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제적 부양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연금개혁 제도의 확산에 관한 비교연구 - 전세계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의 확산을 중심으로 -

  • Heo, Man-Hyeong
    • 한국정책학회보
    • /
    • v.21 no.4
    • /
    • pp.147-172
    • /
    • 2012
  • 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나타난 세계 각국의 정책이슈 중 하나는 연금개혁이었다. 유럽과 중남미는 1980년대, 1990년대 및 2000년대 초, 그리고 나머지 대륙에서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 걸쳐서 연금개혁을 단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중층연금제도의 근간이 되는 동유럽의 개인연금과 서남북 유럽의 퇴직연금의 확산요인을 Cox 사건사 분석방법으로 파악한 후 비교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정책확산 메커니즘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지역에서 공히 사회적 압력요인 중에서는 인구규모가 영향을 미쳤고, 경제적 압력요인 중에서는 경제활동인구의 감소가 영향을 미쳤으며, 외부영향요인 중에서는 수평적 이웃효과가 영향을 미쳤다. 정책확산의 관점에서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와 이에 따른 노인부양비율은 국내에서의 일부 연금개혁과 같은 정책에는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지만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의 도입과 같은 정책확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책확산 메커니즘의 관점에서 보면 사회적 압력, 경제적 압력, 그리고 수평적 이웃효과가 상호작용을 하면 정책확산으로 인한 정책변동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Preliminary Study on the Japanese Gender Policy Measures in the 1990s (1990년대 일본여성노동력에 대한 사회적 보호정책의 새로운 흐름)

  • 김미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163-195
    • /
    • 1999
  • 이 글은 '강력한 남성 부양자'국가로서 90년대 일본사회가 제시한 여성노동력에 대한 사회적 보호정책을 살펴보고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논의의 초점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어머니로서는 보육정책을, 노동자로서는 노동정책을, 부인으로서는 사회보장 정책에 대한 논의가 그것이다. 보육정책의 경우 급격한 소자녀와 추세에 따라서 94년에 도입된 "엔젤 플랜"의 성격을 소개하였다. 노동정책은 99년 4월 실시된 개정 '노기법', 균등법', 휴업법' 내용을 다루었다. 정책내용에 담겨 있는 성이 여성의 규정방식을 평가하였다. 90년대 이후 지속되는 일본경제의 장기 불황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사조는, 90년대 이루어진 여성노동력에 대한 사회적 보호정책 개정의 효과를 반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최근 개정된 일련의 여성노동력에 대한 사회적 보호정책의 기조는 '강력한 남성부양자' 국가인 일본사회의 남성 중심성을 수정 보완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 PDF

The Effects of Government Spending in Korea: a FAVAR Approach (FAVAR 모형을 이용한 한국 정부지출의 효과 분석)

  • Kim, Wongi
    • Economic Analysis
    • /
    • v.25 no.3
    • /
    • pp.100-137
    • /
    • 2019
  •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effects of government spending on macro variables and on each industry by using a factor augmented vector autoregressive model (FAVAR) and 167 macro-variables in Korea since 2000. The results reveal that the effects of two types of government spending - government consumption and government investment - greatly differ, therefore it is better to consider the two types of spending separately for a more precise analysis. The stimulus effects of government consumption are clear, but those of government investment are not. In addition, the crowding-out effects of government spending take place through the current account deficit channel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rowding-out channel, reducing private consumption and investment. Both types of government spending show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lso, an increase in government consumption stimulates output in various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18개 시군을 중심으로

  • Jeong, Seong-Ho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
    • v.48 no.3
    • /
    • pp.437-461
    • /
    • 2014
  • 최근 재정건전성에 관한 논의가 확산되면서 비과세·감면제도는 유용성 관점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경기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차원에서 비과세·감면제도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과세·감면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를 위해 강원도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지역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해 패널분석(PCSE)을 수행하였다. 패널분석 결과, 비과세·감면, 비과세, 감면 등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비과세·감면 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변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비과세·감면정책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것이라는 정부의 주장은 다소 설득력이 낮다.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감면총액과 감면(조세특례제한법, 감면조례)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지방세법 상 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군의 경우 지방세법 상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감면조례에 근거한 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석결과에 근거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과세·감면을 시행하면서 지방세수확충을 위해 또 다른 재정보전을 하고 있으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그리 크지 않고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비과세·감면의 규모를 줄이고 세수 확충을 통한 재정지출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방세법상 감면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고,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감면조례에 근거한 감면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The Factors that Influence Amount and Types of Informal Caregiving to the Severely Disabled Elderly (중증장애노인의 비공식 보호 제공량과 유형의 결정요인 연구)

