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방형 기술혁신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초

협조적 게임이론 관점에서 본 대기업-스타트업 개방형 혁신 성공 요인 분석: 대기업 'G사'와 스타트업 'S사'의 협업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Success Factors of Open Innovation fromthe Perspective of Cooperative Game Theory: Focusing on the Case of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Large Company 'G' and Startup 'S')

  • 김진영;박재홍;손영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2호
    • /
    • pp.159-179
    • /
    • 2024
  • 본 연구는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협업 사례를 기반으로 개방형 혁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상호 협력과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협조적 게임이론 관점에서 제시하고, 어떻게 이를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보의 비대칭성, 그리고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조직문화와 의사결정구조의 차이로 인해 일반적인 개방형 혁신에서는 참가자들 간의 비협조적 게임 형태로 협업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혁신의 정도가 낮아지는 개방형 혁신의 역설(the open innovation paradox) 현상으로 귀결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어떻게 하면 개방형 혁신을 협조적 게임 형태의 성공적인 협업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연구문제에 기반하여 대기업 'G사'와 스타트업 'S사'와의 정보비대칭 상황에서 협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성공적인 개방형 혁신을 위해서는 (1) 대기업-스타트업 간 조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사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명확한 목표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 (2) 신뢰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스타트업의 질적성장을 위한 인력파견 등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 (3) 이익배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투자와 신사업 공동 추진으로 연결되는 유기적 협업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 성공 요인에 대한 논의를 참가자들 간의 조직 문화와 의사결정구조를 고려한 상호작용과 전략적 판단의 중요성으로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협조적 게임이론 관점에서 개방형 혁신의 성공 조건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술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Technology Management Strategy for Activating the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 이원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11-219
    • /
    • 2014
  • 본 논문은 개방형 혁신 환경하에서 산학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술경영전략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경영의 중요성과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내부기술혁신과 외부혁신자원의 활용과 산학협력의 균형관점에서 기술경영의 프레임을 고찰하였다. 현재 개방형 혁신 환경하에서 기업이 성공적인 기술경영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산학협력전략을 추진해야한다.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기술경영전략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개방형 환경을 고려한 산학협력전략을 추진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조직내 전략기술로드맵을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기업은 개방형 혁신시스템을 조직내에서 도입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조직내 문화도 NIH신드롬을 극복하고 개방형으로 전환해야 한다. 셋째, 기업은 기업, 대학, 연구소 등 다양한 혁신주체들과 다양한 목적으로 협력이 가능하도록 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조직내에 갖추어야 한다.

중소기업의 결합형 개방형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R&D 및 R&D 이외의 혁신협력활동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upled Open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Firm Performance: Focusing on R&D and Non-R&D Innovation Cooperation Activities)

  • 박지훈;이정우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77-205
    • /
    • 2022
  •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와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혁신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개방형 혁신에 참여한다. 기존 연구들은 중소기업이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개방형 혁신활동의 성과효과를 연구하였으나, 특히 결합형 개방형 혁신활동의 성과효과에 대한 결과가 혼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결합형 개방형 혁신협력활동을 'R&D 협력활동'과 'R&D 이외의 협력활동'으로 세분화하여, 각 활동이 기업의 혁신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Heckman의 2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 데이터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주관의 국가승인통계인 '2020년 한국기업혁신조사: 제조업 부문'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의 R&D 협력활동은 시장최초 상품혁신 성과에만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고, R&D 이외의 협력활동은 상품혁신, 비즈니스프로세스혁신, 시장최초 상품혁신, 자사최초 상품혁신 모두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유형의 혁신협력활동 모두 재무성과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혁신협력활동의 성과효과는 중소기업 내에서도 기업규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맥락의 개방형 혁신 연구에 이론적으로 기여하며, 중소기업 경영자의 혁신전략 수립 및 관련 정책입안자의 정책 방향 도출에 참고가능한 지침을 제공한다.

한국 수출기업의 혁신활동에 따른 영향요인과 수출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novations of Korea's Exporting Companies and Export Performance)

  • 김귀옥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201-225
    • /
    • 2012
  • 새로운 기술개발과 신제품 출시에는 막대한 연구개발비가 필요하고, 시장의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수출기업들은 선진기업에 비해 연구개발 투자비의 절대규모가 작고 누적 기술자산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개방형 혁신을 통해 외부의 기술을 활용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연구개발 투자비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혁신활동에 따른 각각의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혁신활동이 수출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혁신활동을 폐쇄형 혁신활동과 개방형 혁신활동으로 구분하고, 혁신활동의 영향요인인 기업특성요인, 연구특성요인, 상품특성요인을 독립변수로, 수출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결과 기업규모, 신상품 출시기간은 혁신활동 각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역량과 연구성과는 폐쇄형 혁신활동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방형 혁신활동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폐쇄형 혁신활동은 수출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소기업의 개방형혁신과 수출성과 경로분석 (A Path Analysis: Toward an Open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in SMEs)

