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 교육자

Search Result 82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손상으로 입원한 전·후기 노인의 융복합 비교분석 (Convergence Comparative Analysis of Young-Old and Old-Old Patients Hospitalized Owing to Injury)

  • 선미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75-83
    • /
    • 2020
  • 본 연구는 손상으로 입원한 노인을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으로 구분하여 전·후기 노인의 일반적 특성, 주진단명 특성, 손상관련 특성 및 운수사고 유형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복합표본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은 전기 노인은 건강보험이 높은 반면, 후기 노인은 의료급여가 높게 나타났다. 주진단명 특성은 전기 노인은 뇌 손상이 높았고 후기 노인은 대퇴골 골절이 월등히 높았다. 손상관련 특성은 전·후기 노인 모두 낙상이 가장 높았고, 후기 노인에서 손상발생장소로 가정이나 주거지가, 일상생활 중, 의도성 자해가 높았다. 운수사고 유형은 전기 노인은 승용차 운전자가 높았고, 후기 노인은 보행자 사고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후기 노인은 전기 노인에 비해 더 많은 의료서비스, 경제적 지원, 주거지 중심의 낙상 예방 대책 및 자살 등 의도적 손상 예방을 위한 사회 심리적 전략이 요구되며, 후기 노인의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 및 도로 등 안전한 보행 환경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아동발열관리에 대한 인터넷 정보의 평가 (Evaluation of Internet Information on Childhood Fever Management)

  • 정용선;김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702-713
    • /
    • 2012
  • 본 연구는 아동의 발열 및 발열관리에 대해 부모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아동의 발열과 발열관리에 대한 국내 사이트 총 48개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인터넷 사이트의 최신성, 개발자, 자료의 원출처, 목적성 및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정보의 정확성은 아동의 발열관리 지침과 최신의 근거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정보의 내용은 전반적으로 미비했고 최신의 근거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국내 인터넷 사이트의 발열관리 정보의 정확성과 일관성은 매우 취약하여 부모들이 정보의 근원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건강관리자들은 발열관리 인터넷 사이트 정보의 현황을 인식하고 임상실무와 부모 교육 시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며, 아동 발열관리에 대한 인터넷 사이트 정보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군인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구강환경변화와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Awareness towards oral health environmental changes and oral health in smokers and non-smokers in soldiers)

  • 김한솔;신보드미;고은주;김시온;조효선;박성은;강재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towards oral health environmental changes and oral health in smokers and non-smokers in soldiers. Methods : Data were obtained from 350 soldiers serving at Unit M in Gwangju and Gyeonggi-do and ROTC candidates at University Y in Gyeonggi-do from April 28 to May 5, 201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and a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05. Results : Non-smokers had more knowledge on tooth staining or gum diseases than smokers(p<0.05). The awareness towards the causes of oral cancer was not much different between the smokers and the non-smokers. The soldiers having dental health education tended to smoke less than those who had no education(p<0.05). The awareness towards individual oral health revealed no difference between the smokers and the non-smokers. Non-smokers had higher subjective knowledge on of the importance of the oral health, smoking influence on the oral health, and secondhand smoking impact on the health(p<0.05). Conclusions : The oral health education by the dental hygienists is very important in the military camps. Non-smokers tended to have higher knowledge on oral health than the non-smokers.

사무직근로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요인 (The Degree of Musculoskeletal Discomfort of Officers)

  • 심미정;손인아;홍성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49-258
    • /
    • 2009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들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호소율과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은 KOSHA Ccode H-30-2003의 지침에 의거 증상I과 증상II는 어깨와 목 부위, 증상III과 증상IV는 허리부위가 가장 발생빈도가 높았다.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호소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목 부위의 통증은 휴식유무, 근무 중 육체적 부담, 키보드, 어깨부위 통증은 성별과 근무중 육체적 부담, 손부위 통증은 육체적 부담과 의자의 느낌, 허리부위 통증은 휴식. 어깨운동, 육체적 부담으로 나왔다. 결론적으로 사무직 근로자는 근무여건상 근골격계의 과도한 긴장과 불편감이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건강 교육의 실시와 스트레칭 및 신체부위별 간단한 운등법 활용 뿐 아니라 예측가능한 관련요인의 개선으로 근골격계 증상호소율을 낮추기 위한 자구노력이 필요하다.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농약중독 경험과 관련요인 (The Experience of Pesticide Poisoning and It's Related Factors in a Rural Area)

