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성찰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31초

비대면 원격수업 형태 중 실시간 쌍방향 수업 자료 개발 사례 연구: 고등학교 기하 과목 공간도형 단원의 평면의 결정 요건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l-Time Interactive Class Data among Non-face-to-Face Remote Class Types)

  • 이동근;안상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173-191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선행 연구에서 '팬데믹(pandemic)시기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원격수업 형식 중 '실시간 쌍방향 형' 수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하게 적다는 점'을 지적한 것에 주목하여, 고등학교 수학 교과 기하 과목의 '평면의 결정 요건'을 중심으로 '실시간 쌍방향 형' 비대면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보고한 연구이다. 개발에 참여한 교사는 고등학교 교직 경력 28년차의 서울 소재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수학 교사(수석교사) 1인이며, 2020년에 수학 교과의 기하 과목을 담당한 교사이다. 개발 교사는 실시간 쌍방향 형 비대면 수업을 개발하기로 한 이후, 수업 내용의 선정과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정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만남 및 수업 안내', '동기 부여', '과제 제시', '개별 탐구 활동 및 교사 피드백', '성찰 및 평가'의 네 단계로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여 자료를 개발하였다. 특히 '동기 부여' 과정에서는 개발 교사가 화이트보드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그램인 Videoscribe를 이용해서 5분 정도의 영상 자료를 제작하여 제시하였으며, '과제제시'에서 과제 8번의 경우에는 학생들의 수업 종료 이후 자유로운 소감을 기록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는데, 이는 학생 스스로의 평가 장치임과 동시에 학생의 교사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 교사가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 일련의 과정을 소개한 사례 연구로서, 수업에 바로 적용 가능한 수업 자료 제시와 더불어서 이후 수업 자료 개발에 대한 샘플 제시 역할에 목표를 두고 진행한 연구 결과물이다. 개발한 자료는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의견 수렴 및 수학교사 3인에게 의뢰한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자료로서의 적합성 검증을 거쳤다.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성찰적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for Reflective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y)

  • 이경숙;유태명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365-38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rehend what the power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to make home economics teachers participate is and how PLC activity contributes to reflective practice and change of participating home economics teachers by experiencing reflective practices. For this, self-reflective action research of Kemmis and McTaggart was conducted. Six home economics teachers participated voluntarily and totally 18 PLC sessions from May 31, 2013 to May 19, 2014 were held. Two themes of 'looking in classes' as a main practice theme and 'designing classes together' as a supporting theme were carried.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participants of PLC to get data and information on teaching and to solve problems with fellow teachers for better classes at first. However, they have become to comfort and sympathize each other about difficulties in school as home economics teachers. Second, through the PLC activity, they found they had uncomfortable belief about teaching and tried to practice solutions by critical and reflective thinking. Third, they put efforts in finding alternative framework of looking inside their classes for the fundamental improvement in teaching. For this, they formulated questionnaire to describe their own reflective practice through the alternative framework from a critical perspective in teaching, a view of student's learning, and a teacher's inner view for improvement of practice. Fourth, PLC activity for a year allowed them to combine theory and reality though reflective process by designing classes together and reflectively practicing them in classes.

일대다 튜토링 수학 협동학습이 고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e-to-Many Tutoring Mathematics Cooperative Learning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High School Students)

  • 유기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61-177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일대다(一對多) 튜토링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점수 차이와 집단별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비모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조사 2회와 개별 면담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세 집단의 사전·사후 수학 점수 차이 검증 결과는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생교사는 일반학생을 가르치는 동안 자신을 성찰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일반학생은 학생교사에게 도움을 받음으로써 수업에 대한 재미와 관심을 더 두게 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수학 교과 역량 측면은 의사소통, 문제해결, 추론, 태도 및 실천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야외교육의 전문성 이해와 교육적 지향 (Understanding and expertise in outdoor education and education-oriented)

  • 이주욱;윤대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607-615
    • /
    • 2014
  • 야외교육은 학습자에게 기대하는 내적 성장부터 생태와 환경까지 다양한 체험을 강조한다. 더불어 야외교육의 공동체성, 생태적 관점 등의 중요성은 시대적 요구이기도 하다. 이러한 야외교육은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도 반영되어 문서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야외교육에 대한 교육목표가 뚜렷하지 않고, 철학적 고민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외교육에 대한 교육목표를 명확히 하고, 전문성에 대한 담론을 분석해서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야외교육의 전문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교사' 전문성, '체육 교사'의 전문성을 분석했다. 야외교육의 지향점으로는 첫째, 총체적 체험과 문제해결능력, 둘째, 반성적 실천가로의 지향으로 구분했다. 이는 야외교육은 효율적 지도방법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도자 자신의 삶과 행위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찰하고 실천하는 전문인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으로는 첫째, 야외교육 체험에서 안전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한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야외교육을 가르칠 수 있는 전문인 양성을 위한 교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야외교육을 학교교육으로 한정하지 않고, 비제도권 교육에 포함시켜야 함을 제시했다.

