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WEF(World Economic Forum,2016). Retrieved from https://www.weforum.org/reports/the-global-competitiveness-report-2016-2017-1
-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 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 유현숙, 임후남, 최정윤, 여승수, 서영인, 신현석, 고장완(2010).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 교육부 사이트, www.moe.go.kr/
- 이정민, 박현경, 최형신(2018). 로봇 할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석, 학업흥미,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1), 9-21.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1.9
- 박경재, 이수정(2010). 두리틀과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정보교육학회. 14(4), 619-626.
- 유인환, 김태환(2006). MINDSTORMS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 9(1), 1-11.
-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 Parry, S. B.(1996). The quest for competencies: Competency studies can help you make HR decision. but the results are only as good as the study. Training, 33, 48-56.
- 윤필현(2008).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 (CBHRM)체제의 실무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김보리(2017). 역량기반 SW교육 모델 설계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OECD.
- Griffin, P. (2011). Th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roject. Education World Forum, 10-12 January 2011, London.
- 최상덕 외(2011).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 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계보경, 김현진, 서희전, 정종원, 이은환(2011).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Amabile, T. M.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1), 123-167.
- Tierney, P., Farmer, S. M., & Graen, G. B.(1999). "An Examination of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Relevance of Traits and Relationships". Personnel Psychology, 52(3), 591-620.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9.tb00173.x
- 이현숙, 박세진, 이창묵, 김혜림, 안영은 (2015). KU 핵심역량 진단도구 문항 개발. 서울: 건국대학교.
- Boden, M. A. (1991). The Creative Mind: Myths and Mechanisms. New York, NY, US: Basic Books.
- Griffin, P. (2011). Th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roject. Education World Forum, 10-12 January 2011, London.
- 송윤숙, 이경화(2012).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2), 73-88.
- Urban, K. K., & Jellen, H. G. (1996). Test for Creative Thinking-Drawing Production(TCP-DP). Lisse:Swets and Zeitlinger.
- Shallcross, D. J. (1981). Teaching creative behaviour: how to teach creativity to children of all ag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박지현(2004). 80년대 표준설계 초등학교의 환경 친화적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 양혜진(2017).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대학 강의실 모델 개발:교육환경 분석 및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박사논문, 성균관대학교.
- 김미숙, 최상덕, 차성현, 조선미, 하유미 (2012).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이경화, 유경훈(2012). 초.중등 학생용 집단통합 창의성 검사개발 및 표준화. 교육심리연구. 26(1), 1-15.
- 서미옥(2009). 창의성 강좌가 교육대학원생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17(3), 1-25.
- 이경화, 유경훈(2010). 창의성과 문제해결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9(3), 5-20.
- 김명숙, 고장완(2014).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지각된 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영재와 영재교육. 13(1), 83-106.
- 박선형, 이경화(2014). 대학생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비교를 통한 대학 창의성교육 강화 방안. 영재와 영재교육. 13(3), 59-83.
- Wing, J. M. (2011). Computational Thinking. CSTA Workshop. 4 March
- CSTA&ISTE(2011).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K-12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iste.org/docs/ct-documents/computational-thinking-operational-definition-flyer.pdf
- 김종혜 외(2008). 정보 교과 교육과정의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 목표 및 내용 세목화.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1), 33-46.
- 윤선희, 김영식(2011). 정보과학 창의성의 구성 요소 탐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1), 45-54.
- 지은림, 주언희 (2012).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교육평가연구. 25(1), 69-94.
- Martin, M. M., & Robin, R. B. (1994).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flexibility scale.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59, 171-178. https://doi.org/10.1080/10417949409372934
- 홍숙지 (2005). 개인 유연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하주현(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