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직무표준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7초

직무체계에 따른 포장분야 교육과정과 자격시험의 관련성 분석 연구 (A Study on a Measure to Link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Packaging Sector to Qualification Test for Based on the Skills Framework)

  • 박종성;이영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52-61
    • /
    • 2010
  • 이 연구는 포장분야 교육과정과 자격시험의 연계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포장분야에 대한 직무체계를 마련하고, 둘째, 포장분야 교육과정과 연계한 자격시험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 협의회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포장 산업의 교육과정과 자격시험 연계 및 운영방안 마련의 기본방향은 포장 분야의 직무체계(Skills Framework)를 개발하고, 직무체계에 근거하여 직무분야별 국가직무능력표준은 개발하고, 이에 근거하여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고 자격시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NCS기반 가상훈련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Atudy on NCS-based Virtual Training Content Analysis)

  • 송은지;이석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51-656
    • /
    • 2017
  • 가상훈련(Virtual Training)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서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가상훈련 시스템은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몰입감과 상호작용 제공을 통한 학습 효과가 높아 직접 관찰이 어렵거나 텍스트와 2D 자료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학습내용, 가시화하기 어려운 내용, 추상적인 학습개념, 고위험 및 경비가 많이 드는 시험 등의 교육 분야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를 반영한 가상훈련 시스템 개발을 위해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인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교육 분야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제안한다. 향후, 제안한 가상훈련 콘텐츠들이 개발되어 NCS 교육과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폴리텍 대학등 대학 교육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패션소품생산 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훈련자격 설계에 관한 연구 (Study of 'Education-Training-Certificate of Qualification' Design for the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서승희;이신영
    • 복식
    • /
    • 제65권2호
    • /
    • pp.125-143
    • /
    • 2015
  •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ducation-training-certificate of qualification' design of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whi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individuals. It i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e '2013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Development Project' for the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FGI (Focus Group Interviews), which is a research methodology, is carried out on target groups of educational experts and specialists in the field of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Through this, five courses were suggested; first, 'fashion accessories design' course was proposed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design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raw materials'. Secondly, 'fashion product production' course was proposed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roduction of samples'. Thirdly, 'fashion product manufacture and planning' course was proposed for the competency element units: 'calculation of cost', 'determination of mass production model and price', 'planning of the main manufacturing process' and 'ordering of raw materials'. Lastly, 'mass production of fashion products' course and the 'field practice of fashion product manufacture' course were proposed for the competency element units: 'planning for mass production', 'preparation for mass production', 'mass production' and 'inspection of completed products'. In addition, a new certificate of 'technician of fashion accessory production' was proposed in order to test qualified skills for the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The test is composed of a written examination of short-answer questions, technical drawing and production.

민간경비 인사업무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HRM Factors in Private Security)

  • 권정언
    • 시큐리티연구
    • /
    • 제56호
    • /
    • pp.55-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업에서 내적 역량에 비해 급격한 외적 성장으로 야기된 성장통을 해소하는 적극적인 활동을 인사업무에서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사업무를 민간경비 인사업무에 적용하여 계층구조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해 상대적인 중요도를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 인사업무의 대분류 구성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모집단계, 운용단계, 복지단계, 퇴직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모집단계의 상대적 중요도가 63.8%에 이르렀다. 둘째, 대분류를 다시 14개 능력단위를 중분류로, 그리고 능력단위요소 46개를 소분류로 구분하여 복합중요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모집단계의 인사기획과 인력채용이 가장 집중해야할 분야로 선정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기획하기와 교육과정 운영하기가 각각 8위와 10위에 해당하여, 교육훈련의 운영에도 역량을 집중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민간경비업의 발전을 위해 인사업무 중 역량을 집중해야 할 분야를 제언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연구방향과 기법도 제안하였다.

NCS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by using NCS)

  • 백진욱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17-224
    • /
    • 2021
  • 인공지능 등의 4차 산업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최근의 대학 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대학의 입시 환경도 심각하게 어려워지고 있어 대학 내에서 학과와 전공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의 학과는 학과의 내·외부 환경에 따라 새로운 전공 또는 융합 전공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과정을 정확하게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긴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사용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과 적용 사례를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은 전통적인 3단계 방식, 즉 분석, 설계, 그리고 개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 NCS를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교육과정 개발의 시간을 줄이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교육과정 개발의 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스크린리더 사용자를 위한 플러그인 가상악기 SI-Drum의 접근성 평가 연구 (A Study on SI-Drum's Accessibility Evaluation for Screen Reader User)

  • 석용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71-580
    • /
    • 2023
  • 본 연구는 Cakewalk By Bandlab(이하 Cakewalk)과 TTS-1의 접근성 평가의 후속연구로, Cakewalk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VSTi 형식의 SI-Drum의 기본 접근성을 평가하고 접근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크린리더 사용자가 SI-Drum을 사용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가상악기 에디팅하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기본 접근성이 소프트웨어 개발자 관점에서 평가되었다. 또한, Cakewalk 단축키 등록 기능, MIDI 기능, 센스리더 기능을 활용한 확장된 접근성이 평가되고 접근방법이 모색되었다. 본 연구 결과, SI-Drum의 기본 접근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센스리더의 마우스 기능과 위치기억 기능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확장된 접근 기능을 활용하면 [가상악기 에디팅하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작업도 각 컨트롤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기억 목록을 만들고 저장하기 위한 정안인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크린리더 사용자가 더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 접근성 확보가 우선 필요하고, 이를 위한 Cakewalk와 센스리더의 개선사항이 제안되었다.

