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대상

Search Result 16,29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as an Education Policy of Korean Governments (융합인재교육의 정책적 목표를 중심으로 한 STEAM 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Kang, Jiyeon;Jin, Suk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2
    • /
    • pp.205-213
    • /
    • 2019
  • Since 2011, when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STEAM education in schools, many STEAM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many researches on STEAM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This meta-analysis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STEAM education by calculating effect sizes using statistics from 177 studies that reported their efforts in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STEAM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the total mean effect size of STEAM education is above medium level(effect size=.69). 2)Mean effect sizes of all four effect factors are above medium level, .58-.74. Mean effect sizes are .65 for STEAM interests, .74 for STEAM capacity, .63 for STEAM academic achievement, and .58 for STEAM careers. 3)The mean effect size of STEAM education in middle school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school levels. This result suggests that STEAM education is more effective in middle schools.

A Reactivation Methods of Robot Using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중등학교에서 로봇이용교육 활성화 방안)

  • Ma, SookHee;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507-510
    • /
    • 2009
  • 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로봇에 대한 내용이 교과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기관의 영재 교육 기관에서도 로봇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로봇 이용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도 향상과 창의력 향상에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학교에서 방과 후 교육에서 로봇교육을 일부 많이 실시하고 있지만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이용 교육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는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가 남학생에 비해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위한 기초 연구로 중등학생의 로봇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한다. 특히 여학생들의 로봇 이용 교육에 대한 실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nalysis of Factors for Adult Female Learners' Dropout in e-Learning (성인여성 대상 전자교육에서의 학습자 중도탈락 요인 분석)

  • Park, Soon-Shin;Kim, S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49-153
    • /
    • 2011
  • 이 연구는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를 중도탈락에 이르게 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수료율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9가지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력은 얼마인지 알아보기 위해 16개의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K 기관의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결혼 여부, 내적 동기,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학습가능 시간 등 5가지로, 내적 동기, 학습가능 시간, 결혼 여부,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순으로 중도탈락에 대한 영향을 미쳤다. 즉, 학습진행 시 내적 동기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 시간의 부담이 적을수록, 미혼이며, 교육기관의 지원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 가사와 육아에 부담이 적을수록 수료를 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의 수료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자교육 과정 운영 시 결혼 여부, 내적 동기,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학습가능 시간의 요인을 고려해야하며, 그 중 결혼 여부, 가사와 육아부담 등의 여성학습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중도탈락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내적 동기 향상을 위해 과정설계 시 여성학습자 위주의 맞춤형 교수설계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성인여성 대상 전자교육에서의 학습자 중도탈락 요인들의 인과관계 및 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을 줄일 수 있는 실증적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도탈락률을 줄이는 것은 물론,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서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도울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Suggestion of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Elements Based on Pipe Game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Data De-Identification (데이터 비식별화 원리의 이해를 위한 파이프 게임 기반 초등 정보보호 교육 요소 제언)

  • Kim, Jinsu;Kim, Sangchoon;Park, Namj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1 no.5
    • /
    • pp.1063-1070
    • /
    • 2021
  •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raining IT professionals, and the need for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 well as adult education for training technical talent is expanding. In particular, information curriculum will be added as an essential course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T technology will be understood in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will be required to develop applicability to solve problems based on understanding. Currently, research is under way to integrate IT technologies to provide new services, and if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e process, thorough security for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s pre-empted. It also prevents the 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data to the outside world.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ining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subjects to understand the non-identification proces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data using pipe game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non-identification and develop applications to solve real-life problems.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Subjects and Verification of Teaching Efficacy Effectivenes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 Kim, Jeong-R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3
    • /
    • pp.217-223
    • /
    • 2022
  • In this paper, the needs and environment of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were analyz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based on this, teaching efficacy of informatics education was verified. For the research,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ho take the subject were select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re-knowledge level, and needs of the subject, curriculum for 15 weeks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teaching efficacy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I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subject for 15 weeks, the effectiveness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teaching efficacy was verified. Among the facto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teaching values and information teaching strateg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to secure teachers' professionalism, such as linking with schools and convergence with other subject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reference literatu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need to be prepared.

A Study 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p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Jeon, Hae-In;Jeong, Hyo-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268-275
    • /
    • 2021
  • In special educati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s a role given to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many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and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pecial and integrated teach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and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fter all the interviews have been prepared in full-length versions, the analysis has resulted in six major subjects and twelve subtopics; each teacher has different curriculum operations,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curriculum, insufficient support systems,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daily concerns of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In the discussi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for students and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curriculum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presented and proposed.

Problems and Improving Measures for Computer Curriculum for the Application of Independent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독립교과 적용을 위한 현 컴퓨터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고찰)

  • Lee, Mi-Sook;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41-50
    • /
    • 2005
  • 우리나라에서 컴퓨터 교과는 아직 교육내용 뿐만 아니라 교과로써의 체계마저도 불분명하다. 지금까지 학교 컴퓨터 교육은 정보통신기술교육이라는 이론으로 양적 팽창에만 치중해 왔으며 초등학교에서는 재량 활동으로 컴퓨터 교육을 의무화 하고 있지만 그 학습 내용은 교사의 재량에 의해 편중되는 경향을 보여 국민공동기본교육의 목적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컴퓨터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하고자 초등학교에서 컴퓨터를 독립교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하기 위한 사전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컴퓨터 교육을 정보통신기술교육의 교육과정, 컴퓨터 재량활동, 실과의 컴퓨터 관련단원으로 분석 대상을 나누어 문제점 알아보고, 교사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를 동해 이를 검증하였으며, 외국의 컴퓨터 교육과정의 운영과 비교하고 교사와 아동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현실성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국방전직교육프로그램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국방전직교육원 창업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Park, Jeong-Hyeon;Kim, Jong-S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63-6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역 예정자를 위한 국방전직교육원의 창업교육프로그램에 관한 현황을 진단해보고,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현재 국방전직교육원의 창업교육은 5년이상 중 장기복무 전역예정자 300명을 대상으로 기본교육 연간 6회(4박 5일)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전직교육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조직, 간부 맞춤형 창업교육프로그램설계가 시급히 요구된다. 둘째, 현재와 같은 일회성 교육을 지양하고 현역 복무기간 중에 정례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각급 사단급 이상 제대의 공병 통신 전산 정비 등 특화된 기술병과의 경우 맞춤형 기술창업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국방부 차원의 군인 가족들 대상으로 기업가정신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 PDF

