하였다. 수집된 로그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제품의 주요 기능별 사용 빈도와 패턴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면접에서 대상자들이 응답한 내용과 비교하여 간접 조사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다. 로그 분석 결과에서 도출된 사용 행태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 맞춤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가구별 결과를 2차 분석하여, 사용 행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세분화(Segmentation)를 하였고 각 세그먼트(Segment)별 주요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여러 분석 결과는 가전 제품의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개발에 사용 Log분석이 활용될 다양한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Eco-Friendly Package Design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 Kim, Mi-Ja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0
    • /
    • pp.45-55
    • /
    • 2014
  • 최근 환경오염과 생태학적 환경문제가 사회적 중요한 관심사로 인식되고 있다. 포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재활용과 재사용에 대한 요구와 함께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친환경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필름 등의 포장재의 개발과 생산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개념과 에코 포장디자인 적용범주, 국내외 에코패키지의 동향 및 포장재 현황을 살펴보고, 각종 정책과 규정 및 관련지침 등의 이론적 자료들을 근거로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에코패키지의 기본 방향과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이드 라인 및 수행 절차를 고찰하였다. 에코 패키지의 기본방향은 첫째, 포장디자인의 제작,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환경측면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비용과 품질, 시장성, 디자인 등 다중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디자인 부서와 제품설계부서, 생산부서, 환경팀 등 조직 내의 다른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협력하여야 하며 넷째, 기업의 다른 여러 가지 환경 활동을 통해 잠재적인 소비자와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자원 절감과 물질 사용량 절감, 재활용성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유해 물질 저감과 안전성 확보, 폐기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환경 친화적 포장디자인의 실천을 통해 환경영향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소비자의 이미지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symbol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ind of garden space -Focusing on the target area of the artist's garden exhibited at the Seoul Garden Fair in 2017- (정원 공간 유형의 특성에 근거한 기호화 연구 -2017년 서울 정원박람회에 출품된 작가정원의 대상지를 중심으로-)

  • Kim, Da Kyung;Jun, Hyung Soon;Yoo, Taek Sang;Wang, Kyu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and Design
    • /
    • no.40
    • /
    • pp.97-12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unit of garden and to classify and symbolize it, to provide the basis for analyzing the work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o provide the data that can become the logical foundation for garden design. The research method first analyzed the behavioral scene analysis an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the theory about the space type. It controls the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and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for the garden image based on the experiential knowledge of the expert, It i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at aims to increase credibility. The actual case target was the author garden which was exhibited at the 2017 Seoul Garden Expo. Through this process, we have simpl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 positives and negatives accordingly. We have grasp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space, sculptural space, architectural space, and environmental space.. Research on qualitative topic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an not completely exclude the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but such research can provide a rationale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gardens that depend on the individual's taste.. It can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by providing reference materials for garden designs that rely on designer intuition, or by providing a logical basis for design.

선형대수에서의 학생들의 오개념 - 일차변환을 중심으로 -

  • Sin, Gyeong-Hu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379-388
    • /
    • 2005
  • 일차변환은 선형대수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많은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이 개념에 대한 오류는 무엇이며 또 어디에 근거하는가? 이 논문은 효과적인 선형대수 교수학습 연구의 일부로, 주어진 여러 함수 중에서 일차변환인 것을 찾는 과정 중에 나타난 학생들의 오류와 그 근거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선형대수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교수디자인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의 의미를 갖는다.

  • PDF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Goods Design Education in korea (우리나라 문화상품디자인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임상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4
    • /
    • pp.79-90
    • /
    • 2003
  • As cultural goods have been taken notice of as an area that ma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national profit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construct infrastructure for the area. Contrary to the trend, however, design education has not performed in-depth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professionalism and characteristic of subjects. Resultantly it has hardly prepared systematic educational curricula and contents. In this situation the present study purposes to set the right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and to draw the outline of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for cultural goods design. For this purpose, it defines the scope of cultural goods design based on the concept and contents of cultural goods design, examines the functions, the roles and the conditions of cultural goods designers, and based on them, propose the direction of cultural goods design education as the ground of detailed methods of teaching cultural goods desig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