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역량

검색결과 2,875건 처리시간 0.027초

소상공인 역량강화교육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ll business owner's professional educ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 성규선;최양애
    • 벤처혁신연구
    • /
    • 제1권1호
    • /
    • pp.99-112
    • /
    • 2018
  • 우리 경제에 소상공인 차지하는 비중이 큰 반면 창업이후 5년 이내 생존율이 30%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소상공인의 역량강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의 역량강화교육이 경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소상공인의 역량중 관리역량은 재무적, 비재무적 경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기술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역량강화교육은 소상공인의 역량과 경영 성과간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상공인의 역량과 비재무적 경영성과, 소상공인의 역량과 재무적 경영성과간의 역량강화교육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힌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학문적 시사점 이외도 역량강화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입증함에 따라 향후 정부가 소상공인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재원 마련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미가 있었다.

음악치료에서의 개인적 역량: 교육과 임상적 훈련에 대한 도전 (Intrapersonal Competency in Music Therapy: Challenges for Education and Clinical Training)

  • 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106-114
    • /
    • 2007
  • 음악치료사의 자질과 능력 증진은 많은 연구자들과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온 분야이며 이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임상 전략들이 규명되고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음악치료의 정의를 중심으로 음악치료사의 기본 자질을 규명하고 학술단체와 기관에서 정의하는 음악치료가 강조하는 다른 항목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공통적으로 음악치료사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들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는 세 가지 역량을 갖추어야 하고 기존의 교육과정은 이러한 역량들을 강화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에는 학문적 역량, 실기역량, 그리고 개인적 역량이 포함된다. 여기서 개인적인 역량은 음악치료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하는 새로운 역량 분야로 규명되었다. 이는 음악치료가 지식기반 내용만을 다루는 학문이 아님으로 치료를 위한 음악중심의 개입을 제공할 수 있는 내적 성찰과 치료사적 통찰력이 기반이 된 역량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음악치료가 정의하는 학문과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 음악치료사는 이 세 가지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교과내용들이 기존의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 PDF

북미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at the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Data Literacy Competencies)

  • 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북미에서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121개 대학도서관 중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51개 기관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12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기반을 두어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내용 분석을 위해 집합 교육 프로그램의 제목 317개와 온라인 튜토리얼의 상위 목차 제목 42개를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12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따라 코딩을 수행하였다. 집합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는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수의 기관에서 데이터 관리 및 조직 역량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었다. 데이터 시각화 및 표현은 집합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세 번째로 많이 다루어지는 역량이었다. 그러나 나머지 9개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 프로그램 내용이 특정 역량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집합 교육 없이 자체 개발한 온라인 튜토리얼을 제공하는 기관은 5곳이었으며 목차 제목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 보존, 윤리 및 데이터 인용, 데이터 관리 및 조직 역량에 대한 교육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 집합 교육 프로그램에서 강조되는 역량과 차이를 보였다. 효과적인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전통적으로 교육하고 강조해왔던 역량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와 분석, 데이터 시각화와 표현 등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 도출에 필요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대한 이해와 지원이 요청된다. 또한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사서들의 계속 교육을 지원하는 교육 자원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 교과서 활동과제의 민주시민역량 분석 (Analysis of the democratic civic competencies of activity tasks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한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9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활동과제에 나타난 민주시민역량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 6종(총 12권)의 활동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가지 민주시민역량군 중에서는 '시민성 역량군'의 내용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민주시민역량은 '신뢰와 가치(F)' 역량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교육과정 영역별로는 '인간 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핵심 역량별로는 '관계'에서, 내용 요소별로는 '가족의 의사 소통과 갈등 관리'에서 민주시민역량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출판사별로는 'KH' 교과서의 민주시민역량 활동과제 빈도가 가장 높았다. 가정과교육과 민주시민역량 사이의 관련성으로 볼 때, 앞으로 가정교과를 통해 학생들이 가정의 삶에서 민주시민역량을 키울 수 있는 수업 실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역량기반 사서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지표 및 콘텐츠개발 - NCS적용 타당성 분석 및 보완방안 연구 -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 이종창;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07-2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서직 역량기준을 조사하는 한편, NCS 및 사서직 역량요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사서직 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한 핵심역량에 대비하여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체계(NCS-CPD)"는 각종 도서관에 근무하는 현장사서에게 필요한 전문 및 기초 핵심역량을 체계화하고 있다. 이 체계는 향후 사서직 계속교육 연구 및 현장에서의 균형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비 유아 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 요인 구성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Factors in Teaching Compet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이은철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183-203
    • /
    • 2022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 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인공지능 교육 활용 역량 요인을 구성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를 탐색해서 7편의 역량 요인 및 모형과 관련된 연구를 선정하였다. 7편의 선행연구를 분석해서 인공지능의 이해를 포함하여 18개의 역량 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역량 요소는 코딩을 통해서 교과 지식 이해, 수업 준비, 수업 운영, 수업결과 피드백, 수업지도, 자기 계발로 구분되는 6개 영역이 구성되었고, 1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코딩을 통해 구성된 초안은 유아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통해서 개선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개선된 요인은 교육과정 편성을 위해 지식, 기능, 태도로 구분하여 구조화하였고, 구조화된 역량 요인은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델파이 검증 결과 1차 설문에서 모든 요소들이 수렴되었다. 이를 통해서 역량 영역 6개, 역량 요인 11개, 역량 요소는 지식이 19개, 기능이 10개, 태도가 5개로 구성되었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역량 요인은 예비 유아 교사들의 인공지능 교육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에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시사점이다.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Competency Tool of University Teachers)

