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연관

Search Result 81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for Distributing and Reusing GIS Data (GIS 정보 유통 및 활용에 관한 법.제도 연구)

  • Lee, Bong-Gyou;Song, Ji-Yo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2 no.1 s.3
    • /
    • pp.73-8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for distributing and reusing GIS data in Korea. Along with the rapid growth of GIS market and demands on GIS service,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for distributing, reusing and securing GIS data are arising. Each country has its own the law, policy and institution of GIS data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After exploring laws and institutions regarding GIS in United States, Canada, Australia, New Zealand and Korea(Act No.6201), this paper presents a guide for distributing and reusing GIS data in Korea.

  • PDF

Seasonal rainfall short-term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climate indices (외부기상인자를 고려한 낙동강유역 계절강수량 단기예측모형)

  • Lee, Jeong-Ju;Kwon, Hyun-Han;Hwang, Kyu-Nam;Chun,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1-401
    • /
    • 2011
  • 본 연구는 Bayesian MCMC(Markov Chain Monte Carlo)를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에 외부기상인자를 결합하여 계절단위의 강수량을 예측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홍수 위험도와 관련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여름강수량을 예측 대상으로 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을 기반으로 외부 기상인자에 의한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대상 수문량을 한정할 필요가 있으며 극대치강수량과 연관성이 높은 장마전선, 태풍 등의 기상인자는 공간적 변동성 및 복합적인 특성들로 인해 예측인자를 구성하는 기상인자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단위의 수문량으로 여름강수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기상인자로서 SST(sea surface temperature)와 OLR(outgoing longwave radiation)을 도입하였으며, 낙동강유역 여름강수량과의 공간 상관성이 높은 지역의 이전 겨울 SST와 6월 OLR을 예측인자로 활용한 7~9월 여름강수량 예측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결과를 알고 있는 2010년 여름 강수량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모형의 적용은 현재시점에서 관측된 2010년 겨울 SST와, 과거 관측 자료를 토대로 가정된 2011년 6월 OLR을 이용하여 2011년 여름 강수량을 예측하였다. 결과적으로 모형 매개변수들의 사후분포로부터 불확실성 구간을 포함한 예측결과를 구할 수 있었다.

  • PDF

A Basic Study on Speciality and Standardization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in Korea (해양 지명의 전문성과 표준화에 관한 기초연구)

  • Choi, Yun-Soo;Han, Kil-Soo;Lim, Young-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1 no.3 s.26
    • /
    • pp.41-46
    • /
    • 2003
  • Marine geographical names refer to the names for the geographical forms in nature such as oceans, straits, bays, inlets, and channels as well as the various undersea form including reefs and trenches. Marine geographical forms, lying under the sea, are different from those in land and are related directly and indirectly to the safe navigation of ships, that is, property and life of human beings. Marine geographical names have not been correctly named and used so far as in the case of using the name 'Sea of Japan' instead of 'East Sea' Marine geographical names have been created arbitrarily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researchers, institutes, and academic societies, which leads to confusion and makes it difficult for those to be acknowledged internatio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uniqueness and technicality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and analyzes the efforts and status for the standardization processes in Korea.

  • PDF

Multivariate exponential smoothing models with application to exchange rates (다변량 지수평활모형을 이용한 환율 분석)

  • Lee, Yeonha;Seong, Byeongcha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3 no.3
    • /
    • pp.257-267
    • /
    • 2020
  • We introduce multivariate exponential smoothing models based on a vector innovations structural time series framework. The models enable us to exploit potential inter-series dependencies to improve the fit and forecasts of multivariate (vector) time series. Models are applied to forecast the exchange rates of the UK pound (UKP) and US dollar (USD) against the Korean won (KRW) observed on monthly basis; subseqently, we compare their performance with alternative models. We observe that the multivariate exponential smoothing models are superior to alternatives.

Audio fingerprint matching based on a power weight (파워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합)

  • Seo, Jin Soo;Kim, Junghyun;Kim, Hyem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6
    • /
    • pp.716-723
    • /
    • 2019
  • Fingerprint matching accuracy is essential in deploying a music search service. This paper deals with a method to improve fingerprint matching accuracy by utilizing an auxiliary information which is called power weight. Power weight is an expected robustness of each hash bit. While the previous power mask binarizes the expected robustness into strong and weak bits,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a real-valued function of the expected robustness as weights for fingerprint matching. As a countermeasure to the increased storage cost, we propose a compression method for the power weight which has strong temporal correlation. Experiments on the publicly-available music dataset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power weight is effective in improving fingerprint matching performance.

Decision of GIS Optimum Grid on Applying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with Radar Resolution (레이더 자료의 해상도를 고려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GIS 자료 최적 격자의 결정)

  • Kim, Yon-Soo;Chang, Kwon-Hee;Kim, Byung-Sik;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01-1205
    • /
    • 2010
  • 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에 의해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가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수문기상학적 요소와 특성인자들의 정확한 상호 연관성의 규명과 공간적 변동성 해석은 강우-유출 모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 격자 해상도와 지형인자 격자 해상도에 따라 강우-유출모형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분포 강우-유출 모형인 ModClark 모형을 이용하여 강원도 인제군의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광덕산 레이더자료를 이용하였다. ModClak 모형 구성을 위한 GIS 지형공간 자료는 30m, 150m, 250m, 350m 격자크기의 DEM을 사용하였으며, 2006년 7월 14일부터 7월 17일까지의 관측레이더 강우자료를 500m, 1km, 2km, 5km, 10km 사용하여 유출모의를 실시하고, 각각의 격자해상도에 따른 모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유출수문곡선을 작성하고 유출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분석 결과 첨두유량 및 유출체적에 대해서는 DEM 30m~150m, Grid 500m~2,000m 크기의 격자일 때 가장 최적의 유출 모의를 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 분석에 의한 분석결과에서는 모든 DEM 격자는 Grid 500m인 경우, 모든 Grid 격자는 DEM 30m인 경우에 모형의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민감도 산정 결과 지수 등급이 높은 DEM이 분포형 모형의 결과 값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Virtual Reference Station's Data by GPS Continuous Reference Station's Network (GPS 상시 관측망에서 산정된 가상기준점 자료의 정확도 분석)

