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측치수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udy on the Perception of Somatotype for Men's Lower Body in the 60s and the 20s (60대와 20대 남성의 하반신 체형에 대한 인식 연구)

  • Lee, Young-Ju;Kim, Hyun-Jin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2 no.5
    • /
    • pp.777-78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men's lower body shape in the 60s with that in the 20s. On hundred and seven men in the 60s and 178 men in the 20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measur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t was perceived that men in the 60s had broader girth but lighter weight than men in the 20s. The research revealed that men in the 60s was more satisfied with their lower body shape than men in the 20s. 2. It was also found that the ideal size of men in the 60s was broader in the girth of their waist and hip, shorter in their height, and lighter in their weight compared to men in the 20s. 3. 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shape between men in the 60s and the 20s. The satisfaction with their lower body shape of men in the 60s was more affected by their perception than by their real measured size.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of men in the 20s was affected by their perception as much as by their measured size. 4. If we look a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relation with their body types, we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girth of their waist, abdomen, hip, and weight depending on their body types. And men in the 20s showed greater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ir body types, compared to men in the 60s. 5. The measured size of men in the 20s had greater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body types than that of men in the 60s. On the contrary, the ideal size of men in the 60s had greater differences than that of men in the 20s.

  • PDF

Analysis on the Effect of Infiltration Collector Well Installation on the Water Control (침투통의 설치에 따른 치수효과 분석)

  • Shim, Jae-hyun;Lee, Cheol-kyu;Lee, Jong-kook;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98-302
    • /
    • 2004
  • In this study, the runoff reduction effect was analyzed quantitatively focusing on the infiltration collector well located in the test area.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by examining the real-time measurement field data, the runoff reduc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measured rainfall of the year 2003 by applying the analysis result, with the PCSWMM model to the Kiheung-Gugal residential area, which is selected as the test basin.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an infiltration collector well can reduce up to $65\~98\%$ of runoffs, compared to a conventional one. For measured rainfalls, an infiltration collector well was able to reduce up to $15\~23\%$ of runoffs and $3\~25\%$ of peak runoff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infiltration collector wells might vary with rainfall intensity and its duration. However, the infiltration collector well was confirmed as the one of the alternatives of runoff reduction facilities in urbanized catchment.

  • PDF

Differences in Flood Runoff Regarding Climate Changes Utilizing GSSHA Model on the Bukhan River Basin (GSSHA를 활용한 북한강 유역 미래 홍수량 변화 예측 연구)

  • Shin, Jea-Whan;Jang, Suk-Hwan;Choi, Hong-Chan;Yoon, T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39
    • /
    • 2022
  • 최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한기후일수 증가, 이상기후 등의 환경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이·치수 측면에서 물관리 정책 수립 등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산악지형이 많고 수계형태가 복잡한 지형적 특성과 여름철에 연강수량이 집중되는 계절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 대상 유역은 DMZ 이북의 미계측 유역을 포함한 북한강 전체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요 댐 유역별로 세분하여 6개 댐유역(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평댐, 팔당댐)에서 홍수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상류의 미계측 유역을 분석하기 위해 격자기반으로 매개변수의 물리적인 계산이 가능한 분포형 모형인 GSSHA 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온실가스 저감 정책의 실현 여부에 따른 저탄소 및 고탄소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미래 전·중·후반기의 기간별로 적용하여, 현재를 포함한 7가지 시나리오를 반영하였다. 연구결과, 미래 전반기에서는 홍수량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 중반기 및 후반기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유역별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탄소 배출 농도에 따른 평균 홍수량 변화율은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1.03 %에서 +4.01 %,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4.54 %에서 +17.73 %로 나타났다. 저탄소와 고탄소 시나리오를 비교하면 홍수량 변화율 차이는 미래 기간 및 소유역 마다 상이하지만, 최소 359 %에서 최대 527 %까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인류의 탄소저감 노력은 기후변화 자체를 막을 수는 없으나, 그 영향을 최대 5배 이상 감소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강 유역의 미래 기간별 확률홍수량 예측값 및 수문특성의 변화 전망을 주요 댐 유역에서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가 향후 기후변화에 대비한 이·치수 정책 마련 및 접경지역의 재난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Block Patterns for of Korean fashion Models (졸업작품 패션쇼 모델의 치수에 적합한 원형 연구)

