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is on Pronunciation Content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한국어 통합 교재에 나타난 발음 내용의 비교 분석

  • Received : 2018.01.31
  • Accepted : 2018.02.27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honetic items such as the phonemic system, phonological rules, and pronunciation descriptions and notations incorporated in the textbooks. Based on our analysis results, we point out the problems related to pronunciation education,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First, the presentation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phonological systems sections of each textbook was different. We recommend that a standard for consonant and vowel presentation order should be prepared, but that this standard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pecific purpose of the textbook; the learning strategies and goal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similar to phonemic systems, the presentation order of phonological rules was different for each textbook. To create a standard order for phonological rules, we have to standardize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rules and determine which rules should be presented. Furthermore, when describing phonological rules, the content should be described in common and essential terms as much as possible without the use of jargon. Third, in other matters of pronunciation, there were problems such as examples for pronunciation and lack of exercises. Regarding this, we propose to provide sentences or dialogues as examples for pronunciation, and to link these to various activities and other language functions for pronunciation practice.

본 연구는 한국어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발음 교육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교재에 나오는 음운 체계, 음운 규칙, 발음 기술 및 표기, 그리고 발음 연습 등의 발음 항목들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로 나온 발음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나타내보면, 음운 체계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자모의 제시 순서에 대한 표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교수 가능성 및 학습 용이성은 물론이고 교재 및 학습 목적을 고려해서 표준안을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음운 체계의 제시방법에서 의사소통 관점과 한국어 억양의 기능을 고려했을 때 억양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기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음운 규칙에서도 음운 체계와 마찬가지로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왔는데 제시 순서를 정해야 하며 어떤 음운 규칙을 교재에 제시할 것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음운 규칙을 설명할 때 용어 사용은 가능한 한 하지 않고 필수적이고 공통적인 내용을 기술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음내용의 기타 사항에서는 발음을 위한 예를 단어로 제시하는 점과 다양한 연습문제가 없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문장이나 대화문으로 제시하고 발음 연습을 위해 다양한 연습과 다른 언어 기능과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송화, 정희정, 심혜령, 원미진, 김현정, 황용주, 구지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4단계), 국립 국어원 연구보고서, 2015.
  2. 양명희, 이선웅, 고홍희, 이성도, 이지용, 김지연, 박미은, 이나래, 한국어 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4단계), 국립국어원 연구보고서, 2015.
  3. 김상수, 송향근,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학, 제33집, pp.155-183, 2006.
  4. 정명숙,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이중언어학, 제47집, pp.423-451, 2011.
  5. 최정순, "한국어 발음 교육의 현황과 과제," 언어와 문화, 제8권, 제2호, pp.295-324, 2012.
  6. 김은애, 박기영, 박혜진, 진문이, "한국어 억양 교육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한국어교육, 제19권, 제2호, pp.1-31, 2008.
  7. 박정은, 이주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재의 분석과 개선 방향 연구," 국어국문학, 제150집, pp.565-602, 2008.
  8. 김현아, "한국어 발음 교재 개선 방향 연구: 영어․프랑스어 발음 교재와의 비교를 통해," 새국어교육, 제104집, pp.295-325, 2015.
  9. 김영선, "한국어 교육 발음 교재의 구성 방식과 내용," 우리말연구, 제18집, pp.237-260, 2006.
  10. 박기영, "국어 음운론 지식과 한국어 발음 교육의 상관성에 대하여: 모음, 자음의 기술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133집, pp.467-489, 2007.
  11. 백소영, "한국어 통합 교재를 통한 발음 교육 고찰," 시학과 언어학, 제18집, pp.119-138, 2010.
  12. 허유라, 박덕유,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발음 교육 방안 연구: 음운 변동 규칙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제90집, pp.363-388, 2012.
  13. 윤정기, "효율적인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어문연구, 제69집, pp.37-59, 2011.
  14. 오광근, "기초 단계의 한국어 자모 교육: 통합 교재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제53집, pp.181-208, 2008.
  15. 양명희,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글 자모와 발음 교육 방법에 대하여," 어문논집, 제41집, pp.5-27, 2009.
  16. 유현정, "한국어 교재의 발음교육 방안 연구: 발음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제32집, pp.489-511, 2013.
  17. 고려대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1-3, 교보문고, 2010.
  18. 서울대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1A-3B, (주) 투판즈, 2013-2015.
  19. 이화여대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1-1-1-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2012.
  20. http://www.korean.go.kr/
  21. 박은하,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피동과 간접인용의 의미 기술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제107집, pp.433-489,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