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피로수준 및 관련요인

  • Park, An-Suk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won, In-S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Research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s) ;
  • Cho, Young-Ch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Research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s)
  • 박안숙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 권인선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assess fatigue symptoms of nurses working at special part(operating room, intensive care unit, emergency room) and ward in general hospitals, and to reveal its related factor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393 nurses employed in 3 participating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City. As a results, the special part workers had higher scores of fatigue symptoms than the ward workers. Multiple stepwis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of influence on fatigue symptoms in the special part workers included subjective health status, age and job satisfaction, and in the ward workers, the factors of influence on fatigue symptoms included subjective health status, sleep hour, shift work and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fatigue symptoms were higher in the special part workers than the ward workers, and its related factors were different from two worker groups.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수술실, 중환자실, 응급실)와 병동 근무 간호사의 피로수준을 비교하고 그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08년 8월에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400병상 이상의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성 간호사 39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균 피로점수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가 병동 근무 간호사보다 높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의 경우 주관적 건강 상태, 연령,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 설명변수로 선정되었으며, 병동 근무자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 상태, 평소 수면 시간, 교대 근무,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설명변수로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는 병동근무간호사에 비해 피로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수부서 근무간호사와 병동 근무간호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David A, Pelosi A, Mac Donald E, Stephens D, Sedger D, Rathbone R, Mann A. "Tired, weak or in need of rest; a profile of fatigue among general practice attenders". BMJ, Vol. 301, pp. 1199-1202. 1990. https://doi.org/10.1136/bmj.301.6762.1199
  2. Chen M. "The epidemiology of self-perceived fatigue among adults". Prev Med, Vol. 15, pp. 74-81, 1986. https://doi.org/10.1016/0091-7435(86)90037-X
  3. 함미영.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강인성 및 소진 정도와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8.
  4. 송말순. "수술실원의 역할 스트레스, 소진 경험정도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5. 日本産業衛生協會産業疲勞硏究會. "産業疲勞の自覺症狀しらべ". 勞動科學, 25卷, pp. 12-33, 1970.
  6. 윤현숙, 김현리, 권인선, 조영채. "간호사의 A형행동 유형과 스트레스, 우울 및 피로수준과의 관련성". 산업간호학회지, 17권2호, pp. 180-190, 2008.
  7. 소희영, 윤현숙, 조영채.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수면의 질과 관련요인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권4호, pp. 613-625, 2008.
  8. 구정완, 이승한. "은행원의 VDT작업에 따른 피로자각증상". 예방의학회지, 24권3호, pp. 305-313, 1991.
  9. 오미경. "건강검진자에서의 만성피로감에 대한 고찰". 가정의학회지, 11권4호, pp. 12-19, 1990.
  10. 이해진, 김택준, 전정일, 구정완, 정치경. "약사의 피로작업증상". 대한산업의학회지, 9권1호, pp. 26-29, 1997.
  11. Estryn-Behar M, Kaminski M, Peigne E, Bonnet N, Vaichere E, Gozlan C. "Stress at work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female hospital workers". Br J Ind Med, Vol. 47, pp. 20-28, 1990.
  12. Billings AG, Moos RH. "Work stress and the stress-buffering roles of work and family resources". J Occup Behav, Vol. 3, pp. 215-232, 1982. https://doi.org/10.1002/job.4030030303
  13. Smith L, Folkard S, Tucker P. "Work shift duration: a review comparing eight hour and 12 hour shift systems'. Occup Environ Med, Vol. 55, pp. 217-229, 1998. https://doi.org/10.1136/oem.55.4.217
  14. 박영남, 양혜경, 김현리, 조영채.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교대근무와 수면문제 및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 산업간호학회지, 16권1호, pp. 37-48, 2007.
  15. 전형준, 손미아, 김용철, 조은연, 김지용, 백도명. "교대근무가 자동차 공장 근로자들의 건강상태, 가족 및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0권4호, pp. 587-598, 1998.
  16. 윤현숙, 조영채.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40권5호, pp. 351-362, 2007. https://doi.org/10.3961/jpmph.2007.40.5.351
  17. 조광희, 이동배, 조영채. "사무직 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 및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권1호, pp. 26-37, 2007.
  18. 장세진, 고상백, 강명근 등. "우리나라 직장인 피로의 역학적 특성". 예방의학회지, 38권1호, pp. 71-81, 2005.

Cited by

  1.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hifting Nurses' on the Health Conditions vol.11, pp.3,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3.1126
  2. Relationship Between Type A Behavior Pattern and Fatigue Symptom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vol.13, pp.6,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6.2589
  3. The Study on Computer Workstation, Rest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High School Students vol.13, pp.7,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7.3037
  4. Factors Influencing on Fatigue in Operating Room Nurses vol.21, pp.3, 2012, https://doi.org/10.5807/kjohn.2012.21.3.229
  5. Influence of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Fatigue on Job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vol.16, pp.8,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413
  6. Survey on Relationship among Health Relating Factors Sasang Constitution and Stress vol.36, pp.3, 2015, https://doi.org/10.13048/jkm.15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