  • Park, Chang-Je;Kim, Ki-Ta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4
    • /
    • pp.203-2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empirically study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amount and types of Informal caregiving to severely disabled elderly who have functional limitations. For this research, a set of caregivers living with the severely elderly were surveyed.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211 caregi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uggest that a variety of factors determine informal caregivers do systematically determine their allocation of time to the provision of elderly care. The results of four OLS regressions using data surveyed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zed role of income is supported in model 1 of the four regression models. Second, the technological components of informal care produc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caregiving hours include the number of ADLs and IADLS needs help, the number of caregivers in the team, the utilization of formal services. Third, any component of production technology of household goods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caregiving hours. Fourth, the components of preferences significantly influence caregiving hours include caregiver's participation in market work, willingness money to pay market-purchased care for the elderly.

  • PDF

A Study on Parental Beliefs, Value of Children and Filial Obligation of the unmarried (미혼 성인의 자녀양육신념 양상과 자녀에 대한 가치 및 부모 부양의무감간의 관계)

  • Cho, Bok Hee;Jung, Min Ja;Kim, Yeon Ha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3 no.2
    • /
    • pp.22-4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arental beliefs, value of children, and filial obligation were related. The subjects were 748 students(male 323, female 425) who were currently enrolled at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Filial Obligation Scale(Cho, 2002), Parenting Beliefs Questionnaire, and Value of Children by Arnold et al.(1975, 2001).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s by SPSS PC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generally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individual-oriented beliefs than relation-oriented beliefs on parental beliefs. With regard to parental beliefs, family relation-oriented beliefs was relatively low in comparison with independence/autonomy-oriented beliefs, happiness-oriented beliefs, and cognition/knowledge-oriented beliefs. In addition, emotional value of children was relatively high in comparison with instrumental value of children. Also, male university students possessed a higher level of filial obligation. the level of cohabitation experience with their paren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ffecting the level of filial obligation. Unsurprisingly, a higher relation-oriented parental beliefs and emotional value of children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filial obligation. There were also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value, instrumental value, and filial obligation.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actical, functional training services and resources for future parents must be ensued.

  • PDF

The Level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in 15 OECD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Family Policy (부모.부성휴가를 통해본 남성 돌봄 노동참여 지원정책 비교 : 경제협력개발기구 15개국을 중심으로)

  • Yoon, Hong-Si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8 no.2
    • /
    • pp.223-24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OECD countries in regard to levels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Several meaningful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examining the level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and the strength of the traditional bread-winner model, OECD countries can be classified into 5 different clusters. The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typology of welfare states and suggests the new typology of welfare states. Second, the level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and the strength of the traditional bread-winner model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otal fertility rates and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rates. Third, in regard to the level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Korea was the lowest among OECD countries. This result points to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to the low level of total fertility rat, and low rate of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in Korea.

  • PDF

Lifestyles of Korean Older Adults - Focusing on the consumption pattern and its determinants - (한국노인의 생활양식 분석 : 소비패턴과 그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 Lee, So-Ch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0 no.3
    • /
    • pp.327-34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verse lifestyles of Korean older adults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older households and its determinants. The 9th wave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was used for analysis. The twenty consumption items provided by the dataset was reduced to thirteen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purpose inherent in the item. K-means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to categorize the consumption pattern of older households an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nsumption pattern of Korean older adults was clustered into six distinctive groups named Breadwinner, Leisure-time pursuer, Friendly outgoes, Daily-life survivor, Illness sufferer and Shelter seeker. Breadwinner, Leisure-time pursuer and Friendly outgoes were lifestyles that earn and spend more compared to the other three. Nevertheless, they differed according to the family size, indicating that the parenting burden might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lifestyle of Korean older adults. Older adults without parenting burden and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and economic capacity were likely to show Friendly outgoes lifestyle. On the other hand, Daily-life survivor, Illness sufferer and Shelter seeker showed lower level of spending, indicating that for those lacking in economic capacity, urgent needs such as medical need or housing need dominates the lifestyle. The results call for adequate custom policies that best fit the needs of older adults.