  • Park, Sang-Hee;Kang, K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2 no.6
    • /
    • pp.999-1011
    • /
    • 2008
  • To most of the students studying fashion related major, the graduation fashion show is a big challenge. They have to put together all they learn and show what they can do to their future employers. They design, pattern work, and make up garments for the show all by themselves. Unfortunately. while they make up their garments, they usually don't Dow exactly body measurements of the models. So quite often they have to alter their art works up to the last minute of the fashion show opening. Sometimes such unadequate work process ruins thei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lock patterns of Korean fashion models measurements for basic items, such as jacket and pants for male models and torso length block pattern, skirt and pants for female models. 20 male and 20 female professional models were measured. The block patterns were based on their measurements. After the first fitting test, patterns were corrected by their body characteristic. For both male and female models, it was found desirable to fix the shoulder width and make an adjustment to the patterns with a deviation of width and girth items. In case of the resultant patterns the satisfaction was made better. Model siz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closer to the size of average models, since they were based on A-grade model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Korea. The resultant patterns can be produced by simply making a slight adjustment to the width of the proposed pattern in this study.

The Size and Structural factors of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Girls' Hands (학령기 여아의 손 치수 및 구조요인 분석)

  • Jeon, Eun-Kyung;Suk, Eun-Young;Park, Soon-Je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3 no.6
    • /
    • pp.1023-1029
    • /
    • 2004
  • In the current study, we measured the hands and other representative body items of 223 elementary school girls using Martin Anthropometer and a digital camera so that we would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both size and shape of hands for design of hand-related products. As time goes on, hands get bigger, yet they get thinner at the same time. The data implies that the frame of hands grows, but the skin fat lessens, which could be a determinant factor in the size system of hand-related produ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on 26 hand items, 5 factors including hand laterality and linearity, fingertip shape, finger breadth, and hand depth, have been extracted. Pearson's correlation showed that most of hand-related factor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other body items. Finger breadth and hand depth, however, were found less related to other body items. The ANOVA test used in testing the difference of hand factors showed, in most items, a difference by ag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gertip breadth, the third factor, Interestingly, in hand depth, the fifth factor, lower grade girls' hands were thicker than higher grade girl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size system of uniformly increasing the size of all hand parts by age groups should be reconsidered and leaves much for improvement.

  • PDF

Case Study : Experimental Study for restoration of Woljeong Piers (Case Study : 월정교 복원 설계를 위한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Son, Byung-Ju;Kim, Su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43-947
    • /
    • 2008
  • 월정교는 국내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석교로써 복원 사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문화재 자체만의 복원이 아닌 주변 지형까지 복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월정교는 발굴정보에 따라 4개의 교각을 옛 모습 그대로 복원하고, 격자판 형식의 세굴보호공 역시 그대로 재현하도록 계획되었다. 복원교량의 설치는 기존 하도의 통수능 감소와 상류부 수위상승을 가져올 수 있고 교각주변에 발생되는 와류는 국부세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리영향에 의한 설계의 적정성 및 수리 안정성 검토와 세굴영향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교각 주변의 하상 보호를 위해 설치된 옛 방식의 격자형 틀을 이용한 사석보호공은 옛 모습 그대로의 복원에 앞서 반드시 사석의 전단붕괴, 유사이탈붕괴 등의 수리학적 안정성에 대해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실험의 목적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남천에 대해 기 수립된 하천계획 하에서 월정교 복원시 치수안전성을 검토하고 복원될 월정교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며 특히, 교각 주변에 설치될 옛방식의 격자판 세굴보호공의 수리학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기 수립된 하천계획 상에서 허용되는 홍수들을 모형에서 재현하여 해당 홍수발생시 관심지역의 수위, 유속, 유황 등을 계측, 평가함으로써 치수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세굴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교각주변을 이동상으로 제작하여 모형사를 포설한 후 세굴영향을 측정하고, 계획된 보호공의 세굴 방지 효과를 검토하였다.

