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gree of Musculoskeletal Discomfort of Officers

사무직근로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요인

  • 심미정 (광주보건대학 간호과) ;
  • 손인아 (가천의과학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 홍성기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김포소방서 통진읍 119안전센터)
  • Published : 2009.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usculoskeletal discomfort and the physical region related symptoms. The outcome of the study uses KOSHA Code H-30-2003 which defines possible symptoms into different categories. Symptom I, ll showing the highest occurrence rate in shoulder and neck regions and most of Symptom III, IV come from back regio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usculoskeletal discomfort vary in different parts of the body. In the neck region, the discomfort related to rest and the computer keyboard. Gender affects the magnitude of pain in the shoulder region. Wrist pain is related to the chairs being used and back discomfort is influenced by shoulder exercise and the degree of rest taken. Physical fatigue due to work affects all the regions mentioned above. Conclusively, office workers are prone to the musculoskeletal discomfort due to their work environment. To alleviate this problem, the workers need to be educated with proper long-term musculoskeletal related health programs and exercise program containing various stretching methods. In addition, the effort to improve the variables in this study would help to reduce the rate of musculoskeletal discomfort.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들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호소율과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은 KOSHA Ccode H-30-2003의 지침에 의거 증상I과 증상II는 어깨와 목 부위, 증상III과 증상IV는 허리부위가 가장 발생빈도가 높았다.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호소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목 부위의 통증은 휴식유무, 근무 중 육체적 부담, 키보드, 어깨부위 통증은 성별과 근무중 육체적 부담, 손부위 통증은 육체적 부담과 의자의 느낌, 허리부위 통증은 휴식. 어깨운동, 육체적 부담으로 나왔다. 결론적으로 사무직 근로자는 근무여건상 근골격계의 과도한 긴장과 불편감이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건강 교육의 실시와 스트레칭 및 신체부위별 간단한 운등법 활용 뿐 아니라 예측가능한 관련요인의 개선으로 근골격계 증상호소율을 낮추기 위한 자구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장기언, 안전보건정보서비스(KOSHANET). 세미나-워크샵-보고서 발표자료 ; 근골격계 질환은 방치해도 되는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0.
  2. 김재찬, "VDT 증후군(영상표시단말기증후군)", 대한의사협회지, 제42권, 제8호, pp.754-759, 1999.
  3. 한국산업안전공단, 작업관련성질환의 산업의학적 관리 모델개발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5.
  4. 노동부, 2001 산업재해현황자료, 2001.
  5. 노동부, 2003 산업재해현황자료, 2003.
  6. 노동부, 2008 산업재해현황자료, 2008.
  7. 한국산업안전공단, 작업특성에 따른 인간공학 적 유해요인 평가방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8. 김돈규, 조수현, 한태륜, 권호장, 하미나, 백남종, "VDT 업무가 근골격계 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0권, 제4호, pp.524-533, 1998.
  9. T. Fisher and T. Gibson, "A measure of university employees' exposure to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AOHN J. Vol.56, No.3, pp.107-114, 2008. https://doi.org/10.3928/08910162-20080301-05
  10. 이경신, 규칙적인 스트레칭 운동이 컴퓨터 사용 사무직 근로자의 근골격계 통증감소 및 유연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 사업대학원 운동처방 및 재활, 석사학위논문, 2006.
  11. 심윤정, 김형아, "일부 보험심사자의 근골격계 증상호소율", Korean J. Occup. Health, 제41 권, 제3호, pp.120-130, 2002.
  12. 이의철, 김환철, 정달영, 김동현, 임종한, 박신구,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 및 VDT 작업과 목.어깨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9권, 제3호, pp.187-195, 2007.
  13. 박신구, 이종영, "일부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양상과 비차비", 대한산업안전의학회지, 제16권, 제4호, pp.422-435, 2004.
  14. 양영애, 김영희, 김용권, 허진강, 송재철, 김윤신, "VDT 작업자에 대한 흉추운동프로그램의 통증감소 및 유연성 증가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50-261, 2004.
  15. R. Arndt, "Working posture and musculoskeletal problem in video display terminal operators-review and reappraisals," J of Am Ind Hyg Assoc, Vol44, pp.437-46, 1983. https://doi.org/10.1080/15298668391405102
  16. 문재동, 이민철, 김병우, "VDT증후군 자가증 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73- 389, 1991.
  17. 심미정, "임신중 요통", 대한모자보건학회지, 제4권, 제2호, pp.271- 282, 2000.
  18. 송승미, VDT작업자의 근골격계자각증상에 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9. 양세이,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0. 황혜영, 보험심사간호사의 VDT증후군 증상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1. 김종균, 이승주, "업무관련 근골격계 질환 중 목과 어깨의 통증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 효과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43권, 제3호, pp.655-662, 2004.
  22.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질환의 산업의학적 진단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23. P. Pillastrini, R. Mugnai, C. Farneti, L. Bertozzi, R. Bonfiglioli, S. Curti, S. Mattioli, and F. S. Violante, "Evaluation of two preventive intervensions for reducing musculoskeletal complaints operators of video display terminals," Physical Therapy, Vol.87, No.5, pp.536-543, 2007. https://doi.org/10.2522/ptj.20060092
  24. A. Fenety and J. M. Walker, "Short-term effects of workstation exercises on musculoskeletal discomfort and postural changes in seated video display unit workers," Phys Ther., Vol.82, No.6, pp.578-589, 2002.

Cited by

  1. Related Factors to Musculoskeletal Discomfort Symptoms on Some Middle·High school Teachers vol.13, pp.1,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64
  2. Prevalence and potential determinants of musculoskeletal disease symptoms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outh Korea vol.11, pp.3, 2014, https://doi.org/10.1111/jjns.12023
  3. The Effect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Fruit Farm Workers vol.14, pp.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