Effect of Fiscal and Non-fiscal Variables on Regional Economy: The Case of 16 Wide-area Autonomous Communities in Korea (재정변수 및 비재정변수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Park, Wan Kyu;Kim, Du-Su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3
    • /
    • pp.554-566
    • /
    • 2014
  •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economic power defined as GRDP per capita and various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fiscal variables(revenue, expenditure, etc.) as well as nonfiscal variables(population, ratio of old population, unemployment rate, dependency ration) using the pooling data of 16 local governments from 1998 to 2012. To put it concretely, following the Granger causality test,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done with the regional economic power being the dependent and variables which have either one or two direction causality being independent variables. And test of cumulative effects has been done with variables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regression analysis. Local tax revenues per capita, expenditures of social development per capita and median age have positive effects, while dependency ratio has negative effect on regional economy. And national subsidy per capita, local tax revenues per capita, expenditures of social development per capita and median age all have cumulative effects on regional economy.

  • PDF

한국경기순환(韓國景氣循環)의 원인(原因) : 구조모형(構造模型)에 의한 분석(分析)

  • Baek, Ung-Gi;Lee, Jin-My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3
    • /
    • pp.3-44
    • /
    • 1994
  • 본교(本橋)는 백터자기회귀모형(自己回歸模型)(VAR)에 비하여 작성과정이 까다롭고 복잡하지만 경제구조의 파악이 용이하고 경제체계내에 주어진 충격의 해석이 분명한 연립방정식(聯立聯立方程式) 구조모형(構造模型)을 사용하여 경기순환(景氣循環)의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새로 작성된 경기순환모형(景氣循環模型)은 거시경제(巨視經濟) 분기모형(分期模型)으로서 추정기간은 1972년부터 1992년까지 21년으로 통계청(統計廳) 기준의 제1순환기부터 제5순환기까지 포함하고 있으며, 경기순환(景氣循環)의 원인분석을 위해서 가상적(假想的) 시뮬레이션(counter factual simulation)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고(本稿)는 향후 경기순환(景氣循環)의 안정(安定)을 도모하거 위해서 다음의 몇가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건설투자(建設投資)는 경기변동(景氣變動)의 진복(振福)을 확대(擴大)시켜 온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경기부양(景氣浮揚) 및 경기진정(景氣鎭靜)을 위한 정책변수로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정부가 경기변동(景氣變動)을 감지(感知)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며, 경기변동(景氣變動)의 체감 직후 건설투자(建設投資)를 통해서 경기부양(景氣浮揚) 혹은 경기진정(景氣鎭靜)을 이루고자 하더라도 정책수립부터 정책효과의 가시화(可視化)에까지 이르는 시차(時差)로 인하여 건설투자(建設投資)가 정부의 의도와는 반대로 경기순행적(景氣順行的)인 역할(役割)을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통화(通貨)가 생산(生産) 및 물가변동(物價變動)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상충관계(相衝關係)(trade-off) 에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정부는 민간신용(民間信用) 등 통화변수(通貨變數)를 경기조절수단(景氣調節手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전에 정책효과(政策效果)를 충분히 고려해서 시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해외도매물가(海外都賣物價), 원유도입가격(原油導入價格) 및 국제상품가격(國際商品價格) 등 해외물가변수(海外物價變數)의 변동은 GNP는 물론이고 큰 폭의 물가변동(物價變動)을 초래하기 때문에, 해외부문(海外部門)의 충격에 따른 경기변동(景氣變動)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정부는 유가자유화(油價自由化)를 통한 유류가격안정(油類價格安定)및 원유비양수준(原油備養水準)의 제고(提高), 해외원자재(海外原資材) 수입선(輸入先)의 다변화 등을 통하여 해외물가충격(海外物價衝擊)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