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괴경중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마 주아를 이용한 종묘생산 재배기술 (Cultural Practices of Bulbils for Seed-Tuber Production in Dioscorea batatas Decne)

  • 신종희;박상구;박상조;이봉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3-167
    • /
    • 2006
  • 본 연구는 마의 지상부에서 형성되는 주아를 이용하여 이듬해 종서로 사용 가능한 씨마 생산을 위한 주아 재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파종기, 파종량, 파종주아 크기에 따른 씨마 수량을 검토하였다. 1. 주아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생장 일수가 짧아져 괴경장이 짧아지고 평균 괴경중이 가벼워지는 등 괴경의 크기가 작아졌다. 5월 11일 파종의 경우 씨마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무게가 20g 이하 되는 괴경수가 많아짐으로 파종은 늦어도 5월 1일까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파종량이 많을수록 괴경장이 짧아지고 평균 괴경중이 가벼워지는 등 괴경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마로 사용 가능한 $21{\sim}4kg$ 크기의 괴경수를 고려할 때 200kg/10a가 파종 적량으로 판단되었다. 3. 파종주아의 크기가 클수록 출아율과 평균 괴경중이 높아져 단위 면적당 괴경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올방개(Eleocharis kuroguwai Ohwi)의 생장(生長)과 괴경형성(塊莖形成)에 미치는 환경요인(環境要因)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Growth and Tuber Formation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구연충;정승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4-54
    • /
    • 1993
  • 올방개의 생육(生育) 및 괴경형성(塊莖形成)에 미치는 영향(環境)을 검토(檢討)하고자 온도(溫度), 일장(日長), 차광(遮光), 파종시기(播種時期), 수심(水深) 그리고 괴경(塊莖)의 크기 및 예취시기(刈取時期)를 달리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주야온도(晝夜溫度)가 높은 25/$20^{\circ}C$에서 초장(草長)이 크고 경수(莖數)가 많았으며 건물중(乾物重) 및 괴경수(塊莖數)도 많았다. 지상부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주야온도(晝夜溫度)가 낮은 20/$15^{\circ}C$에서 높았으나 인산(燐酸) 및 가리함량(加里含量)은 낮았으며 3요소(要素) 흡수량(吸收量)은 주야온도(晝夜溫度)가 높은 25/$20^{\circ}C$에서 많았다. 2. 초장(草長)은 수온(水溫), 경수(莖數) 및 건물중(乾物重)은 기온(氣溫)의 영향(環境)을 더 크게 받으며 지상부(地上部)의 3요소(要素) 함유율(含有率) 및 흡수량은 기온(氣溫) 및 수온(水溫)의 차가 큰 18/$28^{\circ}C$ 및 28/$18^{\circ}C$에서 높았다. 3.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은 기온(氣溫)의 교차(較差)가 큰 18/$28^{\circ}C$ 및 28/$18^{\circ}C$에서 많고 무거웠으며 저기온(低氣溫)/저수온(低水溫)(18/$18^{\circ}C$) 및 고기온(高氣溫)/고수온(高水溫)(28/$28^{\circ}C$)에서는 괴경형성(塊莖形成)이 저해(沮害)되었다. 4. 괴경(塊莖)은 8시간(時間) 및 12시간(時間)의 단일(短日)에서는 형성(形成)되었으나 16시간(時間)의 장일(長日)에서는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5. 괴경형성(塊莖形成)에 필요한 일장(日長) 감응시기(感應時期)는 출아후 30-45일 그리고 단일처리(短日處理)의 유도기간(誘導其間)은 10일 이내이었다. 6. 차광처리(遮光處理)에 의해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生育)은 억제(抑制)되었으며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많을수록 초장(草長) 경수(莖數) 및 지상부 건물중(乾物重)은 증가(增加)하였으나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은 차이(差異)가 없었다. 7.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늦어질수록 괴경형성시(塊莖形成時) 까지의 일수는 단축(短縮)되었으나 초장(草長), 건물중(乾物重) 및 괴경수(塊莖數)는 감소(減少)하였다. 8. 담수심(湛水深)이 깊어질수록 괴경수(塊莖數)가 63-75% 감소(減少)하고 괴경중(塊莖重)도 가벼워지는 경향(傾向)이었다. 9. 파종시(播種時)의 괴경(塊莖)의 크기는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10. 예취시기(刈取時期)가 늦어질수록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의 생육(生育)이 억제(抑制)되고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이 감소(減少)하였는데 괴경수(塊莖數) 감소(減少)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는 예취시기(刈取時期)는 출아후 70일경이었다.

