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연계

Search Result 1,73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ntext-based Recommendation Service in Ubiquious Commerce (유비쿼터스 상거래 환경에서의 컨텍스트 기반 추천 서비스)

  • ;Van-Trang-Nguy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14-216
    • /
    • 2003
  • 유비쿼터스 상거래의 도래에 따라 개인화 된 서비스를 위한 상황과 환경 정보 즉,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기존의 연구는 물리적 환경에 국한하여 컨텍스트를 적용하고 있으며. 개인의 선호를 고려하지 않는 타켓 마케팅 개념적 서비스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상거래 환경의 컨텍스트 도메인 관점에 부 적합하고, 개인화된 서비스 지원이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컨텍스트 개체에 대해 정의하고,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의 연계를 바탕으로 실세계의 일반화 된 공간 개념과 전자 공간의 카테고리 형태의 구조를 통합한 개념 계층 구조로 컨텍스트 정보 모델링을 제안하고, XML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설계한다. 아울러 이렇게 확장된 컨텍스트 개념을 기반으로 적용 가능한 개인 상거래 서비스를 설명한다.

  • PDF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Cyber Security Legislation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yber Iron Dome' Establishment (사이버안보법제의 강화와 '사이버 아이언돔(가칭)' 구축을 위한 제도화 방안 연구)

  • Shin, Yu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09-31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공간에서 발생하는 위협 등에 대한 대응으로 다각적인 방식에서의 사이버공간 내 행위에 대한 제재와 통제에 대한 법제변화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최근 사회주의체제 국가들에서의 적극적인 사이버공간 내 규제를 위한 입법동향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더불어 현재 사이버안보법, 사이버기본법 등 사이버공간상 보안과 안보에 연계된 관련 입법안들이 사회적으로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정보 등 헌법상 가치를 보호함과 동시에 국가차원의 사전적 방어를 위한 방안으로 '사이버 아이언돔(가칭)' 구축과 이를 위한 제도화를 제안하고 있다.

  • PDF

Data Modeling to Connect HyGIS with Hydrologic Model (HyGIS와 수문모형의 연계 시스템 개발을 위한 데이터 모델링에 관한 연구)

  • Kim, Kyung-Tak;Choi,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74-878
    • /
    • 2006
  • 수자원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는 모형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대상 지역의 지형특성과 시계열 자료 및 비공간적 매개변수 등의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자료들은 다양한 과정을 거쳐서 모형에 입력되며, 모의대상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모형의 구동조건이 변할 경우, 모형의 구동과 결과의 관리를 위해서는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용하는 것은 모형구동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술로 개발된 GIS 기반의 수자원시스템인 HyGIS(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수자원 모형을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며, 이를 HyGIS-Model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HyGIS의 시공간 데이터 모델을 소개하고, HyGIS-Model 중 HyGIS와 SWAT2000 모형이 연계된 시스템(HyGIS-SWAT)을 개발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링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HyGIS 데이터 모델과 HyGIS-Model 통합시스템 운영 표준은 HyGIS-SWAT 데이터 모델링과 시스템 설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GIS와 수자원 모형의 연계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에 대한 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GIS를 이용한 수자원 모형의 입력자료의 생성, 운영 및 모형 구동 결과의 관리에 대한 표준적 절차를 수립할 수 있었다.

  • PDF

Analyzing Factors Affecting Public Transit Transfer Volume: Focused on Daegu City (대중교통 환승통행량 영향요인 분석: 대구시를 대상으로)

  • Hwang, Jung 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2 no.3
    • /
    • pp.179-186
    • /
    • 2014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er trips between subways and buses in Daegu city and to analyze various impact factors that influence the number of transfer trips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opose som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a transit center.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transfer trip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ransfer time, whil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connected bus routes, subway's spatial location, and bus route connection index. Specifically,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transfer trips are mostly affected by bus route connection index.

Extend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Using Linked Data (링크드 데이터 방식을 통한 서지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 Park, Z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9 no.1
    • /
    • pp.231-251
    • /
    • 2012
  • In this study, Linked Data was used for extending bibliographic data, because Linked Data provides shareable identifiers, data structures, and link information. Linked Data is especially efficient in expanding bibliographic data integrated with bibliographic ontology. Therefore, Linked Data and bibliographic ontologies were analyzed and available Linked Data was suggested. By linking between meta-data schemes, bibliographic data, and authority data, issues for the effective Linked Data sharing were suggested: 1) selecting proper Linked Data for each bibliographic organization, 2) linking between different Linked Data, and 3) developing their own Linked Data for each bibliographic organization.

