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and Proposal of the Textiles and Clothing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제안

  • Received : 2022.12.09
  • Accepted : 2022.12.28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textiles and clothing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Literature and data were analyzed, surveys and FGI were conduct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irst, many schools chose 'Basic dress design' or 'Basic dress composition' as basic subject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echnical training for practice is a priority for vocational schools, and that more discussion is needed regarding the lack of theoretical subjects. Second, similarly to the basic subjects, practical subjects offered are concentrated on 2 to 3 subjects. The teachers asserted that some subjects such as 'Knit apparel production' and the 'Leather and fur design production', which require a lot of equipment and advanced technology, cannot be offered withou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ird, the NCS competency unit of the practical subjects is easy to proceed with the class or is closely concentrated on the type of manpower training presented by each department. Fourth, this study proposes that for technical education to expand students' choic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eachers competencies linked to the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organization of the next textiles and clothing professional curriculum and help understand vocational educati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and settling various subjects wh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implemented by expanding students' choice of major-related subjects.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중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목 개설 현황을 바탕으로 의류 관련 학과 교육과정 및 내용을 분석하고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자료와 문헌을 분석하고, 의류 관련 학과 전공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과목으로는 '패션 디자인의 기초' 또는 '의복 구성의 기초'가 개설된 학교 수가 많았다. 이는 특성화 고등학교 의류 관련 학과에서 기술 교육이 우선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론 교과목에 대한 보다 현실적이고 교육 가능한 부분에 대한 논의와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무 과목에서도 기초 과목의 선택 결과와 비슷하게 2~3과목에 편중되어 개설된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반면, 많은 기자재와 높은 기술력의 필요한 '니트 의류 생산' 교과목과 '가죽·모피 디자인 생산'의 교과목에 대해서는 교육부 차원에서의 교사 연구 기회 확대 및 기자재 확충 사업이 구성되기를 희망한다. 셋째, 실무 과목 내의 NCS 능력 단위 편제의 경우 실습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수업을 진행하는 데 용이하거나, 각각의 학과에서 제시한 인력 양성 유형과 밀접한 능력 단위에 집중되어 있었다. 넷째, 의류 교사들의 설문과 FGI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직업 탐색을 고려한 선택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진행되기 위한 산업체와 연계된 교사 연수와 기자재 및 실습 부자재 지원이 학교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차기 섬유·의류 전문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 교직 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현장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를 기대한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전공 관련 교과목의 선택권을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는 시점에서 의류과 관련 교과목 개발 및 안착에도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2021). 2021년 경기도형 도제학교 운영 매뉴얼[2021 Gyeonggi-do Apprenticeship School Operation Manual]. Gyeonggido: Author.
  2. Jang, J.-K., & Shin, H.-W. (2019).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n clothing department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4), 71-89.
  3. Kim, S. J. (2010). Analyze the operational status and curriculum of apparel-related depart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4. Lee, J. S. (2021). Suggestion of implications for Korean textiles and clothing apprenticeship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and German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3(4), 49-64. https://doi.org/10.19031/jkheea.2021.12.33.4.49
  5. Lee, S. H. (2009).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programs and curriculums of vocational high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Ministry of Education (2015). 섬유.의류 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34) [Textiles and Clothing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Proclam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Separate volume 34]. Sejong: Author.
  7.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2022). 직업계고 교육과정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Retrieved from https://www.ncs.go.kr/unity/hth01/hth0103/highSchoolCourse.do
  8. Teacher-Curriculum, Learning, Evaluation and Activity Resources (2022). NCS-based training courses.
  9. Yoo, H. J. (2016). The present state and major courses of clothing related departm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1), 188-198. https://doi.org/10.5850/JKSCT.2016.40.1.188
  10. Yoo, H.-J., & Chung, M.-K. (2010). The changes and present status of education in clothing departm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2), 371-394. https://doi.org/10.5850/JKSCT.2010.34.2.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