  • 강경희;박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88-9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책무를 지닌 교원들의 교수역량도구를 개발하고 변화 필요도를 분석한 것이다. 대학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교원의 책무 수행과 대학내외 공동체 활동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수역량을 도출하였고, 24명의 교수학습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토받아 교수역량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K대학의 교원 83명을 대상으로 진단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기초역량, 교육실천역량, 공동체역량을 도출하였다. 기초역량에는 '대학교육의 이해', '교육철학과 자세', '교수자 태도', 교육실천역량에는 '분석설계', '수업실행', '지도관리', '평가환류', 공동체역량에는 '창조적 학문융합', '공감학습문화', '글로벌 공유'로 분류하였다. K대학 교원들의 교수역량을 진단한 후, 대응표본 t-검정과 Borich 계수 분석을 통한 변화필요도를 살펴본 결과 기초역량에서는 대학교육의 이해(4순위), 교육실천역량에서는 분석설계(5순위), 수업실행(2순위), 공동체역량에서는 공감학습문화(1순위), 글로벌 공유(3순위)로 나타났다. 대학 교원의 역량은 잘 가르치기 위한 교육실천의 역량뿐 아니라 대학교육에 대한 이해와 대학내외 공동체 구성원과의 공감과 공유의 역량이 필요하다. 대학에서는 앞으로 교수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 제공해야 할 것이다.

원격교육 연수를 통한 역량강화 방안을 위한 초등교원의 역량모델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tance Education for Empowerment of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 남영수;이재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82-87
    • /
    • 2007
  • 원격교육연수를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궁극의 목적은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원격교육연수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량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적절히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특히, 문헌연구를 통하여 초등교원의 역량에 대한 정의를 먼저 도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초등교원이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역량을 선정함으로써, 초등교원의 역량 모델을 유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교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궁극적인 방향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학생의 창의역량 함양을 위한 SW교과목 운영 효과 검증 (Development of Software Course Model and Verification of its Effects to Foster Creativ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 오미자;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5-26
    • /
    • 2018
  • 최근 초 중등의 SW교육 필수화, SW중심대학 사업 등 SW교육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함께 역량 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교육을 통해 창의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주 분량의 창의역량 초점을 둔 SW교육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설계된 수업으로 15주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1주차에는 사전검사를, 15주차에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의역량 평균값이 사후 검사 때 0.31점 높게 나타났으며 p값도 0.002점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창의역량의 4가지 세부 요인(융통성, 독창성, 개방성, 창의적 실행능력)의 p값도 0.05보다 낮게 나타나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SW교육에서 단순 프로그래밍 교육뿐만 아니라 수업 방법 변화를 통해서도 창의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학 역량 모델의 제안과 과학 교육과정에의 적용 (Suggesting a Model of Science Competency and Applying it to Science Curriculum)

  • 박종원;윤혜경;권성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07-220
    • /
    • 2019
  •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과학과의 핵심역량이 제시되었으나 역량 개념에 명확하지 않아 일선 학교에서는 많은 혼란과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 역량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은 무엇이고 역량의 구성 요소들이 전체적으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역량에 대한 정의와 역량의 구성 요소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6개 요소(인지 외적 특성, 지식, 기능, 상황, 수행, 수준)로 이루어진 과학 역량 모델(A Model of Science Competency: MSC)를 제안하였고 이러한 과학 역량 모델을 활용하여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역량 중심의 학습 목표로 기술하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과학 역량 모델의 장단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