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각평가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34초

일부 농약 폭로 농민들의 신경전도 검사에 관한 연구 (Nerve Conduction Velocity among Farmers Exposed to Pesticides)

  • 이원진;최진영;이건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1호
    • /
    • pp.1-11
    • /
    • 1999
  • 본 연구는 농약에 직업적으로 폭로되고 있는 농부들의 말초신경 기능을 평가하고자 농약살포 남성 농민 34명을 대상으로, 1998년 5월부터 1999년 2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말초신경병변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신경전도 검사를 우세 상하지의 청중신경, 척골신경, 비골신경, 후경골신경, 비복신경 대해 각 구간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조사대상자들은 평균 60세로서 농약살포 경력은 평균 33년이었다. 농사 유형은 주로 논, 밭, 고추 농사를 경작하고 있었으며 년간 평균 약 35일간 농약을 살포하였고 1일 살포시간은 약 9시간이었다. 또한 농약 중독 관련 증상을 경험한 적이 약 82%이상에서 보고되었다. 신경전도 검사상 조사원 모든 신정에서의 값이 정상범위에는 포함되었지만, 일부구간(척골감각 신경의 wrist-elbow, 후경골신경의 terminal latency)을 제외하고는 모두 참고치의 평균값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고폭로군과 저폭로군 간의 신경전도 검사치 비교에 의하면 정중감각 및 운동, 비골신경의 일부 구간 값이 고폭로군에서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것은 고폭로군의 연령이 저폭로군보다 유의하게 낮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조사 대상자들의 값이 참고치 평균보다 떨어진 것도 연령이 높음으로 인한 것임을 연령군별 비교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농약 폭로로 인한 미세한 말초신경 기의 이상여부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해서는 감각역치 검사등 다론 신경학적 검사들을 함께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무릎 슬리브 착용과 골지 건 기관 자극이 한 발 서기 동작과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nee Sleeve with a Stimulation of Golgi Tendon Organ on One Leg Standing and Proprioception)

  • 정보라;장윤희;김규석;류제청;고창용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23-330
    • /
    • 2017
  • 무릎 슬리브는 재활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 시 손상 예방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무릎 슬리브의 스포츠 손상 예방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고유수용성감각으로부터 기인하는 균형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지 건 기관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5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이 본 연구의 실험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일반 무릎 슬리브와 자극 패드 슬리브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각 BIODEX에서 설정된 타겟(Target) 각도를 재연하였고, 한 발 서기 동작을 수행하였다. 각도 재연성 평가의 결과를 보면, 5명의 실험대상자 중 4명의 실험대상자는 무릎 슬리브를 착용했을 때 보다 자극 패드 슬리브 착용 시 %Target angle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 발 서기 동작 수행 시 무릎 슬리브 착용 시 보다 자극 패드 슬리브 착용 시 유지 시간(duration time)이 증가했으며 x, y 방향에서 COP 길이가 모두 감소했다(COPx - 무릎 슬리브: $162.06{\pm}58.99mm$,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149.03{\pm}45.30mm$; COPy - 무릎 슬리브: $310.79{\pm}115.89mm$,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291.57{\pm}76.53mm$). 초기 전이구간, 정적 구간, 말기 전이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무릎 슬리브 착용 시와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착용 시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ll, p < 0.05).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골지 건 기관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착용이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ultisensory based AR System for Education of Cultural Heritage

  • Jeong, Eunsol;Oh, Jeong-eun;Won, Haeyeon;Yu, Jeongm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61-6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 교육을 위한 다중 감각 (시각 청각 촉각) 지원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3D프린트 된 유사유물 모델을 AR 타깃으로 활용하고, 증강하는 가상객체에는 실제유물 기반으로 구현된 3D그래픽을 매핑한다. 사용자는 3D프린트 된 모델의 촉감을 느끼면서 AR유물학습을 진행할 수 있어 다중 감각을 통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된다. 기존 문화유산 교육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본 시스템은 시각 및 청각뿐만 아니라 촉각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다. 또한 이 시스템은 3D모델을 사용하여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주로 휴대전화와 태블릿의 2D 디스플레이에 터치 또는 클릭 모션으로 상호작용하는 기존 시스템보다 훨씬 사실적인 경험을 주도록 구성되었다. 사용자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본 유물교육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우수한 현존감 및 학습 몰입감을 제공하였으며, 타깃의 사용성 평가에서는 본래 유물과 모양이 유사한 3D 프린트 된 타깃의 사용성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초등학생 저학년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Reading Fluency in Elementary Students: A Single Case Study)

