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과과정의 현황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2초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관련 인식·현황 조사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tatus survey and Development about Bibliotherapy in Korea's LIS Fields)

  • 백재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71-395
    • /
    • 2022
  • 전통적으로 책과 독서에 강한 분야인 문헌정보학은 도서와 독서 과정을 통해 인간의 감정·상황·병리 증상 등을 치유하는 독서치료에 있어 주도적이고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와 매우 밀접한 상호 관계를 가진 문헌정보학 분야에 학문적·실전적 관점을 적용하여 독서치료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인식조사는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서 문헌정보학 관련 수업을 듣는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활용하여 5개의 주제(도서, 독서치료, 교과과정, 도서관, 기타)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현황은 교육적·실전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독서치료 관련 교과과정과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독서치료 관련 교육과정 현황은 국내 4년제 대학 가운데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된 32개의 대학을 바탕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통해 탐색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고,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 현황은 국내 1,104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독서목록을 각각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독서치료 참여자와 운영자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군 수학 검정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mathematics textbooks for grades 5 and 6)

  • 김남균;오민영;김수지;김영진;이윤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27-48
    • /
    • 2024
  •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범교과 학습이 강조되며, 범교과 학습 주제와 교과를 연계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수학과에서 범교과 학습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별 교육 과정과 수학과 교과서에 적용된 범교과 학습 주제의 내용과 방법을 문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별 교육과정을 적용된 범교과 학습 주제의 다양성, 주된 범교과 학습 주제의 유무에 따라 총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이 때 수학과 교육과정은 일부 범교과 학습 주제가 소극적으로 다뤄지고 주된 주제가 없는 유형에 속하였다. 한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군 수학 교과서 10종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과 달리 교과서에는 다양한 범교과 학습주제가 적용되어 있었고 이중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 안전·건강 교육, 진로 교육, 인성 교육, 경제·금융 교육 순으로 주를 이뤘다. 또한 수학 교과서에는 범교과 학습 주제가 소재, 발문, 설명, 자료, 삽화와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반영되어 있었는데, 주로 소재나 삽화로 나타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수학 교과서에는 범교과 학습 주제가 주로 도입 차시, 본 차시의 도입 활동, 특화 차시에 반영되어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에 범교과 학습 주제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였다.

통합에서 독립으로, 이스라엘 컴퓨터과학 교과의 진화 (From integration to independence, the evolution of computer science subject in Israel)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3-44
    • /
    • 2014
  • 국가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해당 교과가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창의 인재 양성의 선두주자인 이스라엘의 교육과정과, 컴퓨터과학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컴퓨터과학 교육의 방향에 대한 성찰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스라엘의 컴퓨터과학 교육은 중학교에서는 자연과학/기술 교과에 통합된 형태로, 고등학교에서는 독립교과로서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2011년에는 중학교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이 개발되면서 통합에서 독립교과로 변화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컴퓨터과학 교육 또한 통합과 독립의 관점에서 교과의 위상이 논의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 교육의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 정보서비스(Reference Service) 관련 교과목을 중심으로 - (Analysis and Improvement Strateg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Focusing on the Reference Service Curriculum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05-223
    • /
    • 2011
  • 본 연구는 정보서비스측면에서 국내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문제점을 다루어봄으로써 교육의 전문성과 현장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률 위해 국내 32개 대학의 2005년과 2009년의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미국의 현황과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문헌정보학의 경우, 개론 및 원론위주의 교과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간 제공 교과목의 수에 차이가 많았으며, 도서관 현장에 대한 이해 및 관찰, 그리고 참여가 이루어지는 교과목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교과목의 운영을 위해서는 이용자와 주제에 대한 이해 및 서비스를 위한 과정의 제공과 도서관 현장과의 연계방안을 통한 실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교육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의 확충과 대학별 특화도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정종서;민경세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1-22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여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시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먼저 국내학자들이 창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외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미국의 창업교육대학원과 일본의 창업교육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은 창업교육의 이론적 범위, 교육체계 및 실천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대상에 따라 세부교과목은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 목적에 합당하게 체계화된 교육의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AHP를 활용한 창업대학원 교과목 선호도 평가요인별 중요도에 관한 연구: 창업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o Systemiz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ntrepreneurial Graduate School)