  • PDF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에 의한 감자 품종별 피해도 검정과 저항성 관련요인 분석 (Screening of Potato Cultivars for Infestation by Selatosomus puncticollis Mot.(Coleoptera: Elasteridae) and Analysis of Factors Assiciated with Resistance)

  • 권민;박천수;함영일;안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7-163
    • /
    • 2000
  •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유충에 의한 50종 감자(Solanum tuberosum L.) 품종의 피해정도를 검정한 전보의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품종(수미, 조풍, 남작, 대서, 대지, 세풍, 남서, Anco, Bintje, Denali)의 괴경피해율과 피해도를 포장과 실내에서 검정하였다. 또한 품종별 피해도 차이에 대한 원인을 구명하고자 괴경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들(glycoalkaloids, 당, 전분, 전질소, Ca, K, Mg)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10개 품종의 포장 피해괴경율은 19~72%로 높았다. 실내검정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구멍수는 남서 품종에서 많았으나, 수미, 대서, Anco, Bintje, Denali 품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alpha$-tomatine의 활성을 실내에서 검정한 결과, 2,500 ppm 농도에서 어떠한 활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괴경의 glycoalkaloids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수미품종은 18.83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나, 남작 품종은 6.39%로 가장 적었다. 괴경중 화원당과 총당 함량은 남서 품종에서 각각 0.71%와 2.95%였으나, 대지 품종은 0.26%와 1.77%였다. 전분 함량은 대지, 남작, Bintje 품종이 많았던 반면 조풍과 세풍 품종에서는 적었다. 괴경중 전질소, K를 가장 많이 함유한 품종은 Anco 품종이었고, Ca는 대서 품종에 Mg는 조풍 품종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품종별 해충의 피해도와 저항성 관련 요인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는 괴경중 전질소 함량과는 부의 상과(r=-0.71435*)이었으나, 괴경중 총당 함량과는 정의 상관(r=0.78018*)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충종합방제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또한 새로운 내충성 품종의 육성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올방개 괴경(塊莖) 형성(形成)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uberiz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Chestnut(Eleocharis Kuroguwai Ohwi))

  • 김희동;박중수;박경열;최영진;유창재;심상우;노영덕;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23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최근(最近) 우점화(優占化)되어 방제(防除)가 어려운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올방개의 방제체계(防除體系)를 확립(確立)하기 위한 일환으로 괴경의 분포(分布) 및 괴경 형성특성(形成特性)을 구명(究明)하여 1993~1994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이다. 1. 올방개는 조식(早植)할수록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가 증가(增加)하고 괴경중(塊莖重)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이들 괴경(塊莖)은 주로 표층(表層)에 분포(分布)하였다. 2. 괴경(塊莖)의 토중분포(土中分布)는 0~10cm의 표층(表層)에 가장 많았고, 20cm 이하(以下)의 심토(深土)에는 10---- 내외(內外)의 괴경(塊莖)이 분포(分布)하였는데, 후기(後期)에 형성(形成)된 괴경(塊莖)들은 주로 표토(表土)에 분포(分布)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경운(耕耘) 작업(作業)을 생략(省略)한 무경운(無耕耘) 정지(整地)및 무경운(無耕耘) 무정지구(無整地區)에서 괴경형성(塊莖形成)이 많아졌고, 무경운(無耕耘) 정지(整地)의 경우 0~10cm의 표층(表層)에서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다. 4. 지하관정(地下管井)으로부터의 냉수관개(冷水灌漑)에 의하여 형성괴경수(形成塊莖數)는 약간 증대(增大)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괴경(塊莖)의 크기는 현저히 감소(減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착색(着色) 셀로판 필름을 이용(利用)한 차광(遮光)은 괴경중(塊莖重)과 맹아율(萌芽率)의 감소(減少)로 나타났는데, 특히 녹색(綠色)의 경우 괴경수(塊莖數)의 감소(減少)도 현저하여 차광효과(遮光效果)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莖揷, 器內小塊莖形成, 養液裁培에 의한 감자 無病株 생산 方法 (Production Method of Basic Seed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by Stem Cuttings, Microtuberization and Hydroponic Culture)