온라인 수학 수업 분석 및 자기 평가를 통한 수업 개선 사례 연구: TRU 분석에서 공정한 접근, 자율성 및 주도성, 평가 영역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for class improvement through online math class analysis and self-evaluation: Focusing on fair access, autonomy, initiative, and evaluation areas in the TRU analysis)

  • 박만구;김지영;김민회;윤종천;이정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83-108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자신의 온라인 수학 수업을 성찰하여 수업을 개선하는 사례를 연구하였다. 수업 분석은 Schoenfeld (2016)의 TRU 분석틀에 의한 공정한 접근·자율성 및 주도성·평가 영역을 기반으로 한 분석틀을 재구성하여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 평가 및 관찰자 평가 모두 영역별 점수가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온라인 수학 수업 분석 및 자기 평가를 통하여 단기간의 수업 개선을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 참여를 보장하고 주도성을 회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전문가를 포함한 교사 공동체의 도움을 받아야 하며, 장기간의 사례 연구가 후속 연구로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인종주의 극복을 위한 종교교육 생태의 창조적 변화에 관한 연구 (Creating Change in the Ecology of Religious Education for Overcoming Racism)

  • 손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109-129
    • /
    • 2020
  • 이 연구는 동북아 국가의 지역적 쟁점을 성찰한다. 특히, 북한의 핵 문제에 대한 미국의 대외정책의 기조에서 연구가 시작되는 동기를 탐구한다. 연구자는 주된 연구방법으로 탐구에 기초한 실천신학의 방법론을 사용한다. 이 분석은 정치적 쟁점과 종교교육의 복합적인 관계를 연결하는 접근을 선호한다. 여기서 복합적인 관계란 정치학의 사회과학적 전제와 종교교육의 규범적 가치를 학제 간 대화의 방법으로 접근하는 관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교교육의 생태는 백인 우월성에 관한 인류학적이며 인종적인 차별의 위협을 무력화하는 교육적 목적을 지향한다. 특히 연구자는 학습자와 교사의 공유적 페다고지를 지지하며, 하나님의 민주적 임재라는 관점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서 억압의 환경에 도전하는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연구의 목적을 실행한다.

인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n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

  • 윤옥한;이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93-203
    • /
    • 2017
  •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중학교 인성교육에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중학교 교사 161명에게 인성교육 접근방식, 인성교육 문제점, 인성교육에 대한 전반적 견해, 인성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인성교육 교수 학습 방법, 인성교육 적절한 기간에 대한 인식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성교육 방법은 생활지도와 각 교과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지기를 희망하였다. 둘째, 인성교육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점은 상급학교 진학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셋째, 인성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견해는 최근 학생들의 인성에 점점 문제가 많아지고 있어 학교와 가정이 연계한 인성교육이 중요하다. 넷째, 인성 교육프로그램에서 가르쳐야 할 인성구성요소는 배려, 예절, 자기조절, 책임감 등이다. 다섯째, 인성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반성(성찰), 상호배우기, 체험식 활동, 학생중심 등 순으로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여섯째, 인성교육 프로그램 시행의 적절한 기간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공감하면서 학교생활 3년 내내 이루어져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시사점으로는 1회성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것 보다 생활지도와 교과교육 내에서 인성교육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고려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시행하면서 직면하는 초등 교사의 어려움 탐색 -구조와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Challenges with the Perspective of Structure and Agency When Implementing Social Action-Oriented SSI Education Classes)

  • 임성은;김종욱;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5-131
    • /
    • 2021
  •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 위기 상황이 고조되고 있는 오늘날 사회적 행동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사회적 실천지향 SSI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을 바탕으로,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교사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6차시 동안 진행된 수업에 대한 질적 단일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 교사 성찰일지, 수업 동영상, 학생 면담, 학습 결과물, 참여 관찰일지 등과 같은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천적-평가적 차원의 구조를 micro(교실), meso (학교), macro (한국 사회) 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micro 장에서 새로운 시도의 수업으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나 인식을 파악하기 힘들었으며 특히 학생들이 기후변화를 나의 문제라고 인식하는 주인의식을 가지는 데 어려움이 있어 교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학생들은 스스로를 어린이로 위치 지으며 계획한 사회적 행동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사회적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 가치에 대해 공감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학습 목표를 성취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meso 장에서는 동학년 교사와 교육과정을 비슷하게 운영해야 하는 학교 문화 속에서 교사만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기후변화 수업이라는 낯선 과학 수업 주제에 대한 부담을 드러내는 동료 교사들과 소통이 단절된 채 교육과정을 홀로 운영하는 과정에서 전문성을 키워나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관리자 역시 사회적 행동에 대한 소극적인 지원을 하여 학교 밖으로 사회적 행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갈등 상황에 직면하였다. 마지막으로 macro 장에서는 본 수업의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물적 자원이 미흡하였으며, 학생들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제한된 시각이 교수학습상황의 거시적 제약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분석을 위해 유목화된 각 장의 제약조건들은 실제로는 독립적이고 분절적인 요소가 아닌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며 복합적인 그물망을 형성하며 구조적 제약조건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실행하는데 교육 공동체 여러 주체의 다층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orytelling)

  • 박지현;이예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55-68
    • /
    • 2018
  • 본 연구는 세계시민으로서의 책임과 실천의식 함양을 효과적으로 가져오는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글로벌 이슈에 대한 공감, 몰입, 성찰과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방법으로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차시로 구성되었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스토리텔링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스토리를 들려주거나 학생들이 직접 만들어 나가는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세계시민의식과 이에 대한 학습흥미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토리텔링이 추상적 학습내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맥락적 이해를 돕고, 세계시민의식 학습에 흥미로움을 더해주며, 다양한 교수학습활동과 매체를 적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데 좋은 학습자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BL 수업적용에 따른 학습 성과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Learning Outcome of PBL Instruction)

  • 김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91-201
    • /
    • 2017
  • 본 연구는 미래인재역량에 효율적인 교수방법으로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 성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K대학교 교직소양과목인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문제중심학습(PBL)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성찰일지, 평가지, 관찰일지 등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PBL 학습효과로는 학습내용 이해 및 적용, 협동성, 문제해결능력, 사고확장, 책임감, PBL에 대한 이해 등이 나타났다. 또한 타인에 대한 배려, 협동성, 책임감, 의사소통 등 예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어지는 문제해결 능력, 협동성 등의 역량 제고를 위해 대학수업의 PBL 적용 확대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