고등학교 피부 미용 교과서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High School Skin Beauty Textbooks -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심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67-684
    • /
    • 2022
  •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피부 미용 교과서를 NCS 능력 단위를 기준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NCS 기준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과정 동안 습득 가능한 내용의 포함 여부 및 내용의 적합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기간동안 학습이 가능지만 누락된 NCS 능력 단위를 추가하는 방향으로 개편이 필요하다. 둘째, 고등학교 수준을 벗어난 NCS 능력 단위 5 수준은 교체 작업이 필요하다. 셋째, 삽화 자료와 사진 자료는 학습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선명도와 일관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교과서의 실습과 관련된 내용들은 구체적인 설명과 이와 관련된 학습자료의 첨부가 요구된다. 다섯째, 피부 미용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의 개념 정리와 표기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부 미용 분야 NCS 학습 모듈 개발과 고등학교 피부 미용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의 한계점으로 학습 대상자의 견해를 반영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학생들의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방안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플러그인 가상악기 SI-Bass Guitar의 접근성 평가 연구 (A Study of the Accessibility Evaluation of the SI-Bass Guitar)

  • 석용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495-500
    • /
    • 2024
  • 본 연구는, 플러그인 가상악기의 접근성 평가 연구의 후속 연구로, 플러그인 가상악기 SI-Bass Guitar의 접근성을 평가하고 접근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센스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이 SI-Bass Guitar를 사용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가상악기 에디팅하기] 업무를 키보드만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본 접근성과 Cakewalk 단축키 등록 기능, MIDI 기능, 센스리더 기능을 활용한 확장된 접근성이 평가되었고, 업무수행을 위한 작업 방법이 모색되었다. 접근성 평가결과, SI-Bass Guitar는 기본 접근성이 없어, 센스리더의 마우스&위치기억 기능을 사용해야만 [가상악기 에디팅하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이 SI-Bass Guitar를 사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었고, 접근성 확보를 위한 몇가지 방안이 제안되었다.

NCS기반 게임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과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CS-based Game Curriculum Focused on the Game Contents Dept. of Kimpo Univ.)

  • 권용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81-387
    • /
    • 2019
  • 2013년 이후 활성화되기 시작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체계가 전문대학 및 직업훈련기관을 중심으로 적극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게임분야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므로 게임교육과 NCS를 연계하는 첫 연구로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과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NCS 기반의 게임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게임산업 환경을 분석하고 게임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실무에서 필요한 지식과 직업기초능력 과목을 도출하였으며, 게임직무별 현장전문가(SME)를 활용하여 인력양성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인력양성 유형에 적용할 NCS의 세분류 및 능력단위를 조사하고 각 능력단위의 유용성을 분석함으로써 NCS 교과목을 도출하였으며, NCS교과목과 비NCS교과목을 학습순위에 따라 학기별로 배치함으로써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과의 2년제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NCS와 게임콘텐츠제작 분야를 연결하는 마중물로서 의미가 있으며, NCS기반으로 게임교육과정을 계획하는 여타 교육기관의 참고가 됨은 물론 향후 게임교육과정에 대한 향상방안 및 게임교육 품질관리(CQI)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소제조업의 NCS 기반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CS-based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performance)

  • 임상호;장석인;배성필;최창호;이용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1호
    • /
    • pp.85-91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NCS 기반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NCS적용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을 높이는 데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체교육이 직무지식(p<.001, ${\beta}=5.130$), 현장훈련이 직무기술(p<.01, ${\beta}=3.783$), 현장훈련이 직무태도(p<.05, ${\beta}=-2.448$)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 기반 교육훈련이 직무수행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기술과 직무지식(p<.01, ${\beta}=.740$), 직무기술과 집체교육(p<.01, ${\beta}=.459$), 직무지식과 집체교육(p<.01, ${\beta}=.575$)과 직무태도와 현장훈련(p<.05, ${\beta}=-.320$), 집체교육과 현장훈련(p<.05, ${\beta}=.268$)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의 연령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20대(3.44), 30대(3.26), 40대(3.63)보다 50대(3.75)가 직무태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NCS 기반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의 폭을 넓히고 학습형태에 따른 효과성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