  • 김영준;신민호;정혜원;전병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35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읽기 유창성에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훈련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개별 실험 연구(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총 18회기로 기초선 3회기, 중재기 12회기, 재기초선 3회기를 시행하였다. 중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이었으며 매 회기마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의 LFA(Long Form Assessment)와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의 읽기검사(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Reading; BASA: R)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초선, 추적기 때 각 세 번씩 BASA: R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 기초선과 비교하여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 이후 대상자의 읽기 유창성 능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이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의 읽기 유창성 능력 향상을 위한 임상적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RCP에 의한 감각자극 상태에서 생체신호를 이용한 감성평가시스템 구현 (Development of a Emotion Estimation System using Biosignal under RCP Stimulation Environment)

  • 김동욱;김승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65-270
    • /
    • 2006
  • 최근의 휴대전화 단말기(Cellular Phone, CP)는 IT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고 있으나, 단순한 IT기술의 접목만으로는 CP기술 발전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휴대전화 단말기에 개인용 로봇(Personal Robot)을 결합하여 로봇의 개인 서비스 기능과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갖춘 개인로봇형 휴대전화단말기인 RCP(Robotic Cellular Phone)의 개념을 도입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CP세부기술 중 하나인 $RCP^{Interaction}$에 주목한 연구로, RCP의 촉각 및 청각자극환경에서 인간이 느끼는 감성을 생체신호를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 PDF

체감 진동량 평가를 위한 조향 휠 진동의 주파수 가중치 결정 (Determination of Frequency Weighting Curves for the Evaluation of Steering Wheel Vibration)

  • 홍석인;장한기;김승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65-172
    • /
    • 2003
  • This study aims to find frequency weighting curves for the evaluation of drivers' discomfort by vertical and rotational steering wheel vibration. Equal sensation curves, inverse of frequency weighting curves, were determined for the two kinds of vibrations respectively by using the sinusoidal signals with reference amplitudes from 0.2 to 0.4 m/s2 in the frequency range from 5 to 100 ㎐. Twelve subjects joined at the tests, and median values of the twelve judgmen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qual sensation curves. An experiment was followed to compare the relative sensation magnitude between the two kinds of equal sensation curves, which showed discomfort by the rotational vibration was 1.5 times of that by the vertical vibration at 50 ㎐.

뇌성마비 아동의 진동 자극 훈련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강셋별;김만제;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3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편마비 뇌성마비 후기 아동의 위팔두갈래근에 진동자극을 적용한 훈련이 상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3세에서 15세 사이의 경직성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방법 중 다중 기초선 개별실험연구를 이용한 AB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기간 동안 진동자극은 마비측 손에 제공되었다. 상지의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평가는 라파엘 스마트 보드는 매 회기 별 중재 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Jebsen-Tayler hand function test)와 운동 활동 척도 검사(Motor Activity Log; MAL)를 실험 전, 후로 실시하였다. 결과 : 라파엘 스마트 보드로 매 회기 상지기능의 부드러움과 종합점수를 측정한 결과 대상자 3은 평균값의 변화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고 대상자 1, 2는 평균값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중재 전후로 평가한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 및 운동 활동 척도 검사에서는 대상자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진동자극을 적용한 훈련이 마비측에 대한 경험이 적은 편마비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 기능과 움직임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화상 시뮬레이터에서 속도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감성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of Driver′s Sensibility due to Vehicular Speed Changes in a Graphic Simulator)

