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재내용 분석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2초

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 강혜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91-9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 양성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목인 '상담기법' 교재분석을 통하여 상담기법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리상담기법과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심리상담기법 교재 5권과 진로상담기법 교재 4권의 내용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은 교재의 특성에 따라 특정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담기법 교육 시, 교재를 선택 할 때 각 교재의 특성을 알고 선택해야 하며 그 교재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교재 선택에 따라 중요한 상담기법을 배우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담전문가와 교육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문제이다. 둘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 중, 공통된 내용들은 '상담이론에 근거한 기법', '상담관계', '면접 및 상담과정 기술', '내담자 평가와 이해', '다문화주의와 다양성' 등이었다. 반면, 심리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반응기술', '윤리적 문제', '상담자 자기이해와 관리'였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진로정보', '진로의사결정과 적응', '진로계획과 실행'에 대한 내용이었다. 심리상담기법 교재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내용은 '반응기술'이었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는 '내담자 평가와 이해'였다.

  • PDF

'교직실무' 교재내용 분석 및 교재 집필 방향 (Analysis on Textbook Contents & Proposition on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 권충훈;조흥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512-521
    • /
    • 2012
  • 최근 국가의 교원자격검정령이 수정되었다. 교직실무 교과목은 교직소양 영역에서 신설되어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필수로 이수하도록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실무 교과목의 주요 교재들의 교재내용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교직실무 교재의 집필 방향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기초하여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최근 교직교과목의 변화와 일반적인 교재내용 선정 원리를 확인한다. 둘째, 교직실무 교재들의 저자 및 내용체계를 분석하여 경향을 파악한다. 셋째, 교직실무 교재 집필의 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출판 발간된 15종의 교직실무 관련 교재들을 분석하였다. 교재분석은 저자 수, 저자의 현(전)직 소속, 장 주제의 체계 등을 정리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직실무 교과목의 교재 집필의 방향으로서 국가의 관련 고시 기준의 수정 및 정비, 교육현장의 요구분석 작업 선행, 교직실무 교과목의 정체성 확보, 교육학계와 교육현장 전문가 공동 집필 등을 제안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ICT 활용 기능과 초등컴퓨터 재량활동 교재 분석 (An Analysis of Computer Discretion Activity Textbook among ICT Skill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임화경;김미경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280-282
    • /
    • 2004
  • 초등학교에서 재량활동인 컴퓨터 교재의 내용은 ICT 소양교육을 중점으로 기능 교육(한글, 파워포인트, 윈도우, 통신 등)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들은 이미 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정보화 시스템에 익숙하여 컴퓨터를 다루는 기능은 교재의 수준을 상당히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초등컴퓨터 재량활동 교재의 내용에 변화가 필요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초등컴퓨터 재량활동 교재인 '즐거운 컴퓨터'의 내용과 부산광역시 4, 5, 6학년 초등학생들의 ICT 활용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ICT 기술능력이 컴퓨터 교재의 내용을 앞서고 있음을 보이고 향후 교재내용의 변화가 있어야함을 보인다

  • PDF

정보처리 이해 영역의 초등학교 교재 연구 (Research on Data Processing Field in the elementary textbook)

  • 최미선;정인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41-146
    • /
    • 2007
  • 2005년에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 기술교육 운영지침'이 새로 발표됨으로써 교재들이 새로 개발되고 있는데, 운영지침이 발표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 개발된 교재들이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 기술교육 운영지침'에서 제시하는 내용 체계와 지도 내용을 실제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지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각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여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 기술교육 운영지침'에서 제시하는 내용 체계와 지도내용을 실제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지도하고 있는지에 대해 교재를 분석하였다.

  • PDF

진로상담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Focused on competency components for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 강혜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4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진로관련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여 진로 상담전문가 역량 개발을 위해 이러한 교재들을 활용할 때의 유용성과 제한점을 제시해보고, 향후 진로관련 교재 집필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 진로상담교재는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진로상담교재의 구성 내용 비율은 교재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분석대상은 10권의 진로상담관련 교재(6권은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 4권은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교재)였고, 국내 선행연구(유현실, 2009)에서 제시한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수정 보완하여 분석범주를 설정하였으며, 분석단위는 장(chapter)으로 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들은 모두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고, 그 다음 많은 내용은 '범주 4. 진로상담 역량'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다. 이에 비해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는 교재들은 '범주 4. 진로상담역량'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범주5. 진로검사 및 평가 역량', '범주3. 개인차 및 다양성 이해'에 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단위로 사용한 장(chapter)의 전체 개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범주4. 진로상담 역량'(33.33%)과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28.15%)의 비중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교재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내용은 개인 및 집단상담 진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법(범주2), 상담자들이 실제 기관에서 전문상담자로 일할 때 필요한 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범주8,9,10,11,13), 그리고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내용(범주12, 14)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교재를 진로상담전문가 교육에서 활용할 때, 기본적인 진로상담진행과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지식은 다루어줄 수 있으나 그 외 진로상담전문가 역량에 해당하는 요인, 특히 기관의 직원으로서의 역할에 필요한 역량(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 등)과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역량은 별도의 방법으로 보완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중국의 초·중등학생 대상 정보보호 교재 비교 고찰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Textbooks for Chines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 최은선;박남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83-192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곳곳에서 급격하게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빨라지면서 앞으로 더 많은 정보들이 디지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의 민감 정보가 온라인에서 전송되고 저장되는 과정에서 사이버 위협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인공지능의 발전과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의 초·중등학생 대상 정보보호 교재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관련 교재를 수집 후 분석에 적절한 교재를 선별하였으며, 교재의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외적 체제 분석 결과, 교재 표지는 모두 적절하게 제작되었으나, 교재 내지는 교재마다 질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생 대상 교재의 경우 레이아웃, 내용 배치의 우수성이 두드려졌다. 내적 체제 분석 결과, 중국에서 제시한 '정보사회 책임' 학습 목표를 기준으로 학습 내용을 살펴보면, 다양한 내용이 고루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정보보호 관련 교육 및 교재 개발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바란다.

