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각평가

Search Result 55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n Assessment of Factory Odor Evaluation with Indirect Olfactory Method (간접관능법에 의한 사업장 발산악취 평가)

  • 김학민;정의석;김선규;김선태;박주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83-184
    • /
    • 2002
  • 악취현상 평가방법은 냄새유발물질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화학성분분석법과 복합취기물질에 의란 감각수준을 다수의 악취판정인이 평가하는 관능측정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특히, 관능측정법의 경우 자극의 세기를 표현하는 직접관능법과 최소냄새감지한계회석배수를 구하는 간접관능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환경악취현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성분분석과 감각수준을 평가하는 두 방법에 의한 측정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Effect of Fabric Sound and Touch on Human Subjective Sensation -Crosscultural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U.S.A- (직물의 소리와 촉감이 주관적 감각에 미치는 영향 -한.미 문화간 비교-)

  • 조길수;이은주;조자영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1
    • /
    • pp.41-52
    • /
    • 2000
  • 한·미 문화간 비교를 통하여 직물의 소리와 촉감이 주관적 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국인과 미국인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의미분별척도에 의하여 서로 다른 8개 직물 소리의 주관적 감각(부드러움, 시끄러움, 유쾌함, 날카로움, 맑음, 거친, 높음)과 촉감의 주관적 감각 (딱딱함, 매끄러움, 성김, 시원함, 유연함, 까실거림, 무게, 두께)을 측정하였다. 직물 소리의 파라미터로 LPT(level pressure of total sound)와 Δf (frequency differences)를 계산하고, KES (Kawabata Evalu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직물의 역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직물의 소리에 대하여 ‘부드러움’의 점수가 높고 ‘시끄러움’과 ‘날카로움’, ‘거침’의 점수가 낮은 직물들이 주관적으로 유쾌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물에 따른 소리의 시끄러움과 날카로움, 높음에 대한 주관적 감각은 한·미 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한국인은 미국인보다 모직물의 소리에 대하여 ‘부드러움’과 ‘유쾌함’의 점수가 높고, ‘거침’의 점수가 낮았으며, ‘맑음’에 대한 직물별 점수가 다양하였다. 직물의 촉감은 직물에 따른 차이가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딱딱함’과 ‘매끄러움’의 직물 별 감각은 한 ·미 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한국인은 대체로 미국인보다 ‘성금’과 ‘까실거림’을 낮게, ‘시원함’을 높게 평가하였다. 직물 소리의 파라미터인 LPT와 ΔL이 양국인의 소리 감각에 영향을 미쳤는데, 한국인의 감각은 주로 LPT가, 미국인의 감각은 LPT와 ΔL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회귀식이 성립하였다. 촉감에서 ‘딱딱함’과 ‘매끄러움’, ‘유연함’, ‘까실거림’에 한·미 모두 표면 거칠기가 영향을 미쳤는데, 한국인의 촉감에 대한 회귀식이 더 많이 성립하였고 R2가 높게 나타났다.

  • PDF

Convergence evaluation method using multisensory and matching painting and music using deep learning based on imaginary soundscape (Imaginary Soundscape 기반의 딥러닝을 활용한 회화와 음악의 매칭 및 다중 감각을 이용한 융합적 평가 방법)

  • Jeong, Hayoung;Kim, Youngjun;Cho, Jund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1
    • /
    • pp.175-182
    • /
    • 2020
  •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technique of matching classical music using deep learning to design soundscape that can help the viewer appreciate painting and proposed an evaluation index to evaluate how well matching painting and music. The evaluation index was conducted with suitability evaluation through the Likeard 5-point scale and evaluation in a multimodal aspect. The suitability evaluation score of the 13 test participants for the deep learning based best match between painting and music was 3.74/5.0 and band the average cosine similarity of the multimodal evaluation of 13 participants was 0.79. We expect multimodal evaluation to be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measure a new user experience.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xperience of multisensory artworks by proposing the interaction between visual and auditory. The proposed matching of painting and music method can be used in multisensory artwork exhibition and furthermore it will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visually impaired people to appreciate artworks.

Effects of Sounds on Human Sensibility (제품의 음향적용에 따른 인간감성의 변화)

  • 김병주;이구형;정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92-96
    • /
    • 2001
  •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는 제품이 나타내는 전반적인 특성에 대하여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인간의 오감이 모두 작용한다. 최근 대두되기 시작하고 있는 다감각 디자인은 형태와 색상을 중심으로 한 시각 중심의 디자인에 시각분만 아니라 청각과 후각 등의 감각요소를 추가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제품 디자인에 다감각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복합적인 감각자극과 인간의 감성 사이의 관계가 명확하게 이해되어야 하며, 복합자극 이전에 시각 이외의 단순 감각자극에 의한 감성 변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음향자극에 대한 감성변화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선별된 30개 음향을 대상으로 6쌍의 감성어휘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음향이 피실험자의 감성에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성의 변화는 음향의 물리적 속성 분만 아니라 사용자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에 의해 차이를 보였으며, 이 결과는 감성의 개인적 속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 PDF

Preference Sensibility and Hand of Silk Fabrics according to Lifestyle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견직물의 선호감성과 태평가)

  • 김춘정;조길수;나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0-144
    • /
    • 2000
  • 본 연구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견직물에 대한 감각·감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별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견직물의 소재 디자인시 감성관련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감각형용사는 ‘거칠다, 우글쭈글하다, 촘촘하다’등에서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은 평가하였으며, 감성형용사는 ‘개성적이다, 독특하다’등에서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으며 ‘클래식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캐주얼하다, 액티브하다, 신선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세 clluster별로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cluster 2를 가장 ‘촉감이 좋다, 구매시 선호한다’라고 하였다. 촉감선호도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구매선호도에서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s (가상 환경 하에서 다감각 변수들의 영향도 평가)