A Study on the Mapping of Risk Factor with Performance Index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도시재생사업 성과지표와 위험요인 연계 방안 연구)

  • Yu, Young-Jeong;Kim, Seon-Gy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497-500
    • /
    • 2008
  • Recentl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been performed actively at home and abroad. The stake-holder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e various and complicated, and has large scale during a long life period. Also the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a mega-project and most mixed-use form. Therefore, the urban regeneration has a lot of potential risk factors from project beginning to completion. It means they need efficient and continuous risk management in terms of performance measurement. But the current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does not reflect risk management in view of performance measurement. This study proposes the risk management methodology by mapping risk factors with major performance indexe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 PDF

Suggestion of conjunctive operation approach for flood reduction in urban drainage system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내배수시설 연계운영방안 제시)

  • Lee, Eui Hoon;Lee, Jung Ho;Kim, Eung Seok;Jo, Deok Jun;Kim, Jo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
    • /
    •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수환경의 변화로 도시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증가하여 도시홍수에 대한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는 상황이지만 국내에서는 도시 내배수 시스템의 선진화기술 구축 및 그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일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침수 저감도 어려운 실정이다. 도시지역에서의 내수침수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구조적, 비구조적 홍수방어 대책의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기존의 도시침수 저감 대책들은 유하시설의 용량 증설 및 통수능 확보를 초점으로 하는 구조적인 대책에 머물러 있으며, 유하시설 위주의 대책은 하류에서의 더 큰 홍수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 기존 내배수시설의 전체적인 확장은 막대한 예산과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및 국지성 집중호우에 완벽하게 대응하기 곤란하므로 구조적인 대책과 더불어 집중호우에 대비할 수 있도록 각 시설물의 기능 및 경제성을 최대로 하며 방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구조적인 대책이 동시에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구조적인 대책 중 하나로 빗물펌프장 및 빗물저류조의 연계운영에 초점을 맞추었다.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여 빗물저류조의 추가저류공간을 확보하는 운영을 실시하고 빗물 펌프장 유수지의 수위를 낮추어 내수침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운영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계운영을 비교하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location correction method of indoor/outdoor 3D model through data integration of BIM and GIS (BIM과 GIS 데이터 융합을 통한 실내외 3차원 모델 위치보정 방안 연구)

  • Kim, Ji-Eun;Hong, Cha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3
    • /
    • pp.56-62
    • /
    • 2017
  • As the need for 3D spatial information increases, many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industries are establishing map-based 3D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nd offering them to users. In these services, positional accurac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ir applicability to specific tasks. This study studied the location correction method between indoor and outdoor 3D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modeling data on a BIM/GIS platform. First, we selected the sites and processed the BIM/GIS data construction with 3 steps. When connecting the BIM model including indoor spatial data and 3D texturing model based on ortho images, mismatches occurred, so we proposed a location correction method. Using the conversion algorithm, the relative coordinate-based BIM data were converted to the absolute positions and then relocated by means of the texturing data on the BIM/GIS platform.

Flood Damag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cenarios Coupled with GIS Data (GIS 자료와 연계한 시나리오별 홍수피해액 분석)

  • Lee, Geun-Sang;Park, Jin-Hye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4
    • /
    • pp.71-80
    • /
    • 2011
  • A simple and an improved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flood damage were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ssessment (MD-FDA) has been applied since 2004 in Korea. This study evaluated flood damage of dam downstream using considering MD-FDA method based on GIS data. Firstly, flood water level with FLDWAV (Flood Wave routing) model was input into cross section layer based on enforcement drainage algorithm, water depth grid data were created through spatial calculation with DEM data. The value of asset of building and agricultural land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 was evaluated using building layer from digital map and agricultural land map from landcover map. Also, itemized flood damage was calculated by unit price to building shape, evaluated value of housewares to urban type, unit cost to crop, tangible and inventory asset of company connected with building, agricultural land, flooding depth layer. Flood damage in rainfall frequency of 200 year showed 1.19, 1.30 and 1.96 times to flood damage in rainfall frequency of 100 year, 50 year and 10 year respectively by flood damage analysis.

A Study on the Database Design for Road Facility Management (도로 시설물관리를 위한 자료기반 설계에 관한 연구)

  • 박운용;차성렬;신상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3 no.1
    • /
    • pp.21-30
    • /
    • 1995
  • As it is being changed to information society with high economic development, every kind of work is being specialized and diversified in the aspects of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GSIS) is getting more important because it can integrate the attribute, the image and the written data of objects including the site one. The purpose of GSIS is to integrate such geo-spatial data as the situation of public facilities, land uses and its sketch and statistics which are scattered in every administration department. Additionally, GSIS can make users get the goo-spatial information easily through computer, and can also do it worthier.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ransportation data is need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oad-related operations. This can be accomplished by analysing various operation about road management and the utilization of base maps. Thus, in this study, effective road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GSIS database was developed for the management of various types of drawings and data using in various tas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