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mily Support Service for Adoptive Families in terms of Necessity and Role of the Family Center

가족센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2.03.23
  • Accepted : 2022.04.19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f the Family Center's programs for adoptive families by interviewing employees at these centers and at Adoption Agencies who have experiences with adoption programs. For this study, nine such workers from three separate Family Centers and three such workers from two separate Adoption Agencies have (voluntarily) engaged in in-depth interviews. Major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are that the Family Centers were initially motivated to carry out adoption family programs for three principal reasons: they located many families (in need of adoption family program); potential adoptees were interested in the program; adoption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pre-existing programs such as Self-help Group and Co-parenting Space. Workers in the study also reported that they approach to an adoption family and their contemplation on ways to provide better services to the adoption families. They don't have any official and formal manual or guidelines from the Government Ministries and offices such as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as a result, the workers at Family Centers have endeavored to gain connection with Adoption Agencies in hopes of cooperation with them and to improve the services at Family Centers. For benefits of Family Centers as a delivery system, they mentioned nationwide infrastructure, family professional, and arrangement of integrated program for family. For improvements, they listed awareness education based on a thorough consideration of adoptee's varied characteristics, close cooperation with adoption institutions, provision of basic operational manual from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and governmental efforts to enlarge the consideration pool for families.

본 연구는 가족센터와 입양기관에서 입양 프로그램을 다룬 경험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진행 경험을 살펴봄으로 가족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으며 자발적으로 인터뷰에 응한 가족센터 3기관의 종사자 9명, 입양기관 2기관의 종사자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가족센터가 처음 입양가족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된 계기로는 다양한 가족을 발굴하면서와 주요 의사결정 대상자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기존 프로그램에 입양가족이 참여하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은 기존의 프로그램, 즉 자조모임과 공동육아나눔터 등에 만족하면서 가족교육이나 가족상담을 요청하면서 확장되었다. 그러면서 현장의 실무가들은 입양가족에게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가게 되고 좀 더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심하는 과정을 거친다. 셋째, 실무가의 애로사항이기도 한 것으로, 정부 부처의 공식적 요청이나 지원,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의 매뉴얼이 없어 자신들의 방식으로 주변 입양기관과의 협력과 자원 발굴의 과정을 거치면서 입양프로그램을 진행해오고 있었다. 넷째, 실무가들이 평가하는 전달체계로서 가족센터의 장점은 전국적 인프라와 가족 전문가의 상주, 통합적 가족 프로그램 제공 등을 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극복해야 할 점으로는 입양가족 대상자의 특수성을 고려한 담당자의 대상자 이해교육과 입양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기본 메뉴얼 제공, 가족 대상자의 포괄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재정 지원 확대를 꼽았다. 이에 대한 노력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입양가족의 건강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교내학술연구비로 작성된 논문임(과제번호 20210446)

References

  1. 국회예산정책처(2021). 보호대상아동 지원사업 분석. 서울 : 국회예산정책처.
  2. 권지성(2004). 공개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아동복지학, 17, 7-48.
  3. 권지성.변미희.안재진.최운선(2016). 국내 입양부모의 입양 후, 적응을 위한 사후서비스 이용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2), 345-366. DOI : 10.13049/kfwa.2016.21.2.8.
  4. 권지성.변미희.안재진.최운선(2018). 입양부모의 입양관련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입양가족캠프, 자조모임, 입양합창단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15(2), 57-82.
  5. 김외선(2016). 국내입양부모교육에 관한 방안 고찰. 부모교육연구, 13(1), 109-127.
  6. 류현(2009). 공개입양부모의 입양동기와 입양공개에 대한 태도가 자녀와의 입양관련대화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미정(2008). 공개입양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입양모의 양육행동과 입양모-자녀간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배윤진.김아름.송신영.권지성(2016). 돌봄 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II): 입양아동을 중심으로.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9. 배윤진(2017). 입양가정의 서비스 이용 현황 및 개선방안. 335-346.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10. 배지연.이선형(2021). 입양가족의 시각에서 살펴본,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21(5), 233-233.
  11. 백경숙.변미희(2001). 공개입양부모를 위한 사전.사후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아동과권리, 5(2), 81-95.
  12. 보건복지부(2021). 2020년 국내외 입양 아동 수. 세종 : 보건복지부.
  13. 보건복지부(2022). 2022년 아동복지사업안내. 세종 : 보건복지부.
  14. 송혜림.윤소영.고선강.강은주(201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 가구 대상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1-15. DOI : 10.22626/jkfrma.2019.23.2.001.
  15. 신정훈(2015). 입양에 관한 편견과 차별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아동권리보장원(2017). 2017년 입양통계. 서울 : 아동권리보장원.
  17. 안재진(2008). 국내 입양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육아정책연구, 2(1), 71-87.
  18. 안재진.권지성.변미희.최운선(2010). 공개입양가족의 입양 관련 의사소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1, 143-172.
  19. 여성가족부(2022). 2022년 가족사업. 서울 : 여성가족부.
  20. 여성가족부(2010, 2015). 가족실태조사 결과분석. 서울 : 여성가족부.
  21. 여성가족부(2020).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21~2025). 서울 : 여성가족부.
  22. 이선형.임춘희.배지연(2021). 공개입양가족의 입양 적응과 입양관련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입양모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정책, 25(3), 47-68. DOI : 10.22626/jkfrma.2021.25.3.004.
  23. 장창수.배지연(2016). 대전시 입양가족실태 및 가족지원 서비스 개발 연구. 대전 : 대전발전연구원.
  24. 전국입양가족연대(2020). 지방자치단체별 입양조례현황 및 개선방안. 21대국회 입양정책마련을 위한 입양가족대토론회, 17-21.
  25. 최슬기(2019). 공개입양가정의 가족 레질리언스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최운선.안재진.변미희.권지성(2019). 국내 입양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아동과권리, 23(3), 553-578.
  27. 통계청(2022). e나라지표 국내입양아수 및 입양비율. http://www.index.go.kr.
  28. Brodzinsky, D. M. & Schechter, M. D.(1993). Being Adopted. New York : Anchor Book.
  29. Brodzinsky, D. M. Smith, W. D. & Brodzinsky, B. A. (1998). Children's Adjustment to Adoption: Developmental and Clinical Issues. SAGE Pub, Inc. DOI: 10.4135/9781452220581.
  30. Krueger, R. A. & Casey, M. A.(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3d ed.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