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ors that Influence Amount and Types of Informal Caregiving to the Severely Disabled Elderly

중증장애노인의 비공식 보호 제공량과 유형의 결정요인 연구

  • Park, Chang-Je (Dept. of Family Welfare, Jinju International University) ;
  • Kim, Ki-Tae (Dept. of Social Welfar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창제 (진주국제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 김기태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d : 200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empirically study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amount and types of Informal caregiving to severely disabled elderly who have functional limitations. For this research, a set of caregivers living with the severely elderly were surveyed.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211 caregi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uggest that a variety of factors determine informal caregivers do systematically determine their allocation of time to the provision of elderly care. The results of four OLS regressions using data surveyed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zed role of income is supported in model 1 of the four regression models. Second, the technological components of informal care produc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caregiving hours include the number of ADLs and IADLS needs help, the number of caregivers in the team, the utilization of formal services. Third, any component of production technology of household goods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caregiving hours. Fourth, the components of preferences significantly influence caregiving hours include caregiver's participation in market work, willingness money to pay market-purchased care for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비공식 부양자가 기능제안이 있는 중증 장애노인에게 제공하는 노인보호의 양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중증장애노인을 수발하고 있는 주부양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사용 가능한 211부를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서 부양상태에 대한 확률 추정과 보호제공시간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부양상태와 부양결정에 관련된 요인들에 대하여 유의미안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보호제공시간 시간량에 OLS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첫째 소득은 총가족보호시간에 회귀한 모형 1에서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양생산기술의 구성요소들 중 일상생활동작제한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제안, 부양팀원수, 공식서비스 이용이 보호제공량에 유의미한 영양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계생산기술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부양시수에 유의한 영양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양자 선호의 구성요소에서는 부양자의 경제활동 여부, 노인보호 구입을 위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