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가정지원센터 평가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9초

광역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 및 건강가정지원센터 평가 기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unctions of Metro Healthy-Families-Center and of the Evaluation for Healthy-families-Center)

  • 송혜림;라휘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3호
    • /
    • pp.1-1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 concrete function of Metro Healthy-Families-Center and to find out the function of evaluation for Healthy-Families-Center.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0 interviewees. The findings were: 1) the major functions of Metro Healthy-Families-Center a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entral and Basic Center of Healthy Families, support for the Basic Center. 2) the evaluation for Metro and Basic Center is referred as the function of Central Center of Healthy Families. 3) the evaluation-support function of Metro Healthy-Families Center is emphasized. To the further related studie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is suggested.

  • PDF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건강가정문화 사업평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ulture Program Evaluation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 박정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3호
    • /
    • pp.25-36
    • /
    • 2008
  • The purpose of study is to evaluate a culture program at the family support centers and to suggest a development direction. Therefore evaluation indication areas are planning adaption, practice validity, and an outcome(output) satisfaction. The study subject was 40 family support centers' final repor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evaluation framework.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culture program plan described healthy of family, included various family type, family-unit program, but a clear culture program wasn't identified; second, the evaluation of culture program practice presents high goal achievement with small financial budget,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and various type of program, and finally, the program output showed high satisfaction.

가족센터 평가사업에 대한 메타평가 (A Meta-Evaluation of the Evaluation Project at the Family Support Center)

  • 강복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8권2호
    • /
    • pp.27-38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평가 분석 모형으로 가족센터 평가사업 평가자와 가족센터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가족센터 평가사업의 쟁점을 도출하여 개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 결과 평가자와 가족센터 간 집단별 평균은 5점 만점에 평가위원 4.21점, 가족센터 3.20점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메타평가 구성 요소별 개선 대안은 다음과 같다. 평가환경에서는 여성가족부 지침 내 평가목적 및 활용 내용 구체화, 평가군 재조정이 필요하다. 평가투입에서는 한국건강가정진흥원 내 평가지원 조직 설치, 자체평가보고서 양식 간소화, 정량평가 정보공개, 평가교육 및 컨설팅 사업 체계화가 요구된다. 평가과정에서는 가족지원통합정보시스템 활용도 향상, 정성평가 내용의 구체화, 평가 주체별 평가활용 사업개선, 의사소통 채널 다양화가 필요하다. 평가결과에서는 평가지표 개선과 가족센터 대상 평가 후속 교육 강화가 요구된다. 평가활용에서는 다양한 인센티브 및 하위센터 지원 강화, 우수사례 활용 공유 확산이 필요하다. 이에 평가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3년 주기로 위탁하여 실시되고 있는 가족센터 평가사업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개선하여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고유사업으로 전환하고, 여성가족부는 가족센터 평가의 전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및 지도점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다양한 정책 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제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모델에 관한 기초조사 - 조직과 평가를 중심으로 - (A Fundamental Survey Study for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Evaluation Strategies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 원소연;장진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29-145
    • /
    • 2005
  • The Healthy Family Act was established in 2004 to prevent problems of the family and increase thehealthy characteristic of the general family. According to this Ac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HFSCs) were founded as a new part of the family welfare institution. The purpose of HFSCs is providing various welfare services to enhanc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familie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evaluation strategies of HFSCs. This research comprised a descriptive study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evaluation strategies of HFSC.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17 faculty and field workers.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04 to January 2005 and analyzed by frequencie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FSC's organization should consist of family education, family counseling, family culture-marketing, and network teams. Second, healthy family specialists should have a national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also they should have more than master's degree level. Third, evaluation of HFSCs should be adapt an incentive system.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법에 대한 평가와 발전방안 (The Evaluation and Alternatives on the Educational Work in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 송혜림;정영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1호
    • /
    • pp.1-2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for problem solving and development,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al work of HFSC. For this purpose, the annual reports of 40 centers were analyzed and a staff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se reports and the survey, the benefit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were examined and alternatives for better educational work are suggested.

