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eta-Evaluation of the Evaluation Project at the Family Support Center

가족센터 평가사업에 대한 메타평가

  • Received : 2024.03.18
  • Accepted : 2024.05.09
  • Published : 2024.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ssues in the family support center evaluation project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evaluators and the family Support center using a meta-evaluation analysis model and seeking improvement alternatives.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average: the evaluator group scored 4.21 out of 5 points, and the family center group scored 3.20 points. The improvement alternatives for each meta-evaluation item are as follows. In the evaluatio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purpose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within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Evaluation input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support organization within the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During the evaluation process,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use of the integrated family support information system and diversify communication channels. The evaluation results required the strengthening of follow-up education for family centers. In terms of evaluation utilization,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support for various incentives and subcenter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for various policy service delivery systems.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평가 분석 모형으로 가족센터 평가사업 평가자와 가족센터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가족센터 평가사업의 쟁점을 도출하여 개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 결과 평가자와 가족센터 간 집단별 평균은 5점 만점에 평가위원 4.21점, 가족센터 3.20점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메타평가 구성 요소별 개선 대안은 다음과 같다. 평가환경에서는 여성가족부 지침 내 평가목적 및 활용 내용 구체화, 평가군 재조정이 필요하다. 평가투입에서는 한국건강가정진흥원 내 평가지원 조직 설치, 자체평가보고서 양식 간소화, 정량평가 정보공개, 평가교육 및 컨설팅 사업 체계화가 요구된다. 평가과정에서는 가족지원통합정보시스템 활용도 향상, 정성평가 내용의 구체화, 평가 주체별 평가활용 사업개선, 의사소통 채널 다양화가 필요하다. 평가결과에서는 평가지표 개선과 가족센터 대상 평가 후속 교육 강화가 요구된다. 평가활용에서는 다양한 인센티브 및 하위센터 지원 강화, 우수사례 활용 공유 확산이 필요하다. 이에 평가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3년 주기로 위탁하여 실시되고 있는 가족센터 평가사업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개선하여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고유사업으로 전환하고, 여성가족부는 가족센터 평가의 전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및 지도점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다양한 정책 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제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강인(2017). 중앙행정기관 정책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모형 구축과적용 - 외국인정책평가와 다문화가족정책평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태훈(2006). 문화예술부문 책임운영기관 사업성과 메타평가-국립중앙극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006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 문영세(1997). 한국 중앙심사평가 기능의 위상 재정립을 위한 메타평가. 한국행정논집, 9(2), 231-256. 
  4. 박종수(2002). 정보화사업 메타평가모형의 설계와 적용.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송혜림.김주후.라휘문.윤소영.정무성(2008). 건강가정지원센터 평가지표 개발연구.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6. 송혜림.박정윤.라휘문.오문환(2010). 다문화가족지원사업 평가지표 개발연구.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7. 송혜림.박정윤(2011). 다문화가족지원사업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메타평가의 적용.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43-62. 
  8. 여성가족부(2022). 가족센터 활성화 대책. 관계부처 합동. 
  9. 여성가족부(2023). 가족사업안내. 여성가족부. 
  10. 이상미.장정연(2022). 지방자치단체 재정사업평가제도의 메타평가 연구: 경기도 평가제도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2(4), 91-121. 
  11. 이찬구(1997). 연구개발사업의 메타평가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23a). 2022년 가족센터.건강가정지원센터.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결과보고. 한국건강가정진흥원. 
  13.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23b). 가족센터.건강가정지원센터.다문화가족지원센터 평가(2020~2022년) 현장평가단 교육자료집. 한국건강가정진흥원. 
  14. Chelimsky, Eleanor(1985). Old Patterns and New Directions in Program Evaluation, in Eleanor Chelimsky(ed.). Program Evaluation: Patterns and Directions, 1-35, Washington, D.C : The American Society for Public Administration. 
  15. Larson, R. C. & Berliner, L(1983). On Evaluating Evaluations. Policy Sciences, 16(2): 147-163. 
  16. Orata, Pedro T(1940). Evaluating Evalu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9), 641-661. 
  17. Scriven, Michel(1991). Evaluation Thesauru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