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학 전공 대학생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 (Ego resilience,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채명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95-103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과 청주 소재의 간호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2일부터 12월 11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SPSS WIN 18.0을 이용한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은 중간수준 이상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학년, 입학 동기,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 만족도, 동아리 활동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공감능력은 학년,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 만족도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은 학년,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능력의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 (${\beta}=.488$, p<.001), 공감능력 (${\beta}=.378$, p<.001)으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7.2%였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을 유의한 변수로 규명한 것은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과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효율적인 관리와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Career Adaptabilityof Nursing Students by the Perception of Hospital Nurse's Workplace Bullying)

  • 김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45-105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을 지각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주도적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직업환경에서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성인 진로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간호대학생으로 2020년 2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로 총 187부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학년과 학과 지원동기,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지각의 영향 유무 및 진로적응성을 예측변수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821,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전공만족도 총 변화량의 33.1%를 설명하고 있다. 학년, 학과지원동기, 직장 내 괴롭힘 지각과 전공만족도를 예측변수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설명하는 선형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242, p<.000),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자기주도성 총 변화량의 28.9%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괴롭힘 문화에 대한 지각 및 인식개선을 위한 상담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imulation on the Ego Resiliency,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Major of the Nursing Students)

  • 김은주;강승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24-330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교육(기본간호학이론 및 실습) 1년을 마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 교육이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도 J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1학년 학생 28명이며,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다.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군의 일반적인 특성과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탄력성(t=-7.38, p<.001)과 자기효능감(t=-4.93, p<.001), 전공만족도(t=-5.28, p<.001)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연구자는 시뮬레이션교육의 시작시기로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은 임상실습 전에 실시함이 효과적이었음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 석윤희;변진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49-362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전공만족도,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12월 5일부터 2024년 1월 3일까지 S시, C도와 K도에 위치한 대학의 간호대학생(2~4학년) 19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사후분석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전공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은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년, 진로 프로그램 참여, 사회정서역량과 전공만족도가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0.3%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년별 사회정서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Strength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현진;채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38-148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 지역 소재 간호대학생 172명으로 자료수집은 2022년 11월 7일에서 12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만족도는 강점인식(r=.31,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r=.6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𝛽=.53, p<.001), 전공 선택 동기에서 타인의 권유(𝛽=-.20, p=.002)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은 전공만족도를 42.6%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증진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향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설명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Image of Nurs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 김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65-27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간의 관계와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전공만족도 정도는 5점 만점에 3.71±0.53점, 의사소통능력 정도는 3.50±0.38점, 간호사 이미지 정도는 3.80±0.52점,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3.70±0.5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나이(F=4.761, p=.010), 간호학 선택동기(F=2.584,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Tukey 사후검증결과 나이에서는 20~24세가 30세 이상보다, 간호학 선택동기에서는 적성에 맞아서가 높은 취업률보다 간호전문직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r=.531, p=.000), 의사소통능력(r=.531, p=.000), 간호사 이미지(r=.836,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사 이미지(β=.705, p=.000), 의사 소통능력(β=.136, p=.001), 전공만족도(β=.133, p=.002) 순이었고, 이러한 변수들은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을 72.8%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여 간호학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학 전공 대학생의 영양지식, 식생활 태도 및 식습관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 Problems and Dietary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 김수올;김소명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6-476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 problems and dietary attitude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856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s via SPSS WIN 21.0. Results: The mean scores for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s were above average and the score related to food habit problems was high. Dietary attitud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nutrition knowledge, but dietary attitudes correlated negatively with food habit problems. Significant predictors of dietary attitudes included: food habit problems, interest in nutrition and health, exercise, and drinking.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16.4% of perceived dietary attitudes. Conclusion: To improve dietary attitudes among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ors should develop nutritional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nutrition knowledge and identify food habit problems.

시신 해부실습을 통한 해부학 교과목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영향요인 - 전공입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Factors Influe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natomy using Cadaver Dissection - Focusing on Beginning Nursing Students)

  • 서연희;이현주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09-115
    • /
    • 2018
  • Background: The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nvestigat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explore the facts that influence of anatomy using cadaver dissection beginni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1st May to 7 June, 2016. The participants were total 121 first-year nursing students in C University. This anatomy practicum course was composed of three session, and each session was composed of 3hours, 60minutes of body structure and anatomy lecture, 90 minutes of cadaver dissection, and 30minutes of summary.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cadaver disse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sefulness in connection with the major of nursing (r=.543, P<.001), educational understanding (r=.465, p<.001), and nursing learning motivation (r=.517, p<.001). As the nursing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creased. Also nursing learning motivation influenced self-directed learning (${\beta}=0.266$, p<.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link theoretical education with practicum education of anatomy using cadaver dissection for efficient learning of the anatomy major courses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조미옥;백경화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4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12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T검정,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및 임상수행능력은 양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상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1.9%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간호교육과정 개발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박현미;석자영;박소연;이소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51-115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에서 전공만족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4개 도시에 소재한 4개 간호대학의 간호학과 231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 강화를 위해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