  • 이일한;김현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131-142
    • /
    • 2016
  • 글로벌 경쟁시대에 돌입하면서 창업에 필요한 실무지식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정부는 2004년에 창업대학원을 설치하여 운영해 오고 있다. 국내 창업대학원의 운영을 시작으로 창업에 대한 학문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은 시작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창업교육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문헌을 고찰하여 창업교육의 발전과정과 이론적 모형을 검토하고, 국내 대학 및 대학원의 창업교육의 현황을 분석한 후, 국내의 10개 창업대학원의 창업학과 교과목을 6개로 모듈화한 후 계층화 분석과정(AHP)을 이용하여 창업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창업교육의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교과목 프레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관성 비율이 0.1이하에서 상위요인의 경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Entrepreneurial Issues for Fund"(.242)로 나타났으며, "Entrepreneurship Plan"(.195),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ship mindset"(.161), "Entrepreneurial Issues for Growth & Development"(.160), "Management Skill & Strategy"(.150), "Special Entrepreneurship"(.093)순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도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교육대학원의 현 교과목 체계의 근간을 검토하고 사회적 변화에 따른 교과목 체계를 제시함과 동시에 교육의 적극적 참여자인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창업교육대학원의 교과목편성에 있어서 교육내용의 체계화와 통합적 교과과정의 설계에 일관성을 제공, 현실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Proposal of the Textiles and Clothing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이지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3-129
    • /
    • 2022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중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목 개설 현황을 바탕으로 의류 관련 학과 교육과정 및 내용을 분석하고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자료와 문헌을 분석하고, 의류 관련 학과 전공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과목으로는 '패션 디자인의 기초' 또는 '의복 구성의 기초'가 개설된 학교 수가 많았다. 이는 특성화 고등학교 의류 관련 학과에서 기술 교육이 우선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론 교과목에 대한 보다 현실적이고 교육 가능한 부분에 대한 논의와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무 과목에서도 기초 과목의 선택 결과와 비슷하게 2~3과목에 편중되어 개설된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반면, 많은 기자재와 높은 기술력의 필요한 '니트 의류 생산' 교과목과 '가죽·모피 디자인 생산'의 교과목에 대해서는 교육부 차원에서의 교사 연구 기회 확대 및 기자재 확충 사업이 구성되기를 희망한다. 셋째, 실무 과목 내의 NCS 능력 단위 편제의 경우 실습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수업을 진행하는 데 용이하거나, 각각의 학과에서 제시한 인력 양성 유형과 밀접한 능력 단위에 집중되어 있었다. 넷째, 의류 교사들의 설문과 FGI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직업 탐색을 고려한 선택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진행되기 위한 산업체와 연계된 교사 연수와 기자재 및 실습 부자재 지원이 학교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차기 섬유·의류 전문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 교직 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현장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를 기대한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전공 관련 교과목의 선택권을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는 시점에서 의류과 관련 교과목 개발 및 안착에도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 개설현황 조사연구 - 4년제 작업치료학과를 중심으로 (Establishment Status of the Mandatory Courses for the Qualification of Sensory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pecialist - Within Curriculums of Baccalaureat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 김지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3-34
    • /
    • 2017
  • 목적 : 국내 4년제 작업치료학과의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들의 개설현황을 조사하여, 작업치료사와 관련이 깊은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학의 대비 정도를 점검하고 향후 관련하여 교과과정 심의를 준비하거나 표준교과과정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의 4년제 작업치료학과 32개교의 교과과정 정보를 수집하여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들의 개설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결과 : 첫째, 공통필수 과목인 '장애아동의 이해' 개설학교는 9개교(28%)였고, 전공필수 과목의 경우 '신경과학/신경해부학'은 32개교 전부에, '감각처리장애와 중재/감각통합치료학'은 31개교(97%)에, '아동검사 및 평가'와 '감각재활현장실습'은 각각 동일하게 7개교(22%)에 개설되어 있었다. 둘째, 유사과목을 포함한 경우, '신경과학'과 '감각처리장애와 중재'와 '아동검사 및 평가'는 32개교(100%) 전체에 개설되어 있었으나, 실습교과의 유사과목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전국 4년제 작업치료학과의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비도 점수의 경우, 7점에 해당하는 대학은 4개교, 6점은 4개교, 5점은 2개교, 4점은 1개교, 3점은 2개교, 2점에 해당하는 대학은 19개교였다. 결론 :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전공필수 교과들의 경우 실습을 제외한 다른 3 과목은 유사과목을 포함하여 전국 4년제 작업치료학과 32개교에 전부 개설되어있어 전문성 측면의 대비는 잘 되어있는 편이지만, 공통필수인 '장애아동의 이해'와 실습교과인 '감각재활현장실습'의 개설현황은 상대적으로 매우 저조한 현황이다. 상당수의 대학들이 발달재활서비스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비를 시작한 것으로 보이지만, 교과과정 상에 보다 적극적인 의지와 정확성이 반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감각발달재활사 양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대학에서는 공통필수 교과와 필수 실습교과의 개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더불어 감각발달재활사 기준 지정명칭의 과목을 개설하고 제시되어 있는 교수요목을 고려하여 과목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