  • 임경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2권1호
    • /
    • pp.35-41
    • /
    • 1997
  • 본 조사는 농민들의 농약사용실태와 농약사용으로 인해 야기되는 건강문제를 파악하므로써 이에 대한 예방대책과 개선방법 마련을 목적으로 보건진료소 관할지역내 거주하는 279가구중 100가구를 무작위추출하여 가구주를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농약의 종류를 선택할 때 과거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43.0%, 농약판매소의 권장으로 36.0%로 나타났다. 농약사용시 안전수칙에 대한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전체의 90%이며, 교육받은 기관은 농촌지도소 87.8% 보건진료소 84.4% 농약판매소 53.3% 농협 41.1% 순이었다. 교육을 받은 대상자보다 교육을 받지 않은 대상자의 농약중독 경험이 80.0%로 더 높았다. 교육후 지식이나 태도의 변화에 도움이 되었다가 78,9%로 나타났다. 안전수칙 10개항목 중 6가지이상 지킨다 76%, 그 이하가 24%로 나타났으며 6가지 이상 이행한 대상자의 중독경험은 63.2%로 5가지 이하 이행한 대상자의 중독경험 83.3%보다 낮았다. 이 중 사전에 설명서를 매번 읽는다는 25%, 가끔 읽는다 58%, 전혀 읽지 않는다 17%로 나타났으며 매번 읽는 경우가 가끔 읽거나 전혀 안읽는 경우의 중독경험(70.0%) 보다 64.4%로 낮았다. 안전수칙 불이행시 가장 흔히 경험한 신체증상으로 두통 80.9%, 현기증 73.5%, 피부질환 64.7%, 구토 41.2% 순이었다. 농약중독경험은 68.0%에서 나타났으며 60세이상 노인층에서 88.9%의 높은 중독경험을 보였다. 1회 농약 살포시간은 2시간 이내 64.0%, 2시간 이상 살포자 36%이며, 2시간 이상 농약살포후 중독경험은 77.8%였다. 보호장비 착용과 중독경험은 92.0%가 완전한 복장을 갖추지 않았고 완전한 보호장비를 착용한 경우도 62.5% 중독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약의 보관은 주로 창고나 헛간등에 보관하거나 자물쇠 없는 보관함에 관리하고 있었다. 농약사고의 원인중 보관불량으로 노인, 유아가 잘못 먹거나 만취에 의한 오음, 농약사용후의 관리불량이 전체의 2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볼 때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농약은 자물쇠 있는 보관함의필요성이 요구된다.

  • PDF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자아이미지 탐색연구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ag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Self-image)

  • 양혜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7-16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육교사의 이미지 그리고 현재 자아이미지와 미래 본인들의 보육교사 이미지를 수업(명화 분석지, 조별토론, 자아이미지 성찰지)과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어떻게 구체화 되어가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 1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보육교사들은 자신들의 현재 자아이미지를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깊이 있게 인식해보는 기회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과정들은 현재 자신의 자아이미지가 보육교사직 선택에 대한 갈등 중이며, 자존감이 낮고 자신감이 없어진 자아이미지, 열심히 보육교사직을 준비 중이지만, 불안한 자아이미지를 지니고 있음을 솔직하게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멈추지 않고, 미래를 위한 자신의 자아이미지를 위하여 예비보육교사들은 스스로 자아이미지를 새롭게 구축하려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보육교사직을 희망하고 있기에 앞으로 본인들에게 필요한 건강한 자아이미지를 위해 현재시점에서 구체적인 실천들을 계획했으며, 더 나아가서 미래에 만나게 될 동료 보육교사들과 함께 보육교사의 올바른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모습으로까지 자아이미지가 성장하고 변화되었다. 한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사실은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절실히 필요했던 것은 본인들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존중해주며, 자신감을 불어넣어주는 교사교육자의 역할이었다. 이는 교사교육자인 본 연구자에게도 시사하고 있는 바가 매우 크다. 예비보육교사들을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에서도 교사교육자는 학생 개개인의 수준과 관심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수업내용을 구체적으로 제공해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위한 정서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도 재인식해야 함을 절감하게 되었다. 가르침과 돌봄이 핵심어가 되는 보육교사의 이미지를 교사교육자인 연구자가 먼저 모범으로 실천해야함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생활습관과 흡연경험의 연관성: 흡연경험자와 비경험자의 비교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s lifestyle habits and smoking experience: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smokers)

