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차 오염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5초

포장돈육 가공공정 중 돈육과 작업자 손과의 Listeria monocytogenes의 교차오염 전이율 (Transfer Rate of Cross Contamin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etween Pork Meat and Workers' Hands during Pork Meat Processing)

  • 김성조;박명수;박경진;라만;박중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0-3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포장돈육 가공공정에서 교차오염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돈육 가공공정에서 돈육과 빈번하게 접촉하는 작업자의 손(polyethylene glove 착용, 면장갑 착용, 맨손) 및 작업도구(칼, 도마)를 대상으로 각각에 대하여 Listeria monocytogenes의 상호 교차오염 전이율을 분석하였다. 오염된 돈육에서 작업자로의 전이율은 면장갑이 100.0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맨손 2.513%, PEG 1.511%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면장갑의 경우 면장갑으로 전이된 균이 다시 맨손으로의 재오염 전이(0.08%)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된 돈육에서 칼과 도마로의 전이율은 0.352-3.791%이다. 반대로 오염된 작업자로부터 돈육 및 기구로의 전이율은 0.001-0.141%로 전체적으로 오염된 돈육으로부터의 작업자의 손과 기구로의 전이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전이되었다. 따라서 PEG 착용이 작업공정에서의 교차오염을 줄이거나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축산물 작업공정에서의 교차오염은 원료육에서 손 또는 장갑, 도마, 칼 등으로 오염이 전이되고 이들이 다시 돈육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한 식품생산을 위해서는 이러한 교차오염의 연속성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돈육 가공공정에서 돈육과 작업자 손 간의 Salmonella spp.의 교차오염 비교 (Comparison of Cross-contamination of Salmonella spp. on Pork Meat and Workers' Hands during Pork Cutting Processing)

  • 홍종해;박경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62-5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포장돈육 가공공정에서 교차오염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돈육 가공공정에서 돈육과 빈번하게 접촉하는 작업자의 손(polyethylene glove 착용, 면장갑 착용, 맨손) 및 작업도구(칼, 도마)를 대상으로 각각에 대하여 Salmonella spp.의 상호 교차오염 전이율을 분석하였다. 오염된 돈육에서 작업자로의 전이율은 면장갑이 38.8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PG 3.11%,맨손 1.3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면장갑의 경우 면 장갑으로 전이된 균이 다시 맨손으로의 재오염 전이(0.07%)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된 돈육에서 칼과 도마로의 전이율은 0.20-1.99%이다. 반대로 오염된 작업자로부터 돈육 및 기구로의 전이율은 0.0015-0.21%로 전체적으로 오염된 돈육으로부터의 작업자의 손과 기구로의 전이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전이되었다. 따라서 PG 착용이 작업공정에서의 교차오염을 줄이거나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축산물 작업공정에서의 교차오염은 원료육에서 손 또는 장갑, 도마, 칼 등으로 오염이 전이되고 이들이 다시 돈육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한 식품생산을 위해서는 이러한 교차오염의 연속성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국내 식품 냉장.냉동 창고 위생관리 수준 분석 (Sanitary Conditions for Cold and Frozen Food Storage Warehouses in Korea)

  • 최은지;김미예;박경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3-288
    • /
    • 2011
  • 전국 17곳의 식품 냉장 냉동 창고를 대상으로 입고, 교차오염, 보관, 온도 및 기록관리 등 5개 대분류와 20개 세부평가항목으로 분류하여 위생관리 수준을 분석하였다. 5개 대분류 평가항목별 수준에 대한 빈도분석결과, 기록관 리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온도 및 보관 관리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교차오염관리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이 항목이 냉장 냉동창고 위생관리 중 현장에서 가장 잘 수행되지 못하는 항목으로 추정되었다. 총점과의 상관분석결과 교차오염과 보관관리가 높게 나타나 이들 2항목을 잘 관리하는 업소 일수록 전체적으로 냉장 냉동창고 위생관리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20개의 세부평가항목 중 "교차오염과 관련한 발송시 교차 오염 방지를 위한 포장 여부"가 평균 $2.67{\pm}1.8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실외 급배기구 크기와 이격거리에 따른 교차오염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ross-contamination according to the Size and Separation distance of Exterior Air-vents)

  • 문용준;노광철;오명도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3-398
    • /
    • 2006
  • This study i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ross contamination around exterior air-vents. A CFD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calculate the cross contamination index for five exterior air-vents sizes according to the outdoor air velocity and separation distance of it. From the result of the numerical method, As the outdoor air velocity is increased, the cross contamination index is increased. on the contrary, as the separation distance of exterior air-vents is increased, the cross contamination index is decreased, additionally the cross contamination is affected by the aspect ratio of the size of exterior Air-vents.

  • PDF

대기중 총분진과 사망자수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air a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 김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13권2호
    • /
    • pp.265-274
    • /
    • 2000
  • 대기오염 자료와 사망자수 자료를 이용하여 대기중 총분진이 사망자수에 미치는 영향을 1996~1997년 서울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기오염 자료에서 보이는 강한 계절성과 장기간의 경향 그리고 기온과 습도의 비선형관계를 고려하여 일반화 부가모형(generalized additive model)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대기중 총분진 100$\mu$g/㎥ 증가시 초과사망자는 3%(95% 신뢰구간 : 0.8-5.2)로 추정되었다. 사례-교차연구(case-crossover study)의 결과를 보면 한 방향(후향적, 전향적)으로의 대조기간 설정 방법은 편향된 추정치를 주었고 양방향 방법은 회귀계수의 추정치는 일반화 부가모형과 거의 같은 결과를 주었지만 표준오차는 상대적으로 큰 값을 주었다. 이상에서 볼 때 대기오염 자료의 분석과 같이 계절성이 큰 자료에서는 사례-교차 연구를 적용할 때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 평가

  • 김범준;최성우;김혜진;최혁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22-1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질 자동측정망 자료와 대구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고농도 오존일이 가장 많이 발생한 5, 6월을 대상으로 하여, 오존농도와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관계분석과 교차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구지역의 오존농도는 측정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온 및 일사량이 증가하는 하절기에 증가하고, 동절기에 감소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주었다. 분석기간 중 오존최고농도는 상관관계분석 결과 고농도 오존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대기오염물질로는 $NO_2$, NO 그리고 기상요소로는 온도, 상대습도, 일사량으로 나타났다. 교차상관관계분석 결과 NO2, NO, 온도와 상대습도는 0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며, 일사량의 경우 오존농도가 최고치를 나타낼 때보다 -2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 PDF

광식각공정이 있는 클린룸에서의 3차원 기류 및 동적교차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3-D Airflow and Dynamic Cross Contamination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Cleanroom)

  • 노광철;오명도;이승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8권5호
    • /
    • pp.560-568
    • /
    • 2004
  • We performed the nume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3-D airflow and dynamic cross contamination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cleanroom. The nonunifurmity, the deflection angle and the global cross contamination were used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cleanroom. From the numerical results, we knew that the airflow characteristics of the cleanrooms are largely affected by the porosity of panel and the adjustment of dampers and the global cross contamination varies with the location of source and the passage of time through the concentration ratio.

광식각공정 클린룸에서의 기류 및 교차오염에 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irflow and Cross Contamination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Cleanroom)

  • 노광철;이승철;오명도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156
    • /
    • 2003
  • We performed the nume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flow and cross contamination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cleanroom. The nonuniformity, the deflection angle and the global cross contamination were used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cleanroom. We knew that the airflow characteristics of the cleanrooms are largely affected by the porosity of panel and the adjustment of dampers. And the numerical result showed that the global cross contamination varies with the location of source and the passage of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