  • PDF

Estimation of Precipitation Correction Factor and Flood Runoff Analysis of Urban Stream using Distributed Model and the Radar Image (레이더 영상과 분포형 모형을 활용한 도심하천의 홍수유출해석 및 강우보정계수 산정)

  • Kang, Bo-Seong;Yang, Sung-Kee;Jung, Woo-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44-544
    • /
    • 2016
  • 최근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 홍수가 계절과 관계없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국지성 호우 및 태풍의 영향으로 인한 홍수피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강우 관측 및 홍수량 산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많은 수문학적 연구와 기술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강우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 가능한 레이더영상 자료의 활용성이 증대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제주도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공간적 특성을 격자기반으로 분석하고 매개변수 산정 시 경험적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분포형 모형인 Vflo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레이더 영상자료 및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rc-GIS를 이용하여 제주도 도심하천인 외도천 유역의 지형적 지리적 특성(DEM, 토양도, 토지피복도 등)을 $30m{\times}30m$ 격자크기로 분석하고, 레이더영상 자료로부터 강우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분포형 모형(Vflo)을 활용하여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FSIV기법을 통해 현장 관측한 유출량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레이더 영상자료로부터 추출한 강우자료는 AWS자료를 활용하여 제주도에 적합한 강우보정계수를 산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향후 제주도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하천기본계획 및 유역종합치수계획 등 치수계획 수립 시 많은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Flood Runoff Analysis of Urban Stream Using Distributed Model (분포형 모형을 활용한 도심하천의 홍수유출해석)

  • Kang, Bo-Seong;Yang, Sung-Kee;Park, Jae-Ho;Woo, J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2-223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및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매년 많은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지리적 특성상 태풍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집중호우, 돌발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연중 노출되어 있으며, 이상기후로 인한 일강우량의 경신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홍수피해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홍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홍수량 산정을 통한 하천기본계획 및 치수계획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실무에서는 홍수량 산정 시 대부분 HEC-HMS 모형을 활용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이 아닌 분포형 모형인 Vflo를 활용하여 제주도심하천의 홍수유출을 해석하였다. 도심하천인 외도천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Arc-GIS를 이용하여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등 지형인자들을 $30m{\times}30m$ 격자크기로 나누어 매개변수로 구축하였다. 제주도는 강우관측소가 조밀하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강우자료의 경우는 레이더영상 자료로부터 추출하여 G/R 기법을 적용하여 보정하였다. 2012년 7월 태풍 카눈은 RMSE 2.6954와 0.9115, 8월 집중호우는 RMSE 2.5703, $R^2$ 0.9202, 9월 태풍 산바는 RMSE 2.1569, $R^2$ 0.9842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홍수량 산정 방법 정확도 비교를 위해 현장관측자료(FSIV)를 분석한 유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Vflo를 활용한 홍수량 산정 방법은 미계측 유역이 많은 제주도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홍수량 산정 방법을 통하여 하천기본계획 및 유역종합치수계획 등 치수계획 수립 시 많은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Optical Technology of Mechanical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21세기 기계산업의 변화 - 광기술의 발전 동향)

  • Joo, Ki-Nam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5 no.1
    • /
    • pp.53-61
    • /
    • 2017
  • In this review paper, the trend for optical technology is described as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Optical technology has been essential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mechanical, electronic industries as the convergence technology. Based on the roadmap of optical science and technology, 12 working groups are categorized as the technical point of view and most of them are closely related to mechanical industries. Especially, solid-state lighting, optical metrology and industrial laser processing are important technologies in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This paper introduces these optical technologies and their technological issues to look into the development trends and expectation.

Development of Hole Inspection Program using Touch Trigger Probe on CNC Machine Tools (CNC 공작기계 상에서 접촉식 측정 프로브를 이용한 홀 측정 프로그램 개발)

  • Lee, Chan-Ho;Lee, Eung-Su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2
    • /
    • pp.195-201
    • /
    • 2012
  • According to many customers' requests, optical measurement module (OMM) applications using automatic measuring devices to measure the machined part rapidly on a machine tool have increased steeply. Touch trigger probes are being used for job setup and feature inspection as automatic measuring devices, and this makes quality checking and machining compensation possibl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use of touch trigger probes for accurate measurement of the machined part has been studied and a macro program for a hole measuring cycle has been developed. This hole is the most common feature to be measured, but conventional methods are still not free from measuring error. In addition, the eccentricity change of the least square circle was simulated according to the roundness error in a hole measurement.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is study, the developed hole-measuring program was executed to measure the hole plate on the machine and verify the roundness error in the eccentricity simulation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