  • 김현준;김숭열;신관용;김학기;김화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3-86
    • /
    • 1997
  • 조직배양묘를 이용한 감자 무병주 생산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경삽, 기내소괴경 양액재배 및 이들 생산괴경에 대한 후대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조직배양묘를 이용한 씨감자 생산방법별 $\textrm{m}^2$당 수량성을 비교해보면 괴경수에 있어 온실내 경삽증식은 75개, 기내소괴경형성시 플라스크는 700개, 페트리디쉬의 경우 1,080개 그리고 양액재배에서는 1,152개가 생산되어 페트리디쉬와 양액재배산 생산방법이 경삽증식이나 삼각 플라스크방법보다 괴경수가 많았으며 괴경중의 경우에선 양액재배방법이 4,492 g로 경삽(4,136 g), 페트리디쉬를 이용한 기내소괴경(1,080 g)의 경우보다 많았다. 그리고 생산방법별로 후대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103 당 총수량은 경삽재배산 종서 > 기내소괴경 1차증식산 > 양액재배산 > 기내소괴경 순으로 높았으며 10 a당 괴경수는 양액재배산이 33,064개로 가장 많이 생산되어 상위단계(기본종, 기본식물) 종자생산에 있어 양액재배산 씨감자 이용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토란(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의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활성탄의 효과 (Th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on Growth and Yield in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

  • 최성규;박영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3-297
    • /
    • 2002
  • 약용과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구황작물인 토란을 활성탄(Activate Charcoal)을 시용하여 재배할 경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성탄시용에 따른 토란의 생장은 활성탄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엽장이 크고, 엽병속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특히 활성탄 10%∼20%가 첨가되었을 때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지하부의 생장에서도 활성탄10%∼20%처리가 주당 괴경수가 많고 괴경중이 무거워 양호한 경향이었다. 한편 괴경(槐莖)의 수량과 부산물인 엽병(葉柄)의 수량은 활성탄 10%∼20%처리가 생육이 양호하여 증수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토란을 재배할 경우 활성탄의 효과가 인정되어 앞으로 작물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색칼라 기내배양묘의 순화재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limatization culture of the tissue cultured seedings in Zantedschia spp.)

  • 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5권1호
    • /
    • pp.20-27
    • /
    • 2003
  • 유색칼라 조직배양묘의 순화재배 용토선발실험에서 초기생육 출엽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생육 6개월 후의 괴경비대는 모래(50%)+Peatmoss(50%)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순화재배 시기별 순화율은 8월 20일 정식에서 64%~70.4%로 가장 저조하였고, 3월 20과 4월 20일은 90%이상의 순화율을 나타냈다. 괴경비대은 3월 20일 정식에서 구중이 가장 무거웠다. 순화 재배시 배양묘의 재식거리 10×10cm에서 괴경중이 가장 양호했다.

