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학대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2초

학대피해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pacts of Abuse Damage Experiences on Ego-Resilienc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이조경;백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02-115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생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내 중학생 1, 2, 3학년 5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년이 낮을수록 그리고 학대피해 경험이 없을수록 자아탄력성은 증가하였다. 두 번째,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중심으로 학대피해 청소년의 부정적 경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환경과 상황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정, 학교, 지역사회와 국가의 사회적 지지 방안을 제언하였다.

남편살해 여성의 아내학대 경험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Wife Abuse Experiences of Women Who Killed their Husbands)

  • 김영희;변수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61-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se experience from husbands among women who killed their husbands and the husbands' characteristics, and the women's own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the emotional climate in the family of origi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wife abuse experience: non-abuse group and abuse group. Second, in terms of the husbands' characteristics which consisted of economic capacity and alcohol proble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non-abuse and abuse groups. Third, the women in the abuse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non-abuse group, had a tendency to perceive that they received maltreatment, physical punishment, and indifference and rejection from their family of origi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n-abuse and abuse groups in emotional support the women received from their family. Fourth, as for the women's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he women of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while the women in the abuse group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level of social support relatively lower than those in the non-abuse group.

라이프케어를 위한 가족관계가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Family Relationship on School Parents' Child Abuse Awareness for Life Care)

  • 이병록;정선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9-290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가족관계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A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8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에 대해 가족관계는 정적 방향으로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관계와 아동학대인식간의 인과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학부모의 가족관계가 아동학대인식에 중요한 독립변수이고 이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가 주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부모를 위한 가족관계 증진프로그램, 아동학대예방 매뉴얼, 다양한 양육지원서비스의 확충과 개선 및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제로서의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아동학대 및 학교에서의 폭력경험과 아동의 적응 (Child abuse, violences in school and childrens adjustment)

  • 박민정;최보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3호
    • /
    • pp.105-11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and peer victimization on childrens adjustment. The 451 subjects(238 boys and 213 girls) were selected from the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nd 2nd graders of middle schools in Pohang City. The subjects reported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victimization by peer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ronbach $\alph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oys were more focused on physical.emotional abuse, physical.verbal victimization, and physical violence by teacher than girls. (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re focused on violence by teacher and peer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3) Influences of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and peer victimization on children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had difference among subtypes of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and peer victimization.

  • PDF

부모의 아동성학대 예방에 대한 실태와 요구도 및 교육프로그램 구성 (Parents′ Level of Knowledge and Demands for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 김오남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4호
    • /
    • pp.73-84
    • /
    • 2004
  • This study is to conducted to find out parents' level of knowledge on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and their demands for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on sexual abuse prevention. Two hundred and six parents of 5 to 7 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s in Kwangju and Chonnam wer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Parents have obtained knowledge on sexual abuse through mass media, guiding books and so on. They were aware that communication with children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sexual abuse prevention. They were somewhat at a loss on exactly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the children. and complained about the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They think that the age that is most appropriate for such education is between 6 and 7 year-old, and the parents and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educating chi10en on sexual abuse. For the desired content of the education, they included sex, sexual abuse, and parents' coping.

초ㆍ중학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언어적 학대와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Verbal abu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Mothers)

  • 우희정;최정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5-7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verbal abu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mothers. The subject were 659 adolescences and their mothers.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In the study, generally mother's parenting stress level and mother's verbal abuse level tent to be below the mean scores. Parenting stress related to learning expectation is significant difference to adolescent's sex/grade. but verbal abuse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sex/grade. And Parenting stress related to temperament and learning expectation is significant difference to mother's education level And as for correlating Parenting stress to verbal abuse. the significance appeared in these factors.

  • PDF

아동에 대한 언어적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Maternal Variables on the Verbal Abuse)

  • 최정미;우희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225-23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lineate the effect of maternal variables of the verbal abuse. Such variables as the mother's age, her education level,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have been chosen for the analysis. The sample subject were 659 pairs of fifth/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firs/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ir mother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age/education level and the verbal abuse, the verbal abuse factor shows difference correlating to the mother's age/education level. Secon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terial parenting stress level and the verbal abuse, the verbal abuse factor shows difference correlating to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level.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maternal variables to the verbal abuse indicates that material parenting stress is the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All in all, the maternal variables account for 9% of the verbal abuse score.

