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사 센터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사의 이상섭식행위 관련 예측모형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 of Nurses' Abnormal Eating Behavior)

  • 주현정;진수진;권영채;박미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99-41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사 493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직무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섭식절제를 통해 이상섭식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이상섭식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섭식절제가 가장 큰 요인이었고, 그 다음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순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이상섭식행위를 85% 설명하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섭식절제를 통해 이상섭식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섭석절제를 통해 이상섭식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병원 간호사와 보건소 간호사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 조절효과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이상섭식행위와 의 경로계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위와이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이상섭식행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과도한 섭식절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간호중재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를 낮출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하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 김유미;서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77-3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윤리적 풍토, 직무만족 및 재직의도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와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8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9월 18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는 윤리적 풍토(r=.345, p<.001)와 직무만족(r=.388, p<.001)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감정노동(r=-.153, p=.031)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β=.27, p=.001), 연령(β=.27, p<001), 윤리적 풍토(β=.16, p=044)이며, 변수의 설명력은 24.2%이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만족을 높이고 건전한 윤리적 풍토를 만들어야 하며, 연령별로 재직의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Intent to Revisit of Health Screening Center Visitors)

  • 방은필;김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47-157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검진센터 이용자들의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일개 종합병원의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195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건강검진센터 재이용 의도는 고객만족과 구전 커뮤니케이션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중 회귀분석 결과, 고객만족과 지각된 건강상태가 재이용 의도의 총 분산의 29%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건강검진센터 재이용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과 간호관리자는 센터 이용자들의 고객만족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특히 건강검진 결과 상담과 고객의 요구에 따른 개별적인 맞춤형 건강관리, 고객관리관리 및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단순한 건강 체크 혹은 고객 접수만을 하였던 건강검진센터의 간호사의 역할을 적극적이고 개별 맞춤형 건강교육을 제공하고 초기 진료 후 계속적으로 건강검진 계획과 건강관리를 하도록 하는 역할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대한 방문간호사의 인식 (Nurses' Perception of Home Visit Nursing Care Services at the Outreach Community Center)

  • 양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27-236
    • /
    • 2021
  • 본 연구는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방문간호사의 사업에 대한 인식 및 참여경험을 파악하여 방문간호사업의 효율적 운영 및 사업의 발전 방향을 마련하고자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시도하였다. 방문건강 관리사업의 전달체계, 간호사의 인식 및 참여경험을 파악한 결과, 방문의 효율성을 위해 방문현장 상황을 고려한 방문간호 관리인원, 건강평가, 정보시스템 등 사업기준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주요 이슈를 공유함으로써 정책적 대안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직무요구-자원모형을 기반으로 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Based on Job Demand -Resource Model)

  • 양은옥;구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37-148
    • /
    • 2019
  • 본 연구는 Xanthopoulou 등(2007)의 확장된 직무요구-자원모형을 기반으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요양병원 간호사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8월 25일부터 2018년 9월 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Maslach Burnout Inventory,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version II,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및 Thomas & Ganster (1995)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은 직무 요구(r=.24, p=.002)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회복탄력성(r=-.43, p<.001)과 사회적지지(r=-.41, p<.001)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회복탄력성(${\beta}=-.28$, p<.001), 사회적 지지(${\beta}=-.20$, p=.016), 직무요구(${\beta}=.17$, p=.016)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2.0%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 예방 및 감소를 위해 직무요구를 줄이고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의 수행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DACUM을 이용한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Using DACUM Technique)

  • 김희정;김증임;안숙희;김명희;김윤미;조경숙;황남숙;최정선;박수혜;이은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4권1호
    • /
    • pp.10-2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role and to analyze the job of MFICU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using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s: A DACUM workshop was held to define MFICU nurses' role and identify their duties and tasks. A DACUM committee was consisted of 7 nurses, 2 nursing professors and 1 medical doctor and as a result, a survey was developed which contained duties and tasks of MFICU nurse. Pre-test was carried out for the validity, finally collected the data from 97 nurses who worked at 7 MFICU and 10 delivery room. Results: A total of 60 duties, 115 tasks and 822 elements of tasks were defined on the DACUM chart and survey. The importance, frequency and difficulty of the tasks were presented the determinant coefficient (DC), the highest DC duty was 'Manage maternal ventilator' (15.09) and the lowest DC was 'Provide nursing care for leisure to gestation extension mother' (6.52). Twenty-eight tasks were differentiated between MFICU and delivery nurses significantly. And the most important, frequently, difficulty task perceived by MFICU nurse was 'Check fetal heartbeat with electronic fetal heart monitor'. Conclusion: The organized educational program and policy was needed to develop for MFICU nurses.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몰입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Trauma Nurses)

  • 조옥희;윤정은;최지나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3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 regional trauma centers. Methods: The 98 research participants were nurses with clinical experience of a year or mo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Mann-Whitney U 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mpu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Professional self-concep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relig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d affected by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rauma nurs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 regional trauma centers.

코로나19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burnout among Korean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a cross-sectional study)

  • 이선영;유미애;안정아;서은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4호
    • /
    • pp.276-284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fatigue,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nurses caring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ti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burnou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5 nurses who were caring for COVID-19 patients i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from December 2021 to February 2022. Results: The mean scores for fatigue, social support, and burnout were 63.31 ± 11.48 (of 95), 48.34 ± 6.97 (of 60), and 81.90 ± 15.50 (of 132) points, respectively. The level of burnout of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was high. Fatigue (β = .49, p < .001) and social support (β = -.21, p = .01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urnout. Conclusion: Higher levels of fatigue and lower levels of social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burnout. Reducing fatigue among nurses and strengthening their social support can be a strategy to reduce nurse burnout.

일본 간호인력 수급방안정책의 시사점 (Suggestion of Japanese nursing staff supply and demand plan policy)

  • 권주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85-1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부족한 간호인력 수급방안 및 근무환경개선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방안을 모색하여, 간호의 질을 높이고 양질의 업무환경을 만들어 적정 간호인력 수급확보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와 보건체계가 유사한 일본의 간호인력 정책과 관련된 문헌 및 정부와 지자체 자료분석을 통해 실효성 있는 간호인력 확보방안 및 지자체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은 1974년부터 간호인력 수급정책을 마련하여, 근무환경개선 및 잦은 이직과 퇴직으로 인한 유휴 간호인력의 재취업등의 개선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일본의 1년 미만의 신입간호사 이직율이 7.5%로 감소한 반면, 한국의 신입간호사는 33.9%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간호인력증원도 중요하지만, 기존의 간호인력이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업무환경개선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지방간호사들이 이탈하지 않도록 적정한 휴식 및 간호수가를 수도권지역보다 높게 책정하는 등 제도적인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유휴인력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채용한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중앙 및 지자체 차원에서 다양한 인센티브 및 재정적 지원으로 독려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Job stress of Nurse in Emergency Department on the Nursing Performance)

  • 권미경;제남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07-119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대처능력 향상 및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을 위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지역응급의료기관 및 센터로 지정된 병원 26곳의 응급실 간호사 165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 10일부터 9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5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위계적 선택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감염관리수행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수행이 더 높았으며, 설명력은 18.4%이었다. 본 연구결과 감염관리수행, 직무스트레스, 비교대 근무가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 나타났다.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과 신종감염병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