토양검정에 의한 유기자원 시비처방이 감자의 생육 및 양분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rtilization Treatment using Organic Amendment based on Soil Testing on Plant Growth and Nutrient Use Efficiency in Potato)

  • 임진수;이방현;강승희;이태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36-446
    • /
    • 2020
  • 토양검정에 의한 유기자원 시비처방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감자를 대상으로 포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유기자원 시비량은 유기자원의 질소, 인산, 칼륨 성분함량에 무기화율을 적용하여 결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 및 칼리의 이용효율은 화학비료와 유기자원처리의 차이가 없었으며, 인산의 이용효율은 0.1% 수준에서 유기자원구에서 높았다. 2. 감자 수확 후 토양화학성은 전기전도도, 질소 및 인산 함량이 유기자원구에서 높았다. 3. 감자 잎·줄기의 무기성분 중 질소 함량은 화학비료구에서 가장 높았고, 무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인산 및 칼륨 함량은 무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인산은 화학비료구와 유기자원구의 차이가 없었고, 칼륨은 화학비료구에서 함량이 더 높았다. 4. 뿌리의 무기성분 함량도 잎·줄기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지만 건물중에 있어서는 수량이 많았던 유기자원구에서 가장 높았다. 5. 화학비료구와 유기자원구간 초장, 경수, 경경 및 엽색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무처리구보다 높았다. 6. 괴경수량, 상서수량은 유기자원구에서 화학비료구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무처리구보다 높았다. 7. 지상부생체중과 T/R율은 유기자원구>화학비료구>무처리구 순이었다. 8. 초장은 경수, 경경, 괴경중, 상서중, 지상부생체중, T/R율 및 감자의 건물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괴경중은 초장, 경수 및 경경과 양(+)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괴경중이 높을수록 상서중도 높았고, 지상부생체중이 높을수록 수량도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수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지상부도 적정 이상으로 키우는 양분공급이 필요하다. 9. 이상의 결과를 볼때 본 연구에서 유기자원으로 처방한 시비방법은 화학비료대비 적정한 유기자원 처방법으로 활용가능하며, 후작물 재배에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etabolism of (4-$^{14}C$) Cholesterol on Photoperiodism in Solanum andigena

  • Bae, Moo;Mercer, E.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권3호
    • /
    • pp.179-183
    • /
    • 1970
  • Solanum andigena의 광주성 주기중의 방사성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연구하였다. 대사산물로서 방사성 솔라닌과 그 가수분해물 솔라니딘을 분리 결정화하였으며, 콜레스테롤은 이 식물체 내에서 형성되는 에스테르화된 형태로 분리하였다. 단일 및 장일식물간의 콜레스테롤을 대사에는 뚜렷한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으나. 괴경중의 스테로이드 알카로이드에 콜레스테롤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 PDF

괴경(塊莖)의 크기 및 절제(切除)가 올방개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uber Size, Bud and Tuber Removal, Tuber Cutting on Growth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김재철;손석용;유길림;윤종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8-33
    • /
    • 1989
  •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 올방개의 초기(初期) 붕아력(崩芽力)과 괴경(塊莖)의 파손(破損) 및 제거(除去)에 따른 지상부(地上部) 지하부(地下部) 생육량(生育量)을 폿트재배(栽培)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괴경(塊莖)의 크기가 클수록 초기(初期)에 유아(幼芽)와 유근신장(幼根伸長)이 촉진(促進)되고 발생수(發生數)도 많았으며, 후기(後期)의 지하부(地下部)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이 많았다. 2. 유아(幼芽) 유근(幼根)을 제거(除去)한 괴경(塊莖) 및 괴경(塊莖)을 제서(除去)한 유아(幼芽) 유근(幼根)만의 개체(個體)에서 생산(生産)된 지하부(地下部)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정상개체(正常個體)에 비(比)하여 적었다. 3. 괴경(塊莖)을 절단하면 정상괴경(正常塊莖)에 비(比)하여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이 감소(減少)하였다. 4. 유아(幼芽) 유근제거(幼根除去), 괴경제거(塊莖除去) 및 괴경(塊莖)을 절단할 때 생산(生産)된 괴경수(塊莖數)는 정상괴경(正常塊莖)에 비(比)하여 많은 경우가 있었다. 5. 올방개의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과 지하부(地下部)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6. 올방개 괴경(塊莖) 건물(乾物) 100g 당(當) 당질(糖質)은 78.9g, 인(燐)은 77mg, 철분(鐵分)은 16.8mg, 니아신은 1.3mg 함유(含有)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