  • PDF

가족센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y Support Service for Adoptive Families in terms of Necessity and Role of the Family Center)

  • 이선형;배지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1-17
    • /
    • 2022
  • 본 연구는 가족센터와 입양기관에서 입양 프로그램을 다룬 경험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진행 경험을 살펴봄으로 가족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으며 자발적으로 인터뷰에 응한 가족센터 3기관의 종사자 9명, 입양기관 2기관의 종사자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가족센터가 처음 입양가족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된 계기로는 다양한 가족을 발굴하면서와 주요 의사결정 대상자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기존 프로그램에 입양가족이 참여하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은 기존의 프로그램, 즉 자조모임과 공동육아나눔터 등에 만족하면서 가족교육이나 가족상담을 요청하면서 확장되었다. 그러면서 현장의 실무가들은 입양가족에게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가게 되고 좀 더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심하는 과정을 거친다. 셋째, 실무가의 애로사항이기도 한 것으로, 정부 부처의 공식적 요청이나 지원,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의 매뉴얼이 없어 자신들의 방식으로 주변 입양기관과의 협력과 자원 발굴의 과정을 거치면서 입양프로그램을 진행해오고 있었다. 넷째, 실무가들이 평가하는 전달체계로서 가족센터의 장점은 전국적 인프라와 가족 전문가의 상주, 통합적 가족 프로그램 제공 등을 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극복해야 할 점으로는 입양가족 대상자의 특수성을 고려한 담당자의 대상자 이해교육과 입양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기본 메뉴얼 제공, 가족 대상자의 포괄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재정 지원 확대를 꼽았다. 이에 대한 노력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입양가족의 건강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2011 건강가정지원센터 조손가정 지원 시범사업의 성과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Pilot Project to Support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 송혜림;김유경;조영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3호
    • /
    • pp.83-107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the outcomes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2011 Pilot Project to support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This paper applied Frank Fisher's 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ology, which includes 4 steps: program verification, situational validation, system vindication and social choice. The major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strong points of the pilot project are the characteristics of its services, i.e. sending services, customized services, family-unit services and integrated ser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human resources to deliver these services more professionally and to provide comprehensive life-planning. The weak point of the pilot project is its lack of services relating to the self-reliance of the clients. Thus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ervice subsystems to include programs that promote self-support measures.

  • PDF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 양성 및 보수교육을 위한 직무와 역량 분석 (An Analysis of the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for Culture Work)

  • 이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85-496
    • /
    • 2011
  • 본 연구는 건강가정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의 주요 직무를 분석하고 핵심역량과 역량개발영역을 파악하고자 일정 경력 이상의 대상자를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가 인지하는 주요직무 1순위는 프로그램 기획과 가족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으로 거론되었으며, 핵심역량은 의식주 생활문화와 여가문화의 이해,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 기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고능력, 전문가다운 문제해결 태도로 나타났다. 개발하여야 하는 역량 영역으로는 프로그램 기획과 평가, 보고서 및 평가서 등의 서류 작성 기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고능력, 전문가다운 문제해결 능력인 것으로 나타나 현장에 투입되어야 하는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필수 이수교과목들과 종사자 보수교육 주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봉사단 및 건강가정캠페인 사업 운영 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Activity of Family Voluntary Service Group and Healthy Family Campaign in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 박정윤;윤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2호
    • /
    • pp.59-77
    • /
    • 2010
  • This research evalu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family voluntary service group and healthy family campaign, which was being carried out as one of the healthy family culture businesses of the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Furthermore, it suggests ways to improve these business activities. Research centered on the analysis of business documents created between December 2006 and November 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voluntary service group and the healthy family campaign business in the Center must be able to have specificity or individuality. Second, the Center must manage the scale, frequency, and contents of the businesses systematically. Third, the businesses must concern themselves with family life in general, make better use of the advisory committee or steering committee, concern variety of business perform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