  • 조연성
    • 무역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7-125
    • /
    • 2018
  • 본 연구는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방형혁신과 제휴 유형이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 따라 개방형혁신은 기술흡수형혁신과 기술활용형혁신으로 나누었다. 제휴 유형은 마케팅과 기술 제휴로 나누었다. 수출성과를 포함하여 5개 잠재변인 간에 6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수출활동을 전개하는 중소기업 202개를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흡수형혁신은 마케팅 제휴와 기술 제휴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 기술활용형혁신은 기술 제휴에만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제휴 유형은 수출성과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활동에 개방형 혁신과 유통경로 확보 등에 필요한 마케팅 제휴의 관계를 활성화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 PDF

무엇이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결정하는가? 전략-문화 혼합유형과 환경 역동성을 고려한 실증연구 (What Determines Open Innovation in SMEs? An Empirical Study Considering the Strategy-Culture Mixed Typology and Environmental Dynamism)

  • 권세인;양종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45-353
    • /
    • 2022
  • 본 연구는 전략-문화 혼합유형과 환경 역동성을 고려하여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에 적합한 상황 및 유형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4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4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문화가 일치하는 PD형은 내·외향형 혁신 모두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동적 기술환경에서 내향형 혁신을 통해 성과를 향상시켰다. 반대로 DH형은 내·외향형 혁신 모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둘째, 전략-문화가 불일치하는 PH형과 DD형은 외향형과 내향형 중 단일 혁신만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PH, DD, DH형은 환경 역동성에 따른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개방형 혁신을 지향하는 중소기업은 변화·혁신 지향형 전략과 창의·도전적 문화를 일치시킴으로써 혁신성과를 향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개방형혁신의 공공연구부문 적용방안 연구: KIST ORP 사례를 중심으로

  • 이창근;강대신;정선양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4-173
    • /
    • 2015
  • 개방형혁신(Open Innovation)이 주창(Chesbrough, 2003)된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공공연구 분야서는 제한된 정부 연구재원 확보를 위한 경쟁이 우선시되어 왔고, 따라서 개방형 연구를 위한 동인과 실증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KIST가 자체 묶음예산을 외부 연구자에게 개방한 ORP사업을 분석하여 공공연구 분야에서의 개방형 혁신연구 적용가능성과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파트너십 관계-개방형 혁신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Framework for Partner Relationships and Open Innovation Processes)

  • 조부연;신기정;박광태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2호
    • /
    • pp.47-69
    • /
    • 2010
  • 글로벌 지식환경이 변화하면서 기업과 연구조직의 혁신활동도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 현상이 개방형 혁신이다. 조직의 경계를 넘는 지식흐름의 방향에 따라 내향형, 외향형, 상호형 개방으로 혁신 프로세스가 나누어져 왔으나, 파트너와의 관계를 고려한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 프로세스와 협업 파트너와의 관계를 두 축으로 하여 파트너십 관계-개방형 혁신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2002년에서 2009년까지 언론을 통해 공표된 개방형 혁신사례를 제시된 프레임워크에 따라 분류하여, 국내 개방형 혁신 현황을 분석하였다. 352건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조인트 벤처 관계에서 상호형 혁신 프로세스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과 2009년에 개방형 혁신이 급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대기업 중심 사례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상호협력형 사례들을 다수 발견하면서, 개방형 혁신 주체로서의 대학 및 출연(연)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조직의 개방형 혁신과 신제품개발 성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Open Innovation and Performance of New Product Development)

  • 엄혜미;강소라;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74-281
    • /
    • 2015
  • 본 연구는 현대의 기업들이 신제품 개발을 위해 기존의 폐쇄형 기술개발 시스템이 아닌 기업 내 외부의 다양한 원천을 이용하는 개방형 혁신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혁신을 달성하고 이것이 신제품개발 성과로 이어지게 하기 위한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는 기업가지향성, 학습지향성과 개방형 혁신, 신제품개발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기술창업기업 CEO 및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이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적절한 수준을 충족시키므로 본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CMIN/DF=2.716, CFI=.911; TLI=.892; RMSEA=.068). 가설별로는 기업가지향성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 중 위험감수성을 제외한(가설1-4) 혁신성, 진취성, 경쟁공격성이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개방형 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방형 혁신은 신제품개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습지향성은 개방형 혁신과 신제품개발 성과 모두에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 동안 기업의 성공적인 신제품 개발의 주요 요인으로 간주되어오던 기업가지향성, 학습 지향성, 개방형 혁신의 영향력이 모두 검증되었다는 학문적 시사점과 함께, 혁신과 신제품개발 분야에서 기업가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이 담당해야 할 전략적 역할에 대해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