  • 강세리;이경희;조상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44
    • /
    • 2024
  •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활습관과 흡연경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제17차(2021년) 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으로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796개 학교 54,84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변수는 일반적특성, 흡연유무와 생활습관인 식습관, 신체활동습관, 수면습관, 스트레스인지정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흡연유무에 따른 일반적특성과 생활습관의 차이는 빈도분석과 Pearson Chis-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생활습관이 흡연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8을 이용하였고 p<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흡연경험이 없는 그룹보다 남학생이 더 많았다(67.4% : 50.1%)(p<0.001).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아침식사를 0일 하는 경우(27.7%), 과일섭취를 0번하는 경우(17.8%), 패스트푸드를 매일 3번이상 먹는 경우(0.9%)가 더 많았다(p<.001).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습관은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60분 이상 숨이 찬 정도의 신체활동을 주 7회 하는 경우(8.4%), 고강도 신체활동을 주 5일 이상 하는 경우가(18.7%)가 더 많았다(p<.001). 수면을 통해 피로회복 정도는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전혀 충분하지 않다(21.6%)와 평상시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아주 심한 경우(17.2%)가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더 많았다(p<.001). 생활습관과 흡연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를 0일 하는 경우가 매일 하는 경우 보다 흡연가능성이 증가하였으며(OR=1.759, p<.001), 과일섭취를 0번 섭취하는 경우가 매일 3번 이상 섭취하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OR=1.921, p<.001). 패스트푸드 섭취를 0번 하는 경우는 매일 3번 이상하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 감소하였다(OR=0.206, p<.001). 수면으로 피로회복정도가 충분한 경우는 충분하지 않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 감소하였으며(OR=0.458, p<.001),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느끼는 경우는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OR=1.260, p<.05). 결론: 청소년의 생활습관은 흡연경험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흡연 예방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시 흡연행위 뿐만아니라 생활습관을 고려하여 다각적인 측면으로 교육 및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건강하고 올바른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청소년의 흡연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대한민국 특수임무유공자(수행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분노표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and Anger Ex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of Korean Special Mission National Merit (Performer))

  • 김윤영;김태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481-49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특수임무유공자(수행자)들의 삶의 질, 분노표현, 자살생각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들이 느끼는 삶의 질과 분노표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16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대한민국 특수임무유공자(수행자) 362명의 일반적 특성을 비롯한 삶의 질, 분노표현, 자살생각을 조사하여 SPSS 23.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은 분노표현(r=-.151, p<.001)과 자살생각(r=-.539, p<.001)과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분노표현의 경우 자살생각(r=.601, p<.001)과 정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과 분노표현은 자살생각에 대하여 42.9%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특수임무유공자(수행자)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대상자들의 자살예방을 위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적인 대책마련과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및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율적 운영이 요구된다.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Working Life of Older Wage Earners: Focusing on the Elderly in Seoul)

  • 박지숭;윤민석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497-516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임금근로자 12명을 대상으로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이 갖는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Giorgi(2012)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349개의 의미단위, 35개의 중심의미, 16개의 드러난 주제(하위 구성요소), 그리고 6개의 본질적 주제(구성요소)를 구성하였다. 본질적 주제는 괄시와 편견을 견디는 삶, 노년의 포도청(捕盜廳), 을 중의 을로서의 멍에, 뛰어 넘을 수 없는 벽, 일을 통해 청년의 시간 되살리기, 노동 자존감이었고, 이러한 6개의 본질적 주제는 '고단한 노년의 삶 속에서 간헐적으로 느끼는 작은 행복'으로 귀결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령 임금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불안정한 고용환경으로 인해 삶이 고단하지만, 노년에도 일을 할 수 있다는 안도감과 노동을 통한 자긍심을 통해 고단함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령임금근로자들에게 일은 경제적 고민을 덜어 줄 뿐만 아니라 노동을 통해 노년기 자존감을 높여주고 건강을 유지하게 해 주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일하는 노년의 삶은 고단하다. 그러나 노동 자체가 고령 임금근로자의 삶을 고단하게 만들기보다는,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겪는 부당한 처우와 사회적인 편견, 괄시가 일하는 삶의 무게를 가중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일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부당한 근로환경은 인권보호의 관점에서 사회적 논의와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고령자들의 경험을 활용해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셋째, 고령 근로자들이 컴퓨터를 활용한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컴퓨터 및 인터넷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the Parenting Experience of Adolescents)

  • 최지원;김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37-854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양육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지역의 중학교 1~3학년 자녀의 주 양육자 7명으로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각 참여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녹취한 후 전사한 축어록과 인터뷰 요약 내용인 문서 등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이 서술한 경험과 행위에 대한 인식을 연구자가 의미화 할 수 있는 Smith & Osborn (2003)의 해석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자료 분석 결과 6개의 대주제와 25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들의 양육 경험에서 도출된 결과는 크게 6가지로 자녀와 함께 시간보내기의 함의, 당연하지 않은 당위 행동, 표현의 미학, 에너지의 충전 방법, 자녀에게 남기고 싶은 정신적 유산, 유연성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임상 실천 분야에서 어머니들이 어떻게 청소년기 자녀와 상호작용해야할 지에 대한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예방적이고 교육적인 차원에서 청소년기 자녀의 어머니들이 양육자로서 자녀와 어떤 상호작용을 하면 좋을지에 대한 건강한 반응의 제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