Exploring the Research Trend Changes on Convergence Education of Before and After 2011 in Science Education (2011년 전후의 과학교육분야에서의 융합교육 연구동향의 변화 탐색)

  • Song, Youngwook;Paik, Seoung-Hey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0 no.5
    • /
    • pp.531-54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 changes of convergence education since 2011 compared to the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 that has been steadily continuing in science education. The trend in convergenc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search subjects, research content, and topic linkages with previous studies, and using the network analysis method to check recent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the number of paper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has been published more than 8.0% steadily, and it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2, then decreasing again from 2015 and gradually increasing again from 2017. The subjects of study were high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le those in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were low. While the number of in-service teachers increased, the number of pre-service teachers decreased, and the literature and public increased somewhat. In study content, effectiveness studies decreased, while development studies increased, and theoretical and perception studies appeared similar. In thematic linkage, the intra-science linkage was 23.9%, and the extra-science linkage was 76.1% and engineering/technology and art were high in extra-science linkage. In network analysis, elementary, science, STEAM, and program words have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nd appear together with other words to lead the network.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trend of convergence education will be more emphasized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in order to take root in the education field, research on secondary students should be more actively studi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ove away from research on STEAM-centered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and to increase research to establish the philosophical basis and theoretical of convergence education.

산업간호교육에 관한 실태조사 - 기본 간호교육을 중심으로 -

  • Kim, Hwa-Jung;Jeon, Gyeong-Ja;Go, Bong-Ry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1
    • /
    • pp.5-16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간호사의 역할 확대에 따른 교육과정의 개선 및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기본간호교육과정에서의 산업 간호교육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기본간호교육과정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둘째, 지역사회간호학의 학습내용을 파악하였고, 세째, 산업 간호교육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1991년 2월 18일 부터 2월 25일까지 기존 문헌을 토대로 기본 간호교육과정의 일반적 특성과 지역사회간호학의 학습내용을 파악하였고, 산업 간호교육 실태에 대해서는 2월 26일부터 3월 15일까지 전국에 있는 간호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작성된 조사표에 의해 전화 또는 서신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대상 산업간호교육 실태조사의 대상은 조사에 응답한 간호교육기관 41개교로서 '90년 현재 전국 간호교육기관의 66.1%를 차지하는 것이다. 교육과정별로는 간호대학 14개교 전문대학 27개교였고, 지역별 분포에 있어서는 대학과정 중 6개교(42.9%)가 서울에 있으며 전문대학의 경우 전남 6개교(22.2%), 경북 5개교(18.5%)의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교육과정의 특성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과목 분포 및 주전공 교과목의 내용을 파악하였다. 대학과정의 경우 평균 141.3학점, 전문대학의 경우 평균 120학점이 필수 이수 학점인 것으로 나타났고, 두 경우 모두 전공교육에 관한 학점이 총 이수학점 중 대학 55.5%, 전문대 57.2%를 차지하였다. 주전공 교과목 중에서는 성인간호학 및 실습, 기초간호과학 및 실험, 모아간호 및 실습, 지역사회간호학 및 실습, 정신간호 및 실습의 배당 학점이 특히 많았다. 3) 지역사회간호학의 학습내용 산업간호 교육의 기본 개념틀올 제시하고 있는 지역사회간호학은 체계이론과 Stevens의 간호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는데 이 모형에 따르면 산업간호는 지역사회간호 문제의 하나로 다뤄지고 있다. 4) 산업간호 교육 실태 조사 대상 학교 모두 산업간호에 관한 내용을 강의에서 다루고 있었으며, 6개 학교에서는 실습도 병행된 바 있다. 강의는 주로 전문대의 경우 3학년(22개교), 2학년(5개교)에서, 대학의 경우 모두 4학년에서 이루어졌다. 산업간호 강의의 편성형태는 36개교(87.8%)가 지역사회간호의 일부로 다루고 있었으며, 강의시간수는 5~9시간이 19개교(47.5%)로 가장 많았다. 강의시간에 주로 사용되는 교재로는 교수가 직접 작성한 참고자료나 보건학강좌, 산업보건학 등이 사용되었다. 강의내용 또한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전문대학의 경우가 더욱 다양했으며, 전반적으로는 산업간호사업, 산업간호개념, 직업병관리가 가장 많았다. 한편 실습운영에 있어서는 산업체의 비협조 또는 거리상의 문제 등이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었다. 실습대상인 업체로는 종이제조업, 제철업, 신발제조업, 전자업체, 봉제업체, 관공서, 유리제조업체가 있었고, 주로 1주일간 실습지침서를 이용한 현지 교수 중심의 지도와 1,2회의 conference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1일 견학하는 정도로 운영하는 학교와 선택 학점으로서 3주동안 실습을 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첫째, 전반적인 전공교육과 특히 지역사회간호학을 통해서 산업간호사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일반적인 능력이 길러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산업간호사의 업무 중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산업간호라는 교과를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에 사용될 수 있는 교과서의 개발, 실습현장의 마련, 시간 및 학점의 증가 등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