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Image of Nurs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0.11.17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jor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image of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214 students who were 3rd years in the nursing university in Gwangju, June 201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21.0 program. The mean scores for the major satisfaction(3.71±0.53), communication skills(3.50±0.38), image of nurses(3.80±0.52), nursing professionalism(3.70±0.56) were above averag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age, motivation for nursing clinical practice.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among major satisfaction(r=.531, p=.000), communication skills(r=.531, p=.000), image of nurses(r=.836, p=.000)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at image of nurses(β=.705, p=.000) and communication skill(β=.136, p=.001) and major satisfaction(β=.133, p=.002) and predicts 72.8% i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F=191.248, p<.001). In conclusion, to enhance nursing professionalism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a program that enhances image of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d major satisfaction.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간의 관계와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전공만족도 정도는 5점 만점에 3.71±0.53점, 의사소통능력 정도는 3.50±0.38점, 간호사 이미지 정도는 3.80±0.52점,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3.70±0.5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나이(F=4.761, p=.010), 간호학 선택동기(F=2.584,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Tukey 사후검증결과 나이에서는 20~24세가 30세 이상보다, 간호학 선택동기에서는 적성에 맞아서가 높은 취업률보다 간호전문직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r=.531, p=.000), 의사소통능력(r=.531, p=.000), 간호사 이미지(r=.836,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사 이미지(β=.705, p=.000), 의사 소통능력(β=.136, p=.001), 전공만족도(β=.133, p=.002) 순이었고, 이러한 변수들은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을 72.8%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여 간호학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현주(2016).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 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0(4): 225-237.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4.225
  2. 박현태(2014).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3): 1576-1583.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576
  3. 안태성, 송영아(2015).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21(1): 10-17. https://doi.org/10.14370/JEWNR.2015.21.1.10
  4.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2005).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5(6): 1091-1100.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91
  5. Weis, D., Schank, M.J.(2000).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7: 114-120.
  6. Schank, M.J., Weis, D.(2001). Service and education share responsibility for nurse, value development.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17(5): 226-233. https://doi.org/10.1097/00124645-200109000-00002
  7. 함연숙, 김화순, 조인숙, 임지영(2011). 졸업학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4): 536-543.
  8. 한상숙, 김명희, 윤은경(2008). 간호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73-79.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73
  9. 곽윤경(2013).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5): 2178-2186. https://doi.org/10.5762/KAIS.2013.14.5.2178
  10. 김계현, 하혜숙(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11. 장문영(2004).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귀인성향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선화, 한승희(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전공만족도가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517-526. https://doi.org/10.5762/KAIS.2016.17.8.517
  13. 홍성실, 박미정(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무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369-377.
  14. 염은희(2017).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감정노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4): 320-330.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320
  15. Trenholm, S., Jensen, A.(2008). Interpersonal commun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6. 한국간호교육평가원(2012). 간호사 핵심역량 및 간호학 프로그램 학습성과.
  17. 정수진, 정정희(2019).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조직의사소통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5(1): 98-105. https://doi.org/10.22650/JKCNR.2019.25.1.98
  18. 김금옥, 고미숙, 최은희, 김혜정(2018). 외래병동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전문직관, 업무환경 및 직무만족도 비교.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 13(2): 175-183.
  19. 송인자(1993). 간호이미지에 관한 의사, 간호사, 병원직원 및 일반인의 견해 비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2(5): 51-61.
  20. 최정, 하나선(2009). 간호학생이 지각한 간호이미지와 자아존중감 및 전문직사회화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5(1): 54-63.
  21. 박미영, 김순이(2000). 전문대 간호학생들의 첫 임상실습 체험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1): 23-35.
  22. 황혜민(2018).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6): 476-483. https://doi.org/10.5762/KAIS.2018.19.6.476
  23. 양승경, 정미라(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613-629.
  24. 강경숙, 고영숙(2016).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의료커뮤니케이션, 11(2): 179-189.
  25. 유미자, 기현정(2018). 남자 간호 대학생의 학습태도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 867-883.
  26. 황은희, 신수진(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1): 97-108. https://doi.org/10.5932/JKPHN.2017.31.1.97
  27. 최현주(2017).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6): 68-77. https://doi.org/10.5762/KAIS.2017.18.6.68
  28. 강경자, 유수정, 서현미, 박명숙, 유미, 채영란, 최동희(2014). 간호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와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4): 491-501.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491
  29. 제남주, 박미라(2020). 간호대학생의 도덕적자아, 도덕적행동,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이 융복합시대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8(8): 361-370. https://doi.org/10.14400/JDC.2020.18.8.361
  30. 임경민, 김희영, 박금자(2017).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남자 간호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0): 423-431.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423
  31. 임경민, 조은주(201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4): 556-566. https://doi.org/10.5762/KAIS.2016.17.4.556
  32. 홍은영(2017).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가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0): 85-93.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085
  33. 조헌하, 김남희(2014).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업성 핵심요소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4): 548-557.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548
  34. 문미영, 황선영(2016).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403-418.
  35. 박민희, 임소연(2017). 간호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2): 365-375. https://doi.org/10.5932/JKPHN.2017.31.2.365
  36. 박미정, 유하나(2019).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1): 38-47.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1.38
  37. 박현정, 오재우(2020).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2(12): 417-426. https://doi.org/10.14400/JDC.2014.12.12.417
  38. 박병준, 박선정, 조하나(201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 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연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7): 220-227. https://doi.org/10.5762/KAIS.2016.17.7.220
  39. 이송현(2016).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동재(2004).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성정체감.고정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2. 양일심(1998). 간호이미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순희, 김숙영, 김정아(2004). 간호학생의 간호이미지와 임상실습만족도. 간호행정학회지, 10(2): 219-231
  44. 이시라(2011).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문인오, 이경완, 정석희(2015).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 및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21(1): 122-132.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122
  46. 박소연, 심정신(2018). 시뮬레이터 기반 분만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2(5): 199-207.
  47. 임소연, 김희정(2017).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비교.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9): 85-91. https://doi.org/10.15207/JKCS.2017.8.9.085
  48. 김유정, 정인주(2018).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2(3): 297-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