  • Lee, Yong-Ch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1 s.28
    • /
    • pp.55-62
    • /
    • 2004
  • More recently, multiple reference based RTK GPS techniques(VRS ; Virtual Reference System)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many precise GPS applications in many countries to overcome the constrained distance limitations of standard RTK systems. The precision of the position solutions of the rover receiver is closely connected with that of the corresponding virtual reference points(VRP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ccuracy and performance of the VRPs on the test network have been made in post mode, and the overall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by comparing the solutions for the VRPs from the existing GPS reference station with the true values of the coordinates used to produce the observation data. The results show the reasonable accuracies of VRPs in the network area by using the VRS concept in post mode.

  • PDF

Finding Optimal Configuration of Dynamic Branch Predictors for Embedded Processors (내장형 프로세서를 위한 동적 분기 예측기의 최적화 구성)

  • Kim, Sung-Eun;Lee, Young-Rim;Yoo, Hy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261-266
    • /
    • 2007
  • 내장형 시스템에 보다 강력한 성능이 요구됨에 따라 내장형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보다 깊은 파이프라인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내장형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보다 정확한 분기 예측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분기 예특기의 구조, 성능 및 전력 소모와 전체 시스템의 전력 소모 사이의 trade-off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내장형 환경에서 시스템의 전력 소모는 설계 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내장형 시스템의 요구사항은 동작할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규정되고, 전력 소모도 응용프로그램의 구조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본 논문의 목표는 내장형 환경에서 성능-전력 공간에서 분기 예측기를 분석하는 기법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통하여, 분기 예측기 테이블의 성능-전력을 고려한 최적화된 크기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목표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정량적 예측의 수행 및 시뮬레이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한 수학적 모델링의 검증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결과는 우리의 수학적 모델이 성능-전력 공간에서 분기 예측기 테이블의 최적화된 크기 결정의 해법을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Bed Material Distribution in Debris-flow Incoming River (토석류 유입 하천의 하상재료 분포 특성)

  • Shin, Seung Sook;Park, Sang Deog;Lee, Seung Kyu;Park, Sangyeon;Yun, Min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92-392
    • /
    • 2016
  • 다량의 토사가 유입된 하천에서의 유사 이송 및 퇴적 과정을 이해하고 하상재료 분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안정하도설계를 위해 대단히 중요하다. 2006년 7월경 태풍으로 인한 수증기가 강원도내의 산악지형과 만나면서 내륙산간 지역 집중호우로 인해 지방하천에 토석류 홍수 피해가 크게 발생하였다. 인제군에 위치한 한계천은 그러한 피해를 경험한 하천 중에 하나이다. 토석류가 발생한 한계천과 토석류가 발생하지 않은 인근지역 하천인 영실천의 하천 특성을 비교하였다. 토석류 발생 이후 2008년, 2010년, 2012년의 위성영상을 비교한 결과 영실천의 하천 유심부의 위치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한계천의 경우 유사이송에 의해 하천의 유심부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유사이송 구간의 하상재료 크기가 256~2,048mm 범위인 전석(boulder)이 점차적으로 빈번하게 관측되었다. 토석류 유입 하천의 하상재료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천 구간별 전석의 크기와 빈도를 조사하였다. 하천에서의 토석류 유입은 하상재료 전석의 빈도와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전석의 공간적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석의 빈도와 크기는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구간별 하상 경사, 하폭, 그리고 유속 등에 따라 전석의 공간적 크기와 빈도가 연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Progression for Astronomical Systems Using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Maeng, Seungho;Lee, Kiyoung;Park, Young-Shin;Lee, Jeong-A;Oh, Hy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4 no.8
    • /
    • pp.703-718
    • /
    • 2014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learning progressions for astronomical systems which synthesized the motion and structure of Earth, Earth-Moon system, solar system, and the univers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applied them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ovided validity evidence based on the consequence of assessment for interpretation of learning progressions.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construct modeling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MCs were appropriate for investigating learning progressions on astronomical systems, i.e., based on item fit analysis, students' responses to items were consistent with the measurement of Rasch model. Wright map analysis also represented that the assessment items were very effective in examining students' hypothetical pathways of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astronomical systems. At the lower anchor of the learning progression, while students perceived the change of location and direction of celestial bodies with only two-dimensional earth-based view, they failed to connect the locations of celestial bodies with Earth-Moon system model, and they could recognized simple patterns of planets in the solar system and milky way. At the intermediate levels, students interpreted celestial motion using the model of Earth rotation and revolution, Earth-Moon system, and solar system with space-based view, and they could also relate the elements of astronomical structures with the models. At the upper anchor, students showed the perspective change between space-based view and earth-based view, and applied it to celestial motion of astronomical systems, and they understood the correlation among sub-elements of astronomical systems and applied it to the system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