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성공간디자인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초

디지털 이미지 색채분석을 이용한 재택근무 공간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Harmony Scheme of the Home Office Based on Digital Color Image Processing)

  • 정현원;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62-17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otional color of home office and the trendy color with special comparison of office and library colors, and to suggest the harmony of color combination of home office based on the emotional color of this analytical data. this study, the Color Syntax Program, digital tool for color analysis of images i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in color of home office images shows three color classifications of YR-Y, Y-GY, R-YR, and with relatively high ratios of YR-Y in the color of home offices, and B-PB, GY-G in offices and libraries. Secondly, from the point of emotional aspect, the trendy color of the home offic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olor image categories: 'natural', 'peaceful', 'mild', and 'noble'. Under those categories this paper proposes 10 color harmony scheme that can be applied to color of home office interior design.

하이 터치 개념의 의료 공간 제안 (Plan for Medical Space of High Touch Concept)

  • 이주혜;이도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9-280
    • /
    • 2005
  • Recently, the Korean medical system changed with diversification & specialization and the field of medical service is also specialized in these days. The medical space settings are usually designed for staff needs rather than for patient needs. but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identify the design elements for the patient-focused. Main keyword of this project is 'high touch' and basic design concept is 'a sense of stability/velocity'. This medical space is located in Sanbon, and it has an area of 171m$^2$. The material scheme in the interior design of medical spac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hospital users. Painting, stainless steel, wood veneer, fabric and p-tile were used as interior finishing material.

  • PDF

물의 의미와 공간적 해석 (The Meaning of Water and Its Interpretation in the Space)

  • 오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9호
    • /
    • pp.127-133
    • /
    • 1996
  • Water is the origin of all things and has been standing as a symbol of eternity which neglectes birth and death, or time and space. We mankind , however, confronts the water pollution or moreover the situation threatening even our existence as the results of considering it as mere consumables without any study on its original meaning or nature. Now, we should search for the way to understand the substance of water and to use it in the course of nature, getting rid of the altitude of merely consuming it. Our traditional way of life is in harmony with the nature and water has been adopted in the space as the important element of the nature especially as per the theory of geomancy. Man can be inspired by the plasticity , motion, sound , and reflectivity of water adopted and harmonized in the space, and the concept such as water both of inner and outer space or hierachy of a microcosmis to be composed by the natural order which lines up a man-water-space.

  • PDF

현대 패션 리테일 샵에 나타난 표현경향과 표피(表皮)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패션 선두매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ve Tendency and Skin Contemporary Fashion Retail Shop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Flagship store -)

  • 강소연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91-100
    • /
    • 2006
  • 현대 상업공간의 패션 리테일 샵은 변화하는 패션경향에 따라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기능적, 감성적 공간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 패션 리테일 샵은 형태로부터의 표면의 변화와 표현특성이 상징화되고 있는데, 이는 공간이 이미지화되고 감성화 되고 있는 표피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피의 특성을 시대적 배경으로 구분하고, 2000년부터 2003년까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이 도입되고 표피의 표현이 두드러진 패션 리테일 샵의 패션 선두매장 (Flagship store) 4개 브랜드를 중심으로 형태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으로 각각 범주화하여 패션 리테일 샵에 나타난 표현경향과 표피의 상관성을 분석 고찰하고자 한다.

  • PDF

공간이미지와 감성어휘에 따른 마감재 표현방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xpressive Methods of Finishing Materials for Space Image and Emotional Vocabulary)

  • 서지은;이곡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11-11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living rooms that are preferred as a place for changing space image to the maximum and to find a method how finishing materials are expressed by selecting space with mix & match of many images.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 the expressive trend of space images through the precedent studies and magazines, and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finishing materials. Second, select space images based on the contents understood earlier and extract adjective words that represent each space image through an expert survey. Third, find the cases where space images are expressed based on the extracted words and analyze expression methods of finishing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recent space images are actively expressed through finishing materials. Second, space images selected through data related to the trend were classified as modern+natural, modern+traditional, modern+retro, classic+natural, classic+humor, and futurism+natural and 4 adjective words for each space image were extracted. Third, expressive elements of finishing materials were extracted as 'material'. 'texture', 'color', and 'pattern' through the precedent studies. Fourth, expressive methods of finishing materials for each space image could be suggested by analyzing the examples that show mix & match based on the contents extracted earlier. Lastly, it is expected to find various methods that lead space image into finishing materials by evaluating responses and changes in visual perception of residents according to expression of finishing materials based on this study.

