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직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초

종합병원 직원의 직렬별 직무만족도, 조직애착도 및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Job Leaving Attitude of General Hospital Employees by Job Category)

  • 임영아;김건엽;최세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86-3596
    • /
    • 2012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직렬별 직무만족도, 조직애착도 및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료는 대전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의료지원직, 행정직을 대상으로 2008년 8월 15일부터 약 20일에 걸쳐 종합병원 근무자 36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를 보면 간호직은 직무만족도나 조직애착도는 높으나 외부취업기회로 이직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고, 의료지원직은 직무만족도나 조직애착도에 비해 이직의도는 낮으나 외부취업기회, 직무량으로 인해 이직의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행정직은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고 조직애착도는 가장 높은 부서이며 직원들의 부정적 심성으로 인해 이직의도 역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잘 활용하여 동기부여 전략을 사용한다면 이직을 줄이고 병원관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등록간호원 학사편입제도에 대한 한국 간호원의 의견 조사연구 (EXPLORATION OF OPINIONS OF KOREAN NURSES ABOUT THE REGISTERED NURSE BACCALAUREATE CONCEPT)

  • Ja, Hong-Kyung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7-137
    • /
    • 1972
  • 사회 구조가 날로 복잡해짐에 따라 현대는 보다 노련하고 보다 높은 지식층의 개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경향은 전문직의 발전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간호원들의 등록 간호원 학사 편입제도에 대한 의견을 조사 발표하는 것으로 질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방법에 의한 연구 조사이다. 본 논문의 대상이 되었던 113명의 한국 간호원들 중 특히 학사 출신 간호원들은 간호 교직을 그들의 생의 목표로 삼는 경향이 더욱 두드러 지는데 비해 3년제 간호학교 출신 간호원들은 간호직 외에 보다 넓은 분야에서 그들의 생의 목표를 찾는 경향이 보였다. 질문에 응해준 간호원들의 대부분은 한국에 있어서 등록 간호원 학사 편입제도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서 지대한 관심과 갖고저 하는 희망을 보여 주었고 특히 3년제 간호학교 출신 간호원들은 이 제도에 대한 시급한 필요성과 큰 가치에 적극 호응하는 가장 높은 교육열을 보여 주었다.

  • PDF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업무소진과 사회지능의 탐색 연구 (The effects of Social Intelligence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 An exploratory study)

  • 박혜인;이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325-336
    • /
    • 2016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업무소진과 사회지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시, D시에 소재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88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3일에서 9월 1일 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사회지능, 소진, 이직의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학력, 연령, 간호직 추천, 근무연수,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정보는 직위에 따라, 사회기술은 여가활동, 교대근무형태, 병원 교육 참여도, 간호직 추천의사 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진은 사회정보와 부적상관관계가 있고, 이직의도, 사회기술, 사회적 인식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이직의도에 소진은 높은 영향력을 보였고, 업무소진과 이직의도간의 사회지능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지능인 사회지능이 간호사의 업무소진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연구 의의를 두며 사회지능 향상을 위한 디지털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제언한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회복 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General Hospital Nurses)

  • 문명은;이영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9-46
    • /
    • 2021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 탄력성, 및 조직몰입을 파악하고, 조직몰입에 영향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G시 종합병원 간호사 1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0년 6월 7일부터 7월 16일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평균 3.21±0.06점, 회복 탄력성은 평균 3.32±0.48점 이었으며 조직몰입은 평균 3.16±0.46점 이었다.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직 만족도, 임상근무 총 경력, 회복 탄력성으로 나타났으며 3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는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간호직 만족도 및 회복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간호조직과 병원 차원에서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병원종사자들의 관계갈등 및 스트레스 요인이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Stress Factors on the Current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Employees)

