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2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지역 규모별 특성 분석 -2010년, 2011년 초등학교 수학과 결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mong regional scales : Based on the 2010, 2011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 results in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 조윤동;조성민;최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03-317
    • /
    • 2013
  • Recently in South Korea, various methods are followed in decreasing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 and social classes through school education. The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ntends to strengthen responsibility of school education and manage quality of curriculum. Besides, the NAEA intends to bridge achievement gap which is one of educational gap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bility to guarantee basic academic ability. There is not much research about the educational gap among regional scales. Therefor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mong regional scales closely, we analyse the 2010, 2011 NAEA results in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and explore characteristics of items which have sharp differences between local population s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s been showed that the educational gap between 'big-sized cities' and 'small and midium-sized cities' has been increased, but the overall educational gap among regional scales has been decreased.

수학과 교수.학습 시사점 도출을 위한 2010, 2011년 국가수준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내용 비교 분석 (Analysis of Item Contents of 2010, 201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t elementary school for deduction of suggestions to the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 조윤동;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4호
    • /
    • pp.395-413
    • /
    • 2012
  •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s important standard reference to become the basic data for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ed and the educational policies put in force presently and preparing the new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ies. In this paper, we looked into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alibrated score of whole group and male/female students, the correct answer ratio of each performance level and the correct answer ratio of each content domain, etc. in the results of NAEA at 6th elementary school. The analytic objects are 2010 and 2011 NAEA that are changed into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the standard reference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new calibrated score is applied to. And we analysed and compared correct answer ratio of the each content domain and each item to conform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these informations, we investigated that here is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and trends to the whole group and what kind of suggestions to the teaching-learning. And we were going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needs to understand which content of mathematics is needed and which thinking methods are needed.

컴퓨터 기반 평가와 지필평가 간 학생 응답 특성 탐색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병행 시행 결과를 중심으로- (Exploring Differences of Student Response Characteristics between Computer-Based and Paper-Based Test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uter-Based NAEA and Paper-Based NAEA)

  • 백종호;이재봉;구자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7-28
    • /
    • 2023
  • 디지털 기반 지능 정보 사회로의 진입에 발맞추어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과학과의 교과역량 함양을 강조하고 있으며, 역량 평가의 측면에서 컴퓨터 기반 평가가 관심을 받고 있다. 컴퓨터 기반 평가는 높은 실제성을 갖는 형태로 문항을 구현할 수 있고, 평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하여 환류 체계를 구축함에 있어서도 이점이 있다. 다만, 평가 타당도 개선, 측정 효율성 저하, 관리 요소 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 평가가 지필평가에서 컴퓨터 기반 평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평가의 도입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2021년도에 시행된 학업성취도 평가의 지필평가와 컴퓨터 기반 평가의 병행시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동일한 문항을 평가 매체만을 변화시켰을 때 학생들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 기반 평가의 장점을 살린 새로운 기능을 포함하여 문항을 구성했을 때의 변화가 학생들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중학교 3학년 학생 7,137명이 지필평가와 2종의 컴퓨터 기반 평가 중 하나에 응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가 시행 후 집단별로 문항의 정답률과 변별도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출제 경험이 있는 과학교사 8명이 참여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응답 특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지필평가와 단순 모드 전환형 평가에서의 학생들의 성취 결과는 큰 차이는 없어 매체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서답형 문항의 정답률이 컴퓨터 기반 평가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응답의 편이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컴퓨터 기반 평가 도입에 따라 새로운 기능들이 적용된 문항들에서 유사한 문항의 정답률과 차이가 10%p 이상인 문항들이 존재하였다. 학생들의 답지 반응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이는 새로운 기능을 통해 마련한 혁신적인 문항들이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한 결과로 볼 수 있었다. 결과를 토대로 컴퓨터 기반 평가를 도입하고 개발할 때 유의할 사항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 차별기능문항 분석 (An Exploratory Study on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f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 migrant families students, through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 of mathematics)

  • 조윤동;강은주;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75-94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에게 차별기능을 하는 문항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Simultaneous Item Bias Test(SIBTEST) 방법과 MantelHaenszel(MH) 방법으로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에 대한 차별기능문항을 추출한 결과, 초 중 고등 세 학교급에서 8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이 문항들은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 정도와 특성을 나타내는 객관적인 자료로서 기능할 것이다. 또한 추출된 각 문항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에게 차별기능을 한 잠재적인 원인을 탐색한 결과 언어 능력, 계산 및 문제 해결 과정의 복잡성, 교육과정의 일치 여부, 문제 상황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을 위한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교수 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성취수준별 대표문항의 개념 및 수준별 수업에의 활용 방안 (Representative items for each achievement level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Mathematics : the Concept and Use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 도종훈;고정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09-124
    • /
    • 2008
  •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 중 하나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폐지하고 수준별 수업을 내실화하는 것이다. 수준별 수업의 실제 운영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의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개별 학생이 어떤 성취수준에 있는지, 그리고 특정 성취수준에 속한 학생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각각의 성취기준에 얼마만큼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학생의 수준에 부합하는 교육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준별 반 편성을 위한 학생들의 성취수준 판단 방법으로서 현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활용되고 있는 앙고프 방법(Angoff method)을 소개한다 그리고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의 개념 및 수준별 수업에의 활용 방안을 학생들의 성취수준 진단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 PDF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의사 개념적.분석적 행동 분석 - 2005년 국가수준 수학 학업성취도 수행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s - The resul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5 -)