  • PDF

사회적 배제와 따뜻한 향 선호 (Social Exclusion and Preference for Odors Perceived to be Emotionally Warm)

  • 이국희
    • 감성과학
    • /
    • 제21권4호
    • /
    • pp.11-24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물리적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든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사회적 배제가 감성적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들고, 감성적 차가움을 회피하게 만들 것이라는 예측을 향 감성을 사용하여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차가운 감성으로 지각되는 향과 따뜻한 감성으로 지각되는 향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집단과 통제 집단의 향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따뜻한 향에 대한 선호가 강한 반면, 차가운 향에 대한 선호는 약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물리적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드는 현상을 감성적 차원으로 확장했다는 측면과 선행연구에서 간과해 왔던 차가움을 회피하게 하는 현상까지 관찰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중요하다. 또한 컴포트 푸드, 인물 감성, 공간 감성 디자인, 인공지능 채팅봇의 감성 등에도 실용적 시사점을 가진다.

국내 연안에 있어서 워터프론트의 해양디자인 정비 방안 연구 (A study on Maintenance Plan for Marine Design of Waterfront in the Domestic Coast)

  • 최진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8-16
    • /
    • 2021
  • 본 연구는 연안 해양에서 워터프론트를 대상으로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정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해양디자인과 워터프론트, 해양산업, 항만친수공간, 해양경관 관련 보고서, 논문이나 기사 등 각종 자료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해안가에 설치되어 자연경관을 해치고 생태적 측면에서 시각적 공해가 되는 각종 조형물이나 구조물의 이동 및 철거,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형상의 등대 또한 가능한 절제된 범위에서 주변 환경과 조화될 수 있으며 사후관리 방안 마련을 전제로 조형적이고 심리적,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조형물이 되어야 할 것이다. 무분별하게 난립된 어장의 위치관리와 정비가 절실하며, 녹색 완충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전국 연안 해양도로 정비, 생태관광지로 조성하여 지역 활성화에 기여와 생태계 복원으로 인한 수산물의 생산가치 확보를 위하여 갯벌복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해양디자인의 무분별한 개발의 측면보다는 워터프론트의 주요 관리 방안에 중점을 두고 정비해나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버스정류장 쉘터를 중심으로 - (Study on color perception improvement for universal design - In respect of bus station in Seoul -)

  • 김은애;박경진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71-380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시 개선사업으로 인해 변경된 공공시설물 중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버스정류장 쉘터의 색채는 서울시에서 지정한 대표색 중 기와진회색과 고궁갈색이 주조색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도시환경과의 조화에 있어서는 자연스럽게 어울리지만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에 입각하여 볼 때 사회적, 신체적 약자에 속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이 이용하고 인지하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특성 및 환경에 대해 분석하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일반의식, 색상 선호도, 버스정류장 쉘터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에 적절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색채 영역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공공공간의 영역을 하나의 시설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설물을 포함한 환경과의 조화 속에 시설물을 쉽게 인지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것이 앞으로 공공시설물이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인식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 방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공간디자인에서의 감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 인간의 '몸'과 '움직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motional Tendency within Space Design - Focused on human body and movement -)

  • 오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92-199
    • /
    • 2004
  •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tendency through out the history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In this process, a broad range of analysis of the period between Romanticism and Post Modernism will be done to collect historical data and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ituation. A thorough review and close examination of the 90's architectural trend will reveal the foundation of the concept behind GSD not just as the post-structuralism as a value system of digitalism but also makes easy to understand GSD in space design. In particular, the study will reveal how the ideas of post-structural philosophy has effected the formation of its movement as well as its influence to become the theoretical nutrition for digital architecture.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be used as the valuable reference to define 'Emotional Design'(So call 'Gam-Sung Design = GSD) and become the founda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GSD space design in the near future.

감성디자인이 실내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디자인 연구 - 조명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esign in the Effects of Emotional Design Interior Space - Focused on the Lighting Design -)

  • 이상일;김정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7-323
    • /
    • 2012
  • Indoor of 21th centur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feeling necessity of emotional design that can satisfy emotional of human. Desire of modern becomes various and emotional lighting design is risen on important element in indoor plan on human oriented modern society who become complicated. Emotional space is trend that is atomized as go today and is expanded as the target and area also go. That is, is included as target of emotional space to light and sound, taste, smack and is appealing by senses of human. Wish to do color that is optical element among element of senses differently and present design. Design concept of this research is emotional lighting design that can receive. It is lighting that equip emotional beauty and ability from modern indoor improving space. I wish to quote emotional lighting design about effect gotten to indoor by sight of design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