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주택계획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41초

타워크레인을 적용한 대단지 PC공동주택의 공정계획 효용성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Schedule for PC Apartment Buildings using a Tower Crane)

  • 김기호;이범식;이동건;김민준;손정락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05-106
    • /
    • 2023
  • In project projects where various factors arise, the construction company's initial establishment of a reasonable process plan reduces various variables and potential risks. In order to create a densely written initial process plan,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ime and money by reflecting Slack time. Through this, site managers can lead a successful project based on reasonable and stable construction.

  • PDF

공동주택의 공사정보분류체계를 활용한 적산 자동화 개념 모형 개발 (A Conceptual Model for Automated Cost Estimating Using Work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Apartment House)

  • Lee, Yang Kyu;Park, Hong T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5-24
    • /
    • 2014
  • 본 연구는 설계 과정의 분해, 시공 과정의 조립, 공사비 적산 등 공사의 계획과 관리에 걸친 모든 공사 관리의 업무를 체계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공사정보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이 공사정보분류체계를 작업순서에 따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Data Base)로 구축 방법을 제시하였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적산 자동화 시스템 개념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적산 자동화 시스템 개념 모형은 기존 적산 시스템들의 근본적인 문제점이었던 부적절함을 해소하여 공동주택 건설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인 적산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령자 자립정도에 따른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동주택 계획요소 분석연구 (Analysis of Apartment Design Elements for Applying the Health 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Elderly People)

  • 이지은;윤영호;박정아;권윤지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2호
    • /
    • pp.147-157
    • /
    • 2012
  • 정부는 임대주택에서 고령자 주택의 의무 설치비율에 대한 기준을 2012년 2월에 마련하였고, 이에 따라 고령자 주호 수는 늘어날 전망이다. 그리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면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다양한 연구에서 언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령자의 자립정도에 따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령자 주택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현재 기축된 4곳의 사례 적용평가를 통해 실태 파악과 추후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고령자 주택계획에서 주호 내 어메니티를 지원하는 부분이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실제 주택에서 반영 비율은 낮았고 공용공간의 위험 관리계획이 가장 높은 비율로 적용되어 있었다. 실제 건강측정이나 외부와의 커뮤니티 돕는 것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은 아직 적용되지 않았지만 에이징인 플레이스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서비스를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하여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건설폐기물 발생저감을 위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항목의 선호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of Apartments Remodeling Items for Reducing Construction Waste)

  • 채경석;양윤선;김용성;정인수;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16-123
    • /
    • 2010
  • 2007년 주택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리모델링 수요가증가함에 따라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리모델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발생에 대한 대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 계획 시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동주택 거주자의 리모델링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조사하여 리모델링 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저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문헌 고찰을 통해 리모델링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6개의 상위항목과 21개의 하위항목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항목들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공동주택 거주자의 리모델링 항목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거주자의 특성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공동주택의 경과년수, 거주지역, 거주자의 재정상태에 따른 리모델링 항목의 선호도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리모델링뿐만 아니라 공동주택 계획시 거주자의 선호도에 대해 고려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추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리모델링 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골재비축계획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3호통권20호
    • /
    • pp.33-36
    • /
    • 1992
  • [ ${\circ}$ ] 건설부는 성수기의 골재 부족 현상과 비수기의 골재생산업체의 경영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골재비축계획을 마련하였음. -골재수요는 건설경기의 계절성으로 인하여 변동폭이 큰 반면 골재공급은 주문생산성 및 비탄력성으로 매년 성수기에 골재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골재생산업체는 비수기의 골재수요 감소로 조업의 중단 또는 단축이 불가피하여 유휴장비${\cdot}$인력의 발생으로 경영의 비효율성 초래 -따라서 비수기의 골재를 비축하므로서 ${\cdot}$ 골재수요를 창출하여 골재생산업체의 유휴장비와 인력의 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경영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cdot}$ 비축골재를 성수기에 방출하여 골재부족현상에서 오는 골재가격의 상승과 부실공사를 방지하고자 함. ${\circ}$ 골재 비축 계획의 주요내용을 보면 -골재 비축자금 : 국민주택기금 100억원(연리 $10{\%}$ -비축자금 대여대상 : 1) 신도시 건설에 참여한 주택건설등록업자 중 현장에 배처플랜트 설치업체 2) 수도권 소재 KS 레미콘 생산업체 3) (주)한국골재산업 -자금대출공고 : ''91. 11. 25${\~}$''91. 11. 30(주택은행) -대상업체 선정 : ''91. 12. 1${\~}$''91. 12. 5(한국주택사업협회, 레미콘 공업협회 및 조합, (주) 한국골재산업이 상호 협의하여 결정) ${\circ}$ 예상 비축량은 매사 1,000천${m^{3}$로 동일조건 일괄공동계약 방식에 의해 12월${\~}$2월에 구매하여 5월${\~}$6월과 10${\~}$11월 성수기에 방출할 예정임.