  • 정순철;민병찬;김유나;신미경;김철중
    • 감성과학
    • /
    • 제3권2호
    • /
    • pp.103-112
    • /
    • 2000
  • 본 연구는 Graphic simulator에서 자동차 속도 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감성변화를 주관적 평가와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속도 변화는 정차(0km/h), 40km/h, 100km/h, 160km/h로 제시하였고, 건강한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심박변화율, 피부저항, 피부온도, 맥파 등의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적절한 속도 관련 어휘를 추출하여 각 속도에서의 주관적 감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각 속도 실험 전 후에 Simulator Sickness를 측정하여 Simulator Sickness가 실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긴장도와 쾌도가 증가한다는 주관적 평가 결과를 얻었다.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의 Simulator Sickness 값은 증가하였지만 실험 전, 후의 통계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속도 증가에 따라, 평균 R-R간격, 피부온도의 진폭은 감소하였고, 피부저항은 증가하였고, 맥파의 평균 진폭은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Simulator Sickness의 큰 영향 없이 Graphic Simulator에서 속도의 증가에 따라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는 실제 동적 환경에서 속도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 및 주관적 평가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향후 복합 감각 자극이 가능한 시뮬레이터가 구축이 될 것이고, 이를 통해 보다 현실감 있는 동적 환경 제시와 감성 측정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운전자 중심의 교량 진동 사용성 평가기준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of Vibration Serviceability of Highway Bridges Using Driving Simulator)

  • 오정재;박종섭;성익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778-1784
    • /
    • 2010
  • 본 연구는 기존의 진동 처짐에 대한 교량 사용성 평가기준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최첨단 모의운전 차량실험기(Advanced Driving Simulator)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교량 주행 시 진동으로 인해 느끼는 주행안락도를 평가하는 기준을 제안하였다. 열차승객을 대상으로 하는 Reiher-Meister Curve의 적용성을 파악하고 교량 계측결과와 구조해석 결과를 토대로 수정 Reiher-Meister Curve 제안하였다. 교량운전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수정 Reiher-Meister Curve는 A에서 D까지 4등급으로 규정되었다. 새로운 진동감각곡선은 교량 사용자 중심의 교량 설계 및 유지관리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악신경영역에서 전류인지역치를 이용한 정량적 감각신경 검사의 재현성 조사 (Reliability of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Using Current Perception Thresholds in the Mandibular Nerve Area)

  • 최희훈;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2호
    • /
    • pp.131-137
    • /
    • 2011
  • 신경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감각평가(Quantitative Sensory Testing, QST) 방법 중 하나인 전류인지역치(Current Perception Threshold, CPT) 검사는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3가지 감각신경, 2000 Hz(A${\beta}$ fiber), 250 Hz(A${\delta}$ fiber), 5 Hz(C fiber)에 대한 기능을 평가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재현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상반된 견해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CPT 검사의 재현성을 확인하고,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남성 지원자 10명(평균 22.4세)을 대상으로 3주 동안 1주일 간격으로 2명의 검사자가 하악신경 영역을 각각 좌우로 나누어 3회 측정하여 비교 하였다. 3주에 걸친 측정 실험에서 2000 Hz(A${\beta}$ fiber)의 CPT는 3회 모두 좌우 측정치가 차이를 보인 반면(p<0.05), 250Hz(A${\delta}$ fiber)는 1회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5 Hz(C fiber)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좌우를 나누어 3회의 실험을 비교했을 때 모든 신경 검사에서 첫 회의 CPT가 가장 낮았으며, 250 Hz(A${\delta}$ fiber)와 5 Hz(C fiber)의 CPT는 첫 번째 실험과 나머지 실험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두 번째 실험 이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기의 결과로 보아 2000 Hz(A${\beta}$ fiber)의 CPT를 이용한 좌우 신경의 기능 비교는 적절하지 않은 반면, 250 Hz(A${\delta}$ fiber)와 5 Hz(C fiber)에서는 좌우 비교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반복 측정을 통해 250 Hz(A${\delta}$ fiber)와 5 Hz(C fiber)의 CPT 검사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