  • 박기혁;하오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67-175
    • /
    • 2020
  •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들의 이직의도 결정시 가장 큰 원인이 될 수 있는 관계갈등 종류를 살펴보고, 이직의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관계갈등 요인과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병원조직의 안정적인 인력관리를 위한 유용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병원 및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행정직과 간호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t-test, 분산분석, 카이제곱 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이직결정시 가장 큰 원인이 될 수 있는 갈등종류는 병원에서 얻을 것이 없는 경우에 이직할 것이라는 응답이 과반수이상이었다. 행정직은 상사나 선임자의 자기중심적 언행으로 인한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그리고 불명확한 업무지시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현재 이직의향이 높았으며, 간호직은 상사나 선임자의 자기중심적 언행으로 인한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그리고 무시하는 행동 및 불쾌한 언행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현재 이직의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병원조직이 안정적인 인력관리를 위해서는 조직차원에서의 조직문화와 부서차원에서의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들이 직무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피로수준 및 관련요인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박안숙;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164-2172
    • /
    • 2009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수술실, 중환자실, 응급실)와 병동 근무 간호사의 피로수준을 비교하고 그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08년 8월에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400병상 이상의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성 간호사 39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균 피로점수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가 병동 근무 간호사보다 높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의 경우 주관적 건강 상태, 연령,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 설명변수로 선정되었으며, 병동 근무자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 상태, 평소 수면 시간, 교대 근무,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설명변수로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는 병동근무간호사에 비해 피로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수부서 근무간호사와 병동 근무간호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신의학상식 - 비알코올성 지방간

  • 김용석
    • 한국산업간호협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24
    • /
    • 2012
  • 동서양을 망라하여 전 세계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의 발생률은 증가추세에 있다. NAFLD는 간에 중성지방(triacylglyceride)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발생하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간조직에 염증반응이 초래되고, 심지어 간경화, 간암으로까지 진행되기도 한다. NAFLD의 원인이 비만, 인슐린내성과 같은 대사증후군과 연관되기는 하지만, 정확한 병리기전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치료방법도 충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AFLD에 있어 분명한 점은, 예방과 악화방지가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 PDF

CIPP평가모형을 적용한 신규 간호사 입문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일 학교법인 산하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Satisfaction of New Nurse Orientation Program Applying CIPP Evaluation Model Focusing on Affiliated Hospitals of an Educational Foundation in South Korea.)

  • 김영진;손은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26-235
    • /
    • 2017
  • 본 연구는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신규 간호사 입문 교육의 학습 환경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입문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설계 및 운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하여 수도권 일 학교법인 산하 5개 병원 공동 신규 간호사 입문 연수 참가자 452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분석 결과, CIPP 평가모형에 따라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수준은 '간호직 선배경력 경험', '과정 운영', '병원 소개', '일체감', '유용성', '교육요구 수준' 순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정 운영', '유용성', '일체감', '병원 소개'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신규 간호사 입문교육 설계 및 운영 시 조직일체감 및 간호직 확신감을 증진하고 제공 과목들의 개인적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신규 간호사 입문교육 효과를 향상할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보건소 간호사의 개인-직무적합성과 조직지원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Person-Job Fi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on the Public Health Center Nurses : Moderating Effect of Full-time Public Servants and Temporary Public Servants)

  • 박시현;권동연;남혜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8-199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person-job fit as the basis for a better job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s wi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45 public health center nurs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Metho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were verified for use by SPSS & AMOS 22 ver. to target to nurs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First, the person-job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ull-time public servants and temporary public servant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son-job fit, job satisfaction as a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mediated effect for nurses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s. The nurses in government service containing permanent and temporal employees was the adjustment effec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ability of public health center nurses to perform tasks related to person-job fit and the ability of the individual t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high. In addi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good.

남성 운전직 근로자를 위한 소그룹기반 심뇌혈관질환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mall Group-based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Male Bus Drivers)

  • 김은영;황선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22-33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a small group-based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CVD)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tage of change and health behavior among male bus drivers with CVD risk factor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68 male bus drivers recruited from two urban bus companies. Participants from the two groups were selected by matching age, education and risk factors. Experimental group (n=34) received a small group-based CVD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8 times over 6 weeks and 3 times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at 2-week interval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December, 2010 and March, 2011, and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ith SPSS/Win18.0. Result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CVD prevention knowledge (p<.001) and health behavior (p<.001) at 6 and 12 weeks after intervention. Participants in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stages made progress to contemplation and action. This was significantly better at 6 and 12 weeks after intervention (p<.001).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small group-based education programs for CVD prevention are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stage of change, and health behavior to prevent CVD among male bus drivers with CVD r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