  • Hong, Jeong-Hun;Jeong, Dong-Hyeon;Sim, Song-Yong;Song, Chang-Ge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9
    • /
    • pp.931-941
    • /
    • 2000
  • 본 논문은 가상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다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요소가 현실감에 끼치는 영향력을 평가한다. 이번 실험에 80명의 피실험자가 참여하였으며, 여러 감각 요소들을 조합한 가상환경을 경험하게 하여 얻은 실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각 요소들의 영향도를 평가한다. 주된 평가 요소는 가상 현실 환경 속에서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현심감과, 감각 요소들이 피실험자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여 본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다중 감감 요소들이 단일한 감각요소가 있을 때에 비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의 사물에 대한 기억력과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는다. 또한 피실험자가 느꼈던 가상환경 속의 현실감과 사물에 대한 기억력에 대하여, 시각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그 외의 다른 요소(청각, 후각, 촉각)들을 첨가시키는 것이 현실감과 기억력을 배가시키는 요소로써 더 효과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 PDF

The Effect of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on the Toddler's Sleep Pattern : Single Subject Research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가 유아의 수면 패턴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 Jung, Hye-Rim;Rho, Guem-Mi;Kim, Kyeong-Mi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0 no.2
    • /
    • pp.23-32
    • /
    • 2012
  • Objective : The aim of the present single subject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on toddler's sleep pattern and the continuance of the effect. Methods : The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consisted of 14 session was provided to a 13 months old girl for 2 weeks. The time taken to fall asleep, amount of sleep, bed time and severity of behavior before sleep were recorded by her mother who was taken the education about observation. Results : After the sensory diet, the child present change of time taken to fall asleep, amount of sleep, bed time and severity of behavior before sleep, and the effect on time taken to fall asleep, continued temporally. Conclusion : The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was related to stabilize the sleep pattern of a toddler, and the effect of the sensory diet continued temporally after the sensory diet. For future research, more subjects and methodical measure are need to generalize the result of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affecting to toddler's sleep pattern.

  • PDF

A Study on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With Feeding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

  • Kim, Mi-Su;Kim, Kyeong-Mi;Chang, Moon-Young;Hong, Eunk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7 no.2
    • /
    • pp.31-40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PT) and full-term infant and toddler (F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feeding as well as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with feeding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Methods : The subjects of a study were 107 including 51 PT and 56 FT. 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2 (ITSP 2) was used to assess sensory processing ability. The Behavioral Pediatrics Feeding Assessment (BPFAS) was used to assess feeding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PT group and FT group.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with feeding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ory sensitivity and oral sensory processing between with PT group and FT group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ing behavior between with PT group and FT group (p<.05). In PT group,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of sensory avoidance (r=.443) and sensory sensitivity (r=.374) with feeding frequency. General behavior (r=.390) and oral sensory processing (r=.513)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eeding frequency. In addition, oral sensory processing (r=.529)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eeding problem. Conclusion : It is proved that the interrelationship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with feeding and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And it is meaningful to recognize significance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to comprehend feeding and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The Study of Discriminant Validity for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ensory Processing Disorder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판별타당도 연구)

  • Kim, Kyeong-Mi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20 no.2
    • /
    • pp.36-45
    • /
    • 2022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 discriminat validity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Children (SPS-C)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Sensory Processing Disorder (SPD). Method : The SPS-C was completed by parents of 151 Korean children including 68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trol group), 83 children with SPD (known group) in the age range 3-5 years, in South Korea. ANCOVA with sex as covariable was used to ident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typically development and SPD. Results : Sensory processing differences in sensory domains and sensory factors were detected and the gender differences were not effective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SP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sensory domain score and total score except proprioceptive processing in sensory domain. In sensory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verrsensitivity, underresponsivity, and discrimination, but sensory seeking was not significant. SPS-C was a valid assessment tool to identify or screen of SPD in Korea. Conclusion :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for the standardization study of SPS-C were presented,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to screen the children with sensory processing problems was presented as a verified evaluation tool. SPS-C will be helpful in screen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characteristics of sensory processing, and establishing an intervention plan.

Silicone/Pu 처리한 폴리에스테르/면 교직물 표면특성의 측정기법 비교

  • 이선영;홍경희;박연규;강대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49-5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표면처리를 달리한 폴리에스테르/면 교직물에 대한 표면특성의 측정기법을 비교·검토하였다. 시료로는 미처리 직물과 silicone 처리 직물, pu 코팅직물, silicone/pu 처리 직물을 이용하였다. 측정 기법은 비접촉식 방법으로 위치에 따른 직물 표면잔털의 grey scale을 FFT하여 그 대수값의 관계식의 기울기값을 결정하였다. 또한, 레이저 변위센서를 이용한 촉각 측정 장치에 의해 표면 거칠기와 표면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접촉식 방법으로는 평판과 직물을 접촉시켜 영상처리에 의해 접촉면적을 정량하고 fractal 차원을 도출하였다. KES-FB system에 의해 표면특성을 측정하였다. 주관적 접촉감각 평가는 표준환경에서 2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분석에 ANOVA와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측정기법에 따른 표면특성치와 주관적 감각평가치의 상관분석 결과, 접촉식 방법인 KES-FB에 의한 방법보다 다른 접촉식 방법인 영상처리에 의한 접촉면적, fractal 차원과 비접촉식 방법인 FFT 분석에 의한 기울기 및 레이저 변위센서에 의한 표면거칠기 결과가 주관적 접촉감각과 더욱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접촉 감각을 객관화하는데 보다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