쓰기이론과 쓰기지식에 기초한 한국어 쓰기교재 분석 (Analysi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Based on the Rationale and Knowledges for Writing)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24-33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쓰기교육 이론에 비추어 한국어 쓰기교재의 위치와 특징을 점검하고 그 이론에 바탕을 두고 쓰기지식 구성활동을 살펴보아 추후 교재개발에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쓰기교재 4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텍스트 질적 분석을 통해 자료수집, 개방코딩, 심층코딩, 표현과 제시 등의 절차를 통해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형식주의,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의 이론이 교재에 어떻게 적용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으며 언어 구조지식, 과정지식, 맥락지식, 내용지식의 네 차원에서 교재의 언어활동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특별히 내용지식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단원의 조직에서 나타난 이론적 배경과 내부 구성 및 내용은 일치하지 않았다. 네 가지 쓰기지식 역시 각 교재에 모두 반영되어 있었으나 강조점과 비중의 차이는 있었다. 나아가 본고는 내용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 교재를 드러내고 이러한 교재가 사회구성주의 쓰기교재로서 바람직함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쓰기교재 개발과 선택에 참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한국어 통합 교재에 나타난 발음 내용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Pronunciation Content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 박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68-27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어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발음 교육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교재에 나오는 음운 체계, 음운 규칙, 발음 기술 및 표기, 그리고 발음 연습 등의 발음 항목들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로 나온 발음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나타내보면, 음운 체계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자모의 제시 순서에 대한 표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교수 가능성 및 학습 용이성은 물론이고 교재 및 학습 목적을 고려해서 표준안을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음운 체계의 제시방법에서 의사소통 관점과 한국어 억양의 기능을 고려했을 때 억양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기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음운 규칙에서도 음운 체계와 마찬가지로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왔는데 제시 순서를 정해야 하며 어떤 음운 규칙을 교재에 제시할 것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음운 규칙을 설명할 때 용어 사용은 가능한 한 하지 않고 필수적이고 공통적인 내용을 기술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음내용의 기타 사항에서는 발음을 위한 예를 단어로 제시하는 점과 다양한 연습문제가 없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문장이나 대화문으로 제시하고 발음 연습을 위해 다양한 연습과 다른 언어 기능과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문헌정보학 교재개발방법 제안 및 실제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LIS Textbooks)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1-1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주요 교과목에 대한 교재개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재개발 절차를 매우 자세하게 제시함으로써 다른 교과목의 개발 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재개발절차는 1) 주요 교과목의 주교재 조사 분석, 2) 직무분석결과로부터 교과내용 도출, 3) 자문위원 평가 및 의견반영, 4) 최종 교재목차를 장, 절, 항 수준까지 제안 등이다. 연구결과로 제안된 교재목차는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조직론, 정보검색론, 도서관실습 교과목에 대한 것이다. 모든 과목에 대해 장, 절까지 제안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에는 해당 장, 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재 및 교구 실태 분석 (A analysis ICT materials standard for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ICT curricurum)

  • 도용문;김홍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29-538
    • /
    • 2004
  • 1997년부터 시작된 1단계 교육정보화 종합계획에서부터 1999년 '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 이르기까지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을 위한 물적 인프라 구축에 힘써왔다. 이렇게 정보통신기술교육을 위한 물적 인프라 구축이 완료되어 있다고 하는 시기에 중요하게 점검해보아야 하는 것이 바로 교육정보화의 내용, 즉 정보통신기술교육과정이다. 본 연구자는 국가표준의 학생ICT활용능력기준(ISSS)을 분석의 틀로 설정하여 현재 강원도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과정을 위한 인정도서의 내용이 ISSS에서 제안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본 후, ISSS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세화된 교육과정을 충실히 운영해 나가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교재 및 교구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단위 학교에서 이러한 교재 및 교구 기준 안이 필요한지와 구비되어 있는 수줄과 수요를 설문지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이후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을 위한 교재 및 교구 기준을 마련하는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