  • 김선희;원유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1호
    • /
    • pp.11-25
    • /
    • 2008
  • The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conceptual or the pseudo-analytic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i.e. advanced group, proficient group, basic group, and below-basic group) in grade 9 are as follows. The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al behaviors to get credit from teachers become conspicuous in lower achievement level. The high achieving students showed more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al behaviors without undergo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or control. The proficient group was short of control in computation, and the advanced group didn't control well in representation. The proficient group tended to depend on a past successful algorithm and behave habitually. Therefore, it is needed to teach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 behaviors shown in each achievement level.

  • PDF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업성취 결과 분석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by Applying Cognitive Diagnostic Model)

  • 김희경;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289-314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Fusion 모형이라는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수학교과에서 학교급별, 성취수준별, 성별에 따른 인지요소 숙달 양상과 다문화가정의 인지요소 숙달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6은 12개의 인지요소에서 '귀납적으로 추론하기', 중3은 10개의 인지요소에서 '연역적으로 정당화하기', 고2는 10개의 인지요소 중 '사칙계산'이 가장 높은 숙달 비율을 보였다. 성취수준별로 인지요소의 숙달 양상을 분석한 결과, 초 중 고 모두 우수학력 집단은 전체 인지요소에서 94%이상의 숙달률을 보였으나, 기초학력이하 집단 학생들은 거의 모든 인지요소에서 초6과 중3의 경우 미숙달 비율이 70%이상이었고 고2는 99%이상이었다. 또한, 초6, 중3까지는 전반적으로 여학생의 인지요소 숙달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으나 고2에서는 대부분의 인지요소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숙달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학생 집단과 일반가정 학생 집단 간 인지요소의 숙달 양상은 학교급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 PDF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 고찰 (A study on the evaluation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in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ased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 신서영;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815-823
    • /
    • 2017
  •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하여 특수교육 현장의 실제적 평가에 대한 요구를 고찰한 것이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위한 평가영역 및 요소는 델파이 분석으로 도출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대상학생의 4개 생활교육 범주, 22개 내용영역과 국가 교육과정의 7개 교과 범주, 27개 내용영역으로 설정하였다. P광역시에 소재하는 126명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범주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 이를 평균점을 기준으로 실행도를 x축, 중요도를 y축으로 하여 산점도로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의 일부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 평가영역 및 평가체제에 대한 재구조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더 나아가 국가수준 기본교육과정의 교과목 편제 및 내용영역, 내용요소의 양에 대한 심도 깊은 개정 논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국가의 수학-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및 측정 동일성 검증 (Factor Analysis and Measurement Invariance Test of Mathematical Affectiveness in High Mathematical Achievement Countries)

  • 이종희;김기연;김수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2호
    • /
    • pp.307-321
    • /
    • 2011
  • 수학 학습과 성취에 있어서 인지적 영역뿐만 아리나 정의적 영역의 여러 요인이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 활동에 있어서 정의적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정이나 학업성취도 평가, 국제비교평가 연구 등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학 학습과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정의적 요소를 살펴보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 중에 대규모의 표집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설문에 따른 반응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 2003과 TIMSS 2007의 자료를 분석하여 수학 학업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상위 30%) 국가를 선정하고 각 국가의 정의적 영역 성취점수를 분석함으로써 국제비교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문항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대규모 국제비교평가의 설문문항이 우리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 문항 개발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 PDF

종이에서 컴퓨터로의 매체 전환에 따른 평가 결과의 변화 탐색: 고등학교 수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change in achievement by the transition of the test mode from paper to computer: Focusing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high school mathematics)

  • 정혜윤;송창근;김영준;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4호
    • /
    • pp.597-612
    • /
    • 2022
  • 최근 국내외 대규모 평가를 중심으로, 수학 평가가 전통적인 지필 평가에서 컴퓨터 기반 평가로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평가 문항의 유형, 문항에 반영된 기술공학적 기능, 학생의 컴퓨터 사용 특성 및 컴퓨터 평가 환경에 따라 평가 매체 전환에 따른 학생의 성취도 차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지필 환경과 컴퓨터 환경에서 실행된 2020 고등학교 수학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순 매체만 전환된 경우 모드 효과는 대체로 미미하였지만, 서술형 문항의 경우 단답형이나 선택형 문항에 비해 모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매체 전환과 기술공학적 기능의 반영이 함께 이루어진 경우, 문항에 반영된 기술공학적 기능에 따라 모드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컴퓨터 기반 평가 시행환경, 학생의 컴퓨터 활용 빈도와는 달리, 학생의 컴퓨터 활용 효능감에 따라 컴퓨터 기반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평가 내용과 역량에 맞춘 적절한 기술공학적 기능의 도입이 필요하며, 학생의 수학 학습 능력 외의 부수적인 능력이나 상황이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세밀한 평가 설계와 환경 구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