아동학대경험과 분노표출이 대인간 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Abuse Experience and Anger Expression on the Method of Resolving Interpersonal Conflicts)

  • 이서원;한지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71-8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the method of resolving interpersonal conflicts. For the study, 3,050 4th to 6th grade children from Kyunggi-do were sampl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multi regression and a path analysis. This study showed that child abuse experience influenced the method of resolving the interpersonal conflicts via the expression of anger. In other words, anger expression could function as a pathway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the method of resolving interpersonal conflicts.

의사들의 보고에 의한 근친간 아동성학대 연구 (A SURVEY OF INTRAFAMILIAL CHILD SEXUAL ABUSE BY PHYSICIANS' REPORTS)

  • 홍강의;강병구;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2호
    • /
    • pp.138-147
    • /
    • 1998
  • 전국의 산부인과, 소아과, 가정의학과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 7055명을 대상으로 근친간 성학대를 당한 15세 이하 아동을 진료한 경험에 대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에 응한 의사들(1205명)중 157명(13.0%)이 진료시작 후 지금까지 근친간 성학대를 당한 만 15세이하 아동 315명을 진료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이중 8명은 조사시점 1개월 이내에, 71명은 조사시점 1달이내에 경험하였다. 성학대의 아동진료를 보고한 157명 의사중 111명(70%)은 산부인과 전문의였다. 2) 가해자중 형제가 58명(36.9%)으로서 가장 많았고, 계부 32명(20.4%), 친부 26명(16.6%) 순이었고 가해자의 연령 분포상 10대가 70명(44.6%)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40∼59세(33.7%)이었다. 성별로는 대부분(98.7%)이 남자였다. 3) 피해 아동의 나이는 2세부터 15세까지 다양하였는데, 평균연령은 $12.1{\pm}3.3$세였고, 15세가 41명(26.1%)으로서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모두 여자였고, 대부분 정상아동이였다. 4) 근친간 아동성학대 사실을 알게 된 경위는 행동이 이상해서 추궁하여 알게 된 경우가 45명(28.7%), 아동이 직접 이야기해서 알게 된 경우가 40명(25.5%), 임신으로 인해 알게 된 경우는 18명(11.5%)이였다. 아동이 근친간 성학대를 당한 후 병원에 오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1개월 이상이 97명(61.8%)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근친간 아동성학대는 잘 알려지지 않은 채 장기간 지속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5) 신체적 피해 상황은 회음부 손상이 93명(59.2%), 처녀막 파열이 90명(57.3%), 임신이 68명(43.3%)으로서, 임신 때문에 근친간 성학대가 발견되고 의사를 찾게 되었음이 두드러진 특성으로 보였다. 상기 결과는 상당수의 의사들이 근친간 성학대를 당한 피해 아동을 진료하고 있고 근친간 아동성학대는 사회적 문제일뿐 아니라 의학적으로도 중요한 문제이며 근친간 아동성학대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근친간 아동성학대는 가해자가 친족이라는 정의상의 차이점 외에 빈도와 의뢰이유, 발견방법, 신체적 후유증 및 학대의 원인등에서 가정외 아동성폭력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였음은 앞으로 아동성학대 연구에서 이들을 구분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 PDF

사회문제에 나타난 아동학대문제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tion of Child Abuse Problems Appearing in Social Problems)

  • 김덕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2호
    • /
    • pp.41-51
    • /
    • 2018
  • 본 연구는 아동학대문제를 사회문제로 보고, 이는 사회 전체가 해결점을 찾아야 할 사안임을 직시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적 보완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관련 법률에 대한 입법 및 법 개정을 통한 법적 보완으로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피학대아동에게 학교교육보다는 신체적 심리적 치료가 절실하다. 향후 아동복지시설은 양육시설보다는 가정에서 살고 있지만 문제행동을 하는 아동을 위한 아동상담소와 전문적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위한 치료형 보호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 학대피해아동에 대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피해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조치결과에는 원가정보호, 분리보호, 가정복귀, 사망이 있다.