  • PDF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의 현황과 개선방향 (The policy issues for the apartment remodeling projects)

  • 윤영선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2-45
    • /
    • 2002
  • 공동주택 리모델링은 유지보전과 개량보전이라는 두 가지 관점을 포괄하고 있다. 유지보전과 관련해서는 현재 장기수선계획과 특별수선충당금제도가 있으나 제대로 운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개량보전을 위해서는 최근 관련 법의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등 제도적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향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첫째, 특별수선충당금제도의 내실화를 위한 조세 감면 등의 인센티브 제공과 공익적인 기구의 설립을 통한 운영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주민들의 실질적인 리모델링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세대수 증가, 내력벽 철거 및 발코니 용도 변경 등의 사안에 대해서도 전향적인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리모델링에 대한 유인책 제공을 위한 조세 및 금융상의 지원도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밖에 중고주택정책, 재건축정책, 리모델링을 고려한 신축주택의 설계 지침 마련 등 여건 조성을 위한 관련 제도의 개선도 요구되고 있다.

  • PDF

네덜란드 집합주택유형의 전개와 현대 블록형 집합주택 사례 연구 (The Deployment of Dutch Collective Housing Types and Case Study of Contemporary Perimeter Block Housing)

  • 임재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525-534
    • /
    • 2022
  • 주택의 공급은 도시화 현상과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많은 도시들이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을 통해 도시에 인구가 집중하고 주거의 질이 저하하며 주택의 부족으로 인해 주택공급을 위한 제도와 정책들을 시행하여 왔다. 네덜란드의 경우 도시에 인구가 집중하던 시기에 주거환경개선을 위하여 1901년 주택법을 제정하였고 이후 주거공급의 확대를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립된 네덜란드 집합주거 주거유형의 배경에 대하여 이해하고 로테르담과 암스테르담의 현대 집합주택의 계획적 적용 단계를 분석해본다. 한편 서구사회의 경험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비중이 계속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공동주택 주거유형에 대한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고찰해본다.

공동주택단지의 유형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within Each Type of Multi-Family Housing)

  • 최무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83-91
    • /
    • 2006
  • Although the large supply of multi-family housing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urban structure and allocation of functions, and also enhanced the whole level of housing environment, it caused several problems relating to physical form such as isolation of housing estate, inhumanity of the exterior space, and mismatch with the urban structure. To handl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esign elements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physical forms, thereb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Therefore design elements are reformed into respective analyzing indices. This study analyzes design elements based on analysing indices. Thus, several important results were found from the Factor Analysis and after classifying housing estates into several types, the study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within each type of housing estates.

장수명 공동주택 표준모델 개발을 위한 계획요소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Elicitation of Design Elements for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 박준영;정소이;정상규;박우장
    • KIEAE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11-18
    • /
    • 2011
  • In order to solve housing shortage, an apartment has been built and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in Korea. As such a result, the apartment became a typical housing type in Korea. However, the housing became vulnerable to accommodate rapidly changing life-style & life-cycle of koreans and was lost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for inheriting and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aims at eliciting of design elements for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with durability & flexibility based on data derived from housing consumers's questionnaire survey and expert's opinion surveys. We expect that the standard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open building applying support & infill elements will be used as a standard model for planning future long-life housing with capacity.

공동주택단지의 개발계획단계 시 에너지 수요예측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Energy Demand Prediction of Multi-Family Housing Complex in the Urban Planning Stage)

  • 문선혜;허정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04-310
    • /
    • 2008
  • Currently energy use planning council system is mandatory especially for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planned on a specified scale or more. The goal of existing demand prediction was to calculate the maximum load by multiplying energy load per unit area by building size. The result of this method may be exaggerated and has a limit in the information of period load. The paper suggests a new forecasting process based on standard unit household in order to upgrade the limit in demand prediction method of multi-family housing complex. The new process was verified by comparing actual using amount of